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폐지에 저렴한 폰 ‘기대’…알뜰폰 시장은 ‘긴장’ 왜? 작성일 07-27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통3사 ‘보조금 전쟁’ 기미에 알뜰폰 업계 촉각<br>단통법 폐지에 알뜰폰 ‘저가 요금제’ 경쟁력 위축 우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vpFtX41Z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a7cfa46b1d848089e34a76f29f30f3f0e8866d99e6c494c60aa490e5cfaba9f" dmcf-pid="0TU3FZ8t5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를 하루 앞둔 지난 21일 오후 서울 도심의 한 이동통신 대리점에 단통법 폐지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임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d/20250727105058476xnhf.jpg" data-org-width="1280" dmcf-mid="Fz9BqUdzZ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d/20250727105058476xnh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를 하루 앞둔 지난 21일 오후 서울 도심의 한 이동통신 대리점에 단통법 폐지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임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a232e2dff08257aaf3d56c725d5ffb469fca0fc39fcb8775a5422979e43df8d" dmcf-pid="pyu0356FYe"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이영기 기자] 일명 ‘단통법(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로 이동통신 3사의 보조금 경쟁이 다시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알뜰폰 업계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4b3bba6f93d2ccccdbb6d2863f5822e8703e9bc23cbe2aca5d8b41f974ae550" dmcf-pid="UW7p01P3ZR" dmcf-ptype="general">‘저렴한 요금’이라는 최대 강점이 희석될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업계는 정부의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7a992e42dc4ee3469ce960677d8f32d54e5569c04f8c38a40ec664bc9925b0a6" dmcf-pid="uYzUptQ0YM" dmcf-ptype="general">알뜰폰은 망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기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로부터 망을 임차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제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늘려왔다.</p> <p contents-hash="7a0ef2740f7f21a41d08bd480bb1abf7bf75c935c0e13e846a72d5b04e49ed5f" dmcf-pid="7GquUFxpZx"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신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이동통신 회선 가운데 알뜰폰은 999만7971개로, 전체의 17.47%를 차지한다. LG유플러스(19.45%)와 불과 2%포인트 남짓 차를 보이고 있다.</p> <p contents-hash="0a8d64b36b7136e3e75dbd6554d1bf9d012f8a4a1df83854b6a485f071b2cb10" dmcf-pid="zgCsmE5r5Q" dmcf-ptype="general">알뜰폰 점유율은 2019년 12월 기준 6.85%(381만7267개)에 불과했지만 이후 자급제폰 확산과 요금 절약 수요가 맞물리며 빠르게 성장해왔다.</p> <p contents-hash="dcd08d05e5de19ed28af74a0c17e75770fda2f66787d601768eccff65eca734e" dmcf-pid="qahOsD1mGP" dmcf-ptype="general">업계는 이 같은 성장세의 배경으로 단통법의 역할도 일정 부분 작용했다고 본다. 공시지원금 제도와 추가지원금에 상한을 둔 단통법이 이통 3사의 단말기 보조금 경쟁을 억제해 요금이 저렴한 알뜰폰이 주목받을 기회를 제공했다는 분석이다.</p> <p contents-hash="8d0d57fd31ae8cf4711734f9f75eaad6e65fdbff4c555aec6f0180162b0d9a3e" dmcf-pid="BNlIOwts16" dmcf-ptype="general">그러나 단통법 폐지로 통신3사가 다시 ‘무한 경쟁’을 벌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알뜰폰 업계는 정반대 상황을 맞게 됐다. 