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개인정보 유출 됐나?"…SK텔레콤 고객 조회 서비스 실시 작성일 07-28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T월드 홈페이지 접속…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KfZrZ8tal"> <div contents-hash="197a46f2828a951a63c4401d0346d0b62a70396c35b24f6447a68bbafe3fe22f" dmcf-pid="7945m56Fjh" dmcf-ptype="general"> <p>대규모 해킹 사태를 겪은 SK텔레콤이 28일부터 개인정보 유출 조회 서비스를 시작했다.</p>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da8414ac2f07ab4e372ab1549e7f82ec046c0cd0d99d47d87cd9f6b4227b8b4" dmcf-pid="zfPFIFxpN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8/akn/20250728152436276rejk.jpg" data-org-width="450" dmcf-mid="Uc5wRwtsN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8/akn/20250728152436276rej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515c3eeafb1d1e2ba77d14bf4afb0d5d2e224a511ab9ba49e8b82fc5094259f" dmcf-pid="q4Q3C3MUjI" dmcf-ptype="general"> <p>SK텔레콤은 이날 T월드 홈페이지에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안내' 게시물을 올리고 고객이 접속해 유출 여부를 직접 조회하도록 했다.</p> </div> <p contents-hash="dd75f51ef1b5af4ac08c0ecddf1cc1ffda89646a2589cc5ff2fffb7fa6e9d220" dmcf-pid="B8x0h0RuaO" dmcf-ptype="general">고객은 이름과 생년월일, 휴대전화 인증을 거친 후 휴대 전화번호, 가입자 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 2종(Ki/OPc), 기타 회사 내부 관리용 정보 21종 등의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1a47dc53c7bacf5479da3c29a982c23846837fe7db7bd449d9fa41cc084a671e" dmcf-pid="b6Mplpe7os" dmcf-ptype="general">유출 여부 확인은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정보 유출 시점인 올해 4월 18일 유출된 전화번호 기준으로 가능하다. 만 14세 미만 고객은 필요 서류 지참 후 T 월드 매장 또는 고객센터에서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7b0ec354eb64758a5ae32aacda8e5e2c6225aa59fee1eb1181add2330135a6d1" dmcf-pid="KPRUSUdzNm"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해킹 후 비정상 인증 차단 시스템(FDS 2.0)으로 불법 복제 유심 및 불법 복제 단말의 네트워크 접근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유심 보호 서비스를 통해 국내외에서 유심 복제, 탈취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유심 무료 교체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353a818b912e3a3a3e8f01430403cf23f97b9093e02794cd3316ce83c32a8ed8" dmcf-pid="9QeuvuJqor"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현재까지 이번 사고로 인한 2차 피해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사고를 악용한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SK텔레콤을 사칭하는 전화, 문자 등에 주의를 부탁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d5bc9e01a9c16b2711950999a60642472ca54c0328297c679b4d0fcf65950154" dmcf-pid="2xd7T7iBgw" dmcf-ptype="general">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포레스텔라, ‘크로스오버계 아이돌’ 명성 증명…서울서 전국투어 성공적 포문 07-28 다음 ‘S라인’ 감독 “6부 난해? 결말 닫아야 한다는 강박…아쉬움 있다” [인터뷰②]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