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투기업 57% “한국 노사관계 '대립적'…노동유연성 높여야” 작성일 07-27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HN1weIiIV"> <p contents-hash="54392bb8cfa8da6a35bc0cff5156e9712ec09cd3df9e526624a35ef7b62f134b" dmcf-pid="9XjtrdCnm2" dmcf-ptype="general">국내 투자한 외국기업의 절반 이상이 한국의 노사관계를 대립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투기업의 13%는 강화된 노동·산업 규제로 한국 사업 철수·축소를 검토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791ea76df8b5fcb9e2ecfeab04267aef2ddd9f793ebb30f60a1c60a939261b7c" dmcf-pid="2ZAFmJhLs9" dmcf-ptype="general">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100인 이상 제조업 주한외국인투자기업 439개사(응답 100개사)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노동시장 인식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9b50e1ecd8df473d96e4711fdc4b57e268de402d52ec3477a5ecf0db638ac7f" dmcf-pid="V5c3silos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자료=한국경제인협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110304365dkff.jpg" data-org-width="700" dmcf-mid="t0k0OnSgI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110304365dkf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자료=한국경제인협회)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4dd33ee7d4b8b1e42208e82e3fe0be4a31af9d1b85061f1449ca4898eb49a21" dmcf-pid="f1k0OnSgI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자료=한국경제인협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110305668xkho.jpg" data-org-width="700" dmcf-mid="b8EpILvas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110305668xkh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자료=한국경제인협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50f5e8db16e0b516b233dc59d632c93eea96e705bf1310acc815330b18e8707" dmcf-pid="4Oxln9NfmB" dmcf-ptype="general">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한국 노사협력 수준을 100으로 가정하면 △미국 122.0 △독일 120.8 △일본 115.0 △중국 83.8로 응답했다. 중국을 제외한 3개국 모두 노사협력 부문에서 한국보다 우위라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fe0170de44f9d3ede7285de98f0e59a90587eaea65ca75c4f9854cc9907092e7" dmcf-pid="8IMSL2j4wq" dmcf-ptype="general">응답 기업의 64.0%는 우리나라 노사문화가 '경직적'이라고 평가했다. 유연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2.0%에 불과했다.</p> <p contents-hash="d411df6193e66a4ff6e16557e487b4baff5e273b83a657bd976b68e62bad631f" dmcf-pid="6CRvoVA8sz" dmcf-ptype="general">노동규제 수준은 한국을 100으로 봤을 때 △미국 87.4 △독일 90.8 △일본 95.2 △중국 111.2로 답해 중국을 제외한 3개국에 비해 한국이 엄격하다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46708fbb87885f1fa916d8f0b790c5bfa24e7f72aa12939ad02124d2f23e6dbb" dmcf-pid="PheTgfc6r7" dmcf-ptype="general">외투기업 10곳 중 8곳(81.0%)은 중장기 사업계획 수립 시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규제를 비롯한 노동시장 환경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p> <p contents-hash="30bfc261222ceede88aa803bd2ea464f0d948d4c278e822379ff5d5604fb3b8a" dmcf-pid="Qldya4kPru" dmcf-ptype="general">특히 근로시간 규제나 중대재해처벌법 등 지난 10여년간 강화된 각종 규제로 한국 사업 철수·축소를 검토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13.0%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3e5c3ce6f798e3b47b4ea57c3a6fba0815a3a6b139e758195343834959453b75" dmcf-pid="xSJWN8EQIU" dmcf-ptype="general">한경협은 “이는 실제 철수 또는 투자 축소에 앞서 나타나는 경고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며 “과도한 노동 규제는 외국인 투자 유치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투자환경 전반의 신뢰 회복을 위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b208f08297a566e23410996455d1e4e377b2a9a28b8eaf0c459dec6df468085a" dmcf-pid="y6XM0lzTrp" dmcf-ptype="general">한국의 노동조합 활동 관행 중 개선이 시급한 사항으로 '상급 노조와 연계한 정치파업'(35.0%)을 지적했다. '사업장 점거 등 국민 불편을 초래하는 파업행태'(26.0%), '대화와 타협을 거부하는 투쟁적 활동'(18.0%) 등도 꼽았다.</p> <p contents-hash="b11e4a2348fbf4386cea7b6769bcb404b1e8103f1a257df3199231a95e3246e5" dmcf-pid="WPZRpSqym0" dmcf-ptype="general">한국 경영에서 노사문제와 관련해 가장 애로를 느끼는 부분은 '해고, 배치전환 등 고용조정의 어려움'(34.0%)이라고 답했다. 이 외에 '주52시간제 등 경직적인 근로시간제도'(22.0%), '최저임금, 연공급 등 경직적인 임금체계'(12.0%)를 지목했다.</p> <p contents-hash="873578daef788e2d9b7e26142a13bf056723c0b3b4cacd19b026ed4d8f46bac9" dmcf-pid="YQ5eUvBWr3" dmcf-ptype="general">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 방안으로는 '근로시간·해고 등 규제 완화로 노동유연성 제고'(28.0%)를 가장 많이 주문했다. '노조의 부당·불법행위에 대한 엄정한 법 집행'(22.0%), '파견·기간제 규제 완화 등 다양한 고용형태 활성화'(17.0%) 등을 꼽았다.</p> <p contents-hash="284bf92bfa207cdf2053af50d88e0eb2d56865301684708236bdfbc4d33b000b" dmcf-pid="Gx1duTbYEF" dmcf-ptype="general">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국회에서 논의 중인 노조법 제2·3조 개정안은 기업 현장의 불확실성을 확대하고 노사관계 안정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어 신중한 입법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e6378938422cb66627ae47e987fb1b8432de63fe2a8d56c26ade1b612622be4" dmcf-pid="HMtJ7yKGDt" dmcf-ptype="general">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몬스타엑스, 데뷔 첫 워터밤 제대로 접수했다 07-27 다음 돌에 새겨진 로마의 목소리, AI가 되살렸다 [교과서로 과학뉴스 읽기]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