'올림픽 출전 보인다'... 남자 육상 계주, 세계종합대회 사상 첫 금메달 작성일 07-28 4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2025 U대회서 38초50으로 우승<br>도쿄 세계선수권·LA 올림픽 출전 희망 신호탄</strong><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8/0000878547_001_20250728174015196.jpg" alt="" /><em class="img_desc">한국 육상 남자 계주 400m 대표팀이 27일 독일 보훔 로르하이데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계대학경기대회 정상에 오른 후 태극기를 들고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대한육상연맹 제공</em></span><br><br>한국 육상의 젊은 피들이 불모지로 여겨졌던 트랙 경기에서 희망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남자 400m 계주팀이 2025 라인-루르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U대회) 정상에 서며 세계선수권대회와 올림픽 출전의 가능성을 이어갔다.<br><br>서민준(서천군청) 나마디 조엘진(예천군청) 이재성(광주광역시청) 김정윤(한국체대)으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27일(한국시간) 독일 보훔 로르하이데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육상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38초50을 기록, 남아프리카공화국(38초80)을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br><br>한국 계주 대표팀이 세계 종합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건 이번이 처음이다. 종전까지 가장 좋은 성적은 2019년 이탈리아 나폴리 U대회에서 이규형·고승환·모일환·박시영이 목에 건 남자 400m 계주 동메달이었다.<br><br>기세를 탄 한국 육상 꿈나무들의 다음 목표는 9월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세계선수권대회 출전이다. 다만 이를 위해선 올해 최고기록(38초49)을 더 단축해야 한다. 세계선수권은 총 16개 국가가 참가하는데, 현재 14개 국가가 각종 국제대회에서 거둔 성적으로 출전권을 확보해둔 상태다. 남은 두 자리는 대회 전까지 가장 빠른 기록을 보유한 두 국가에게 주어지는데, 한국은 최소 네덜란드의 현재 기록(37.87)을 넘어야 12년만에 세계선수권 출전을 노려볼 수 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8/0000878547_002_20250728174015234.jpg" alt="" /><em class="img_desc">남자 400m 계주 대표팀 서민준(왼쪽부터) 나마디 조엘진, 이재성, 이준혁이 5월 31일 경북 구미시민운동장에서 열린 2025 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에서 한국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건 후 태극기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구미시 제공</em></span><br><br>단시간에 0.62초 이상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지만, 2000년대생으로 꾸려진 대표팀의 최근 성장세를 감안하면 불가능한 일만도 아니다. 계주 대표팀은 올해에만 세 차례 한국 기록을 갈아치우며 무섭게 질주하고 있다. 5월 10일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2025 세계릴레이선수권 예선에서 서민준 조엘진 이재성 고승환이 38초56을 합작해 기존 기록을 0.12초 앞당겼고, 다음날 열린 패자부활전에선 앵커를 고승환에서 이준혁으로 바꿔 38초51을 달성했다. 또 같은 달 31일 경북 구미에서 열린 2025 아시아육상선수권 계주 결선에선 38초49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br><br>장기적으로는 1988 서울 올림픽 이후 40년만의 올림픽 본선행도 노린다. 2028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 육상 계주 출전권 배분 방식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지난 파리 대회 방식을 감안하면 이 역시 16개국 안에 들어야 한다. 당시 올림픽 막차를 탔던 네덜란드의 기록은 38.30이었다.<br><br>대한육상연맹 관계자는 "세계선수권 출전을 위해 남은 기간 국제대회 참가 일정을 조율할 계획"이라며 "나아가 2028 LA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장기 로드맵을 세우고 경쟁 체제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br><br>한편 한국은 이번 대회에 육상 포함 13개 종목에 311명의 선수가 출전해 금메달 21개, 은메달 9개, 동메달 27개를 획득, 종합 4위에 올랐다.<br><br> 관련자료 이전 [아시아롤러선수권] '동메달 2개 수확' 전하을 "다음 대회는 무조건 금메달 따겠다" 07-28 다음 또래들의 ‘따로 또 같이’는 강했다…한국 남자 계주 400m 승승장구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