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뜨니 인공지능 관련 협단체 급증 작성일 07-27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C2BENYcs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a7578fb4e512ad487faa997267debf2550f84bd8895d96869b8b3db31080ed" dmcf-pid="PhVbDjGkD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170307368fsrr.png" data-org-width="700" dmcf-mid="8k01iMsdw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170307368fsrr.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1b2077cbdc6586e89b8f275aefc9e56de0ff3207273a873f4316b9af996a51a" dmcf-pid="QlfKwAHEs2"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기술·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가 정책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면서 AI 관련 민간 협회·단체 수가 늘어나고 있다.</p> <p contents-hash="61456050df2caa34dc6da1e4ddb08cb566cb1fe701de38b6c39b8d11a1440e25" dmcf-pid="xS49rcXDw9" dmcf-ptype="general">지능정보·자동화 같은 단어로 조합했던 기존 협회명을 인공지능·AI가 포함된 협회로 명칭을 변경하거나 신규 협·단체를 설립하는 등 각각 AI산업 발전과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이익단체가 지속 생겨나는 것이다.</p> <p contents-hash="930f5b2989ca562214607a30c3bdba82e1293bf1b27372415ddde58ff2b8139a" dmcf-pid="y6hsbuJqmK" dmcf-ptype="general">27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AI 관련 협·단체는 10개 이상이 운영 중이다.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를 비롯해 한국인공지능협회(KORAIA),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AIIA), 생성AI스타트업협회(GAISA), AI휴먼소사이어티, K-AI얼라이언스 등이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d32559802ad8d85213d47f8180c38c956df4f6dba533ebf8d2dc5c97a01bd76a" dmcf-pid="WPlOK7iBEb" dmcf-ptype="general">또 한국인공지능기술산업협회(KAITIA), 한국인공지능융합산업협회, 한국인공지능진흥협회(KAIPA),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인공지능문화예술협회, 인공지능산업협회(KAIIA), 인공지능지도사협회,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 부산인공지능융합기술협회와 최근 출범한 한국피지컬AI협회 등도 있다.</p> <p contents-hash="700bc9eb340fadd590fdb8483de796b2db7f925cac1b2bc1e5053ba54badd83b" dmcf-pid="YQSI9znbDB" dmcf-ptype="general">KOSA와 같이 등 정부 승인(옛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시절 승인)을 받은 법정단체도 있지만 사단법인, 임의단체 등 협·단체마다 성격은 다양한 상황이다.</p> <p contents-hash="a34f1c378ec3adb1ca934cc60ddae589fbd9e4789ceb517395482ff4d677cb44" dmcf-pid="GxvC2qLKwq" dmcf-ptype="general">이렇듯 AI 관련 협회 수가 많아지자 업계에서 혼선을 빚고 있다. 각 협회명이 대동소이해 기존 가입을 검토하던 협회가 아닌 다른 협회에 가입을 타진한 사례도 있었다. 소위 AI가 뜨니 협·단체가 유행처럼 번진다는 비판도 나온다.</p> <p contents-hash="344e90646613e17f418a2dae4b3d5a474cc24b2b65abb74c851bdb2ae1097aad" dmcf-pid="H9rkUtQ0rz" dmcf-ptype="general">반면에 특정한 이해·관심·가치 유지와 수행을 위한 '이익집단' 관점에서 보면 문제될 게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이익집단인 만큼 목적이나 비전 등이 명확하면 개별 존재 의미가 있다는 판단이다.</p> <p contents-hash="4db95ca554366ae796f3a9dcabdc1239a05dd1cf702d568de4db8ad970e49e73" dmcf-pid="X2mEuFxpw7" dmcf-ptype="general">실제 AI 스타트업들의 정보 교류와 협업을 추진하는 구심점 역할인 생성AI스타트업협회, AI 기술·서비스 관련 학문과 정보 교류 목적의 AI휴먼소사이어티 등과 같이 목적이 분명한 협·단체도 운영되고 있다.</p> <p contents-hash="6c5b8a7f44786280b3cd73a8646bf2198ebadf4dcbfd55437aea30b48d2fe2e3" dmcf-pid="ZVsD73MUru"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정부부처 간 AI 관련 정책 주도권 다툼이 치열해지고 지원사업이 늘어나거나 주목도가 높아질수록 AI 관련 협·단체 수가 보다 점차 많아질 수 있다”며 “업계 혼란을 줄이고, AI산업계의 목소리를 정확히 대변하는 구심점을 만들기 위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57b312ea57fadd9f4a804fcf84d7eb0b004d8e21ac3bc6c9c30e39eb39dc695" dmcf-pid="5fOwz0RurU"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PRi, “양자·AI 융합, 기술 파급력 높아…초기 시장 선점해야” 07-27 다음 단기전으로 치고 사라지는 랜섬웨어 그룹…맞춤 협상전략도 진화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