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통신 모뎀 보안 취약..."조작패킷 하나로도 폰 마비 가능" 작성일 07-27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AIST-경희대 연구팀, 상용폰 15종서 11개 취약점 확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TGGDjGkaQ"> <p contents-hash="61760412ca56b1df30a30abe279dd66c189b9e3a87066890a74f55298b0475e0" dmcf-pid="UyHHwAHEAP"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스마트폰 통신 모뎀에서 구조적인 보안 문제가 발견됐다.</span></p> <p contents-hash="a5d7c7e0ceff1cba72c25548b410f0d527a6156c85ea201517db2f138d31b32c" dmcf-pid="uWXXrcXDN6" dmcf-ptype="general">KAIST(총장 이광형)는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팀이 경희대 박철준 교수팀과 스마트폰 통신 모뎀 하위 계층에서 단 하나의 조작된 무선 패킷(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단위)만으로도 통신을 마비시킬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p> <p contents-hash="61b63017bd96b3f359e67cfe5c6d895c9b5b811d62153f34489d3f4945fd1a4f" dmcf-pid="7YZZmkZwg8" dmcf-ptype="general">보안 문제를 드러낸 폰은 애플, 삼성전자, 구글, 샤오미 등 글로벌 제조사의 상용 스마트폰 15종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c7a03b2a18d43e046e6ce69b2fa61392c7cce1d83c00fdf5a9eea180cc1e97e" dmcf-pid="zG55sE5ra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전기및 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왼쪽)와 제1저다인 투안 딘 호앙 연구생."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ZDNetKorea/20250727153643805afdw.jpg" data-org-width="640" dmcf-mid="3UjrdQrRk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ZDNetKorea/20250727153643805afd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전기및 전자공학부 김용대 교수(왼쪽)와 제1저다인 투안 딘 호앙 연구생.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1209b270dcbfc4b4749a7d91a39107d65b8ee8f1b994306a2b766c21ed6fa36" dmcf-pid="qH11OD1mkf" dmcf-ptype="general">실험결과 이들에서 총 11개의 취약점이 발견됐다. 이 중 7개는 공식 CVE(일반적인 취약점 및 노출) 번호를 부여받았다. 또 제조사는 이 취약점에 대한 보안패치를 적용했다. 그러나 나머지 4개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상태다.</p> <p contents-hash="395e475d6a16ab05f0bccad040bed2a15a97864e5e40d5c3856bc39706589540" dmcf-pid="BXttIwtsjV" dmcf-ptype="general">김용대 교수는 "이 취약점들은 잠재적으로 원격 코드 실행(RCE)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하다"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6f0891dee07733e4dfadf05549d377fc12bcb16347c04d59c9e782c25c0388bb" dmcf-pid="bZFFCrFOc2"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LLFuzz’((Lower Layer Fuzz)'라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통해 모뎀 하위계층 상태 전이 및 오류 처리 로직을 분석했다.</p> <p contents-hash="0a8b3c6dc2934c1fd4612534014c1d3be186dd6f2b7be8ba61a0fb88aeda0ab9" dmcf-pid="Kojj62j4A9" dmcf-ptype="general">'LLFuzz'는 3GPP(전세계 이동통신 표준을 만드는 국제협력기구) 표준 기반 상태 기계와 실제 단말 반응을 비교 분석하고, 오류 등으로 인한 취약점을 정밀하게 추출 가능하다.</p> <p contents-hash="4b0e5c52ab76e65516f536daeac2dcf58497881beae95e08a6bde8ad74b58161" dmcf-pid="9gAAPVA8oK" dmcf-ptype="general">보안 취약점은 통신 모뎀 하위계층(RLC, MAC, PDCP, PHY)에서 발생했다. 이들 영역은 암호화나 인증이 적용되지 않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외부 신호 주입만으로도 동작 오류가 유발됐다.</p> <p contents-hash="1904a5cbd5f46ac67f154dc1ad97c9c9f7976c88b6beb3f71a96c975542d0f49" dmcf-pid="2accQfc6ab"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실험용 노트북에 생성된 패킷을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 기기를 통해 상용 스마트폰에 조작된 무선 패킷을 주입하자, 스마트폰의 통신 모뎀이 즉시 크래시(동작 멈춤)되는 데모 영상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0a0438815cfc22b7df2ee000c8cf3d2216c0de982a4628a61e706ceaf8b41721" dmcf-pid="VNkkx4kPNB"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문제가 된 모뎀 칩(통신용 부품)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뿐 아니라 저가형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IoT 기기까지 포함되는 확산성으로 인해 사용자 피해 가능성이 광범위하다"고 언급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425511649471fa51d923c4b620ce3d9df439fcd7d7f3a6d1b02621fefe552e" dmcf-pid="fjEEM8EQa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연구진이 개발한 폰 보안 테스트 프레임워크 'LLFuzz' 시스템 구성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ZDNetKorea/20250727153645044lsds.jpg" data-org-width="640" dmcf-mid="0tMM73MUa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ZDNetKorea/20250727153645044lsd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폰 보안 테스트 프레임워크 'LLFuzz' 시스템 구성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55bbd1660686d0eef3cc0f2bfa3433e0773879d4a7fbc411f4011764d0971f6" dmcf-pid="4ADDR6DxAz"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또 5G 모뎀 하위계층 테스트에서도 2주 만에 취약점 2개를 찾았다.</p> <p contents-hash="06bd0835398e154c92ebd90cbe4d929ce68b0db8e50bec05e4c380f40a0c8b00" dmcf-pid="8cwwePwMk7" dmcf-ptype="general">김용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스마트폰 등 IoT 기기의 이동통신 모뎀 보안 테스팅의 표준화 필요성을 입증한 사례”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6977515a21f07b694bede4a6197205e2e3efd88b521e708299d8288d083c46f" dmcf-pid="6krrdQrRNu"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LLFuzz'를 활용해 5G 하위계층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이어가고 있다. LTE 및 5G 상위 계층 테스트를 위한 도구 개발 또한 진행 중이다. 향후 도구 공개를 위한 협업도 추진 중이다.</p> <p contents-hash="482eac5fbd4b8dc461880b53c8afd0b2a2329d2b594375ec8b02ccee5245dd8e" dmcf-pid="PEmmJxmegU" dmcf-ptype="general">연구 논문에서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투안 딘 호앙(Tuan Dinh Hoang) 학생이 제1 저자로 등재됐다. 연구 결과는 사이버보안 분야 국제학회인 유즈닉스 시큐리티(USENIX Security) 2025에서 오는 8월 발표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93dbab5bb9ddc6a21f9cf2718f5a101f58f24905fea162678f2c4c6de0887824" dmcf-pid="QDssiMsdjp"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OTT·유튜브 시대지만 지상파 광고가 가성비 최고” 07-27 다음 '2연속 메달 청신호' 김우민, 세계선수권 男 자유형 400m 예선 3위…메르텐스·쇼트 등과 메달 다툼 (종합)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