통신사가 고가의 단말기에 보조금을 남발하면 소비자들이 알뜰폰 대신 대형 통신사를 선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e67a5b40d9513be73e2471482fd1ca954342e96eefb7ad2f797d4510aadba1e7" dmcf-pid="bjSCIrFOH8" dmcf-ptype="general">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관계자는 “단통법 폐지 상황에서는 알뜰폰이 절대적으로 불리한 것이 사실”이라며 “일부 업체가 제한적으로 단말기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프로모션 강화를 검토 중이지만, 대부분의 중소 사업자는 감당하기 어렵다”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16cd6c0f89abcd091b84f7617fa5039b5e79b25e79153926ce6ef819dc09d3b" dmcf-pid="KAvhCm3IG4" dmcf-ptype="general">정부는 올해 초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대책’의 일환으로 알뜰폰 집중 육성 방침을 밝힌 바 있다.</p> <p contents-hash="07366acd8fc6a5c73e2747ab9be154055455a1c6e759e1d94cac9d06270953eb" dmcf-pid="9cTlhs0CYf" dmcf-ptype="general">하지만 알뜰폰 업계는 대기업 중심의 보조금 경쟁이 본격화될 경우 자금력이 열세인 중소 알뜰폰 사업자는 생존이 어렵다며 보다 실질적인 정부의 지원을 기대하는 분위기다.</p> <p contents-hash="ea4e6811b3dbd96499f41e1783539161c5000ea2415de6b1466e472625c5d179" dmcf-pid="2kySlOphZV"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저가 자급제 단말기 보급 활성화, 중고 휴대전화 유통 기반 확대 등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p> <p contents-hash="defdc4264ed0beb79a67873e2e4d7ef416ec846f1690206bf8da26d76bdf889a" dmcf-pid="VEWvSIUl52" dmcf-ptype="general">소비자가 단말기를 직접 구매한 뒤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하는 구조를 제도적으로 촉진해 보조금이 없어도 ‘자급제폰+알뜰 요금제’ 조합의 실질적 혜택이 부각돼야 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c0699586f0f2ccae9fdd48660ce2e94fe0bf3556991c23e4b4522a880d9aba38" dmcf-pid="fDYTvCuSZ9" dmcf-ptype="general">알뜰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형 통신사의 ‘타겟 마케팅’이나 불공정 행위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도 있다.</p> <p contents-hash="321d64cffebd78e15cc484d6cd8293c929ff28e81368afa5ad7d5bca51f7f30c" dmcf-pid="4NlIOwtsXK" dmcf-ptype="general">업계는 정부가 제도 변화 이후 시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p> <p contents-hash="2bd09e585d59061ed6fe69e9e4f39f787d443f8a187d6702d7d11d7fc268ea4b" dmcf-pid="8jSCIrFOYb" dmcf-ptype="general">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많이 주는 것은 문제 삼기 어렵지만, 알뜰폰 사용자에게만 보조금을 더 주는 등의 사례가 있는지는 시장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375143be45b8030f5f4671e8d7facff81a543296f3aab7b1d38bdfd100562b1" dmcf-pid="6AvhCm3I5B" dmcf-ptype="general">알뜰폰의 품질 개선도 과제로 남아 있다.</p> <p contents-hash="51a86e240550f58d0d9a64078a5a5b5d24bf69b329b4686db0b6ad42f19b9c94" dmcf-pid="PcTlhs0Ctq"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종량제 5G 요금제에서 이통 3사는 데이터 기본 제공량 소진 후에도 1Mbps 내외의 속도를 보장하는 QoS 기능을 제공하지만, 알뜰폰은 이 기능이 없거나 400kbps 수준에 머물러 실사용에 어렵다.</p> <p contents-hash="7be98ce15671ab770953595aec0e842f93f7e1d0ce9af7f5b8e5674ffe0d4df2" dmcf-pid="QkySlOphGz" dmcf-ptype="general">이통 3사 입장에선 경쟁 사업자에게 QoS를 제공할 유인이 떨어지는 만큼 이 문제를 제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요구도 제기된다.</p> <p contents-hash="1b4335ec82698e21f2b44817896855e37710809e010be04dd7edee65341ea13e" dmcf-pid="xEWvSIUlG7" dmcf-ptype="general">통신업계 관계자는 “알뜰폰 활성화로 단말기와 요금제 모두 저렴하게 구성해 사용하는 ‘합리적 소비 패턴’이 보편화돼야, 소비자에게 실익이 돌아가고 통신 시장도 건전하게 재편될 수 있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대만 스타’ 계륜미, ‘남색대문’ 재개봉 기념 12년 만에 내한 확정 07-27 다음 조성익 텔레픽스 대표 "위성제작· AI 영상 분석으로 세계시장 도전"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