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컴퓨터 계속 켜 놔도 되나요”… 안전보다 전기 걱정부터 작성일 07-27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PC·칩 제조사 “권장하진 않지만 큰 문제 없다” 답변<br>팬 고장·고성능 작업 시엔 온도 치솟아 위험 커져<br>집 전체 전기 사용량 고려해야 누진세 피할 수 있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QTDdxmeof"> <p contents-hash="5a7dea88d4b378db2bb6e7a125a47e614207da6a7d81aafcb3516cf900c8e364" dmcf-pid="2xywJMsdcV" dmcf-ptype="general">“더운 여름에 컴퓨터 24시간 켜 놔도 문제없나요?”</p> <p contents-hash="562d37ac952dff2ff8ae5f00f7e2f2bb5fbea8d1e06e71153f82afb7e2e08f7b" dmcf-pid="VMWriROJj2" dmcf-ptype="general">장마가 물러가기 무섭게 찾아온 폭염 속에 PC는 그렇지 않아도 더운 방이나 사무실의 온도를 높인다. 그런데도 PC를 계속 켜 놔야만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고, 부팅을 기다리기 싫어 켜 놓는 경우도 있다. 이와 관련 PC 관련 사이트나 포털엔 PC를 24시간 혹은 장시간 켜 놔도 안전하냐는 문의 글이 올라오곤 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c7db8dd503cf1e2dfa5b421cece9840fc8e3a3a39ae2c21c73d5b690e7edfc1" dmcf-pid="fRYmneIiA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4439qzny.jpg" data-org-width="1200" dmcf-mid="z5V0vCuSN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4439qzn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b54abcd5cad91a7c886a27bd6b7902eb99fed521e08a23ddf7d36edced8efe9" dmcf-pid="4eGsLdCnNK" dmcf-ptype="general"> 결론부터 말하자면 보통의 경우엔 장기간 켜 놔도 문제가 없다. PC 제조사나 부품 제조사도 사용자들에게 이런 질문을 종종 받는데 답변은 “괜찮지만, 끄는 걸 권장한다”이다. </div> <p contents-hash="45e305217d1dab2c34e6e9d7a343995f9190a2cdef34704b10258b4411e09e0d" dmcf-pid="8dHOoJhLob" dmcf-ptype="general">일례로 델은 영문 홈페이지에 올라온 “밤에 컴퓨터를 꺼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컴퓨터를 끄면 에너지가 절약되고, 다음 날 더욱 깔끔하게 시작할 수 있다”며 “밤에 끄는 것을 권장한다”고 답했다. 다만 “아침에 바로 작업을 이어가야 한다면 절전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고 첨언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2692b69106bf12e36e9a751487e60fa9b78c33063b2ae9d8ec4afbbeec13a8" dmcf-pid="6JXIgilok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4664fwoa.jpg" data-org-width="1200" dmcf-mid="qpkdKznba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4664fwo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a563027c296fddeb3ca3ec272752eecca0b95aec3c9ce2723a709d42b676c02" dmcf-pid="PiZCanSgk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4956cvli.jpg" data-org-width="1200" dmcf-mid="BwwnVbg2A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4956cvl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916d101a008f3f11b1686fe2f10a6b2065d3d9d0a53f84fd6bc8e3bb4802307" dmcf-pid="Qn5hNLvaAz" dmcf-ptype="general"> 레노버는 컴퓨터를 꺼야 하는지, 아니면 계속 켜 놔도 되는지에 대한 물음에 “컴퓨터를 계속 켜 둬도 안전하지만, 정기적으로 재시작이나 종료를 해 주면 성능 유지와 업데이트 적용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절전모드를 이용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팁도 덧붙였다. </div> <p contents-hash="bc22cbfac9616c24b0eba0d01f78bbe746652e909e08edc5592f0966d3e89d5d" dmcf-pid="xL1ljoTNN7" dmcf-ptype="general">컴퓨터의 핵심 부품인 CPU(중앙처리장치), 메모리, GPU(그래픽처리장치)는 24시간 동작해도 무리가 없도록 설계된다.</p> <p contents-hash="d97dd7f250c24595b3c802e2eab8d30307fb23e16043028f29842621ba7978f8" dmcf-pid="yN0yEjGkju" dmcf-ptype="general">실제로 인텔은 이 같은 질문에 “프로세서는 필요하다면 24시간 연속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돼 있다”고 답했다. 다만 권장 작동 온도를 유지하고 적절한 환경에 시스템이 설치돼 있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p> <p contents-hash="181e93239b9b8f8e45d8f76070cef9a129a2a99e445f93beaa4ead14ac0b6e4f" dmcf-pid="WjpWDAHEjU" dmcf-ptype="general">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PC 주요 부품의 온도는 섭씨 60도를 잘 넘지 않는다. 하지만 게임이나 그래픽 작업, 코인 채굴 등 고전력을 필요로하는 작업을 할 땐 사정이 다르다. CUP·GPU 온도는 80도 이상까지 치솟고, 시스템 쿨링 성능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90도 이상으로도 올라갈 수 있다. 엔비디아는 GPU 연속 동작을 지원하도록 설계했지만, 최대 작동 온도는 95도다. PC 설치 환경의 온도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b3284b07d41de428a76bd78c681f24d6bafe30e87bf2bb46ab1ec433092e94d" dmcf-pid="YAUYwcXDa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5245uvcm.jpg" data-org-width="800" dmcf-mid="bB7HmE5rk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5245uvc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6925a6cb0adb8ec9e4ac917f83773f5936d1f3682df29db6ed1e37889d827c2" dmcf-pid="GcuGrkZwk0" dmcf-ptype="general"> 과부하가 걸릴 경우 프로세서가 셧다운 되거나 파워(전원 부품)가 위험신호를 감지하면서 PC가 자동으로 꺼질 수 있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도리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PC 안에 먼지가 많이 쌓이거나 환기구가 막히는 상황, 쿨링팬이 고장 나는 상황이 생기면 위험하다. 계속 켜놓을 생각이라면 안정성이 검증된 부품을 써야 하고, 자주 정비를 해줘야 한다. </div> <p contents-hash="c12ef12a2af441990d309de4e78e5d271b105e9b8382ddb286f8d1a85d047214" dmcf-pid="Hk7HmE5rN3" dmcf-ptype="general">PC의 고장이나 화재보다 더 현실적인 문제는 뜨거운 바람과 전기요금이다. 무더운 여름에 밀폐된 공간에 PC를 켜 놓는 건, 작은 난로를 틀어 놓는 것과 마찬가지다. 게임 등을 한다면 팬이 빠르게 돌며 고온의 열기를 뿜어내 순식간에 방안의 온도가 높아진다. 이를 해결하려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에어컨을 틀어 강제로 온도를 낮춰야 한다.</p> <p contents-hash="1ba8c6272ffb0ef7dbd8067455b5a361e9e1ac618e33431a3d8015cf7de6f6dc" dmcf-pid="XEzXsD1mkF" dmcf-ptype="general">PC의 온도가 오르면 전기요금도 함께 치솟는다. 고성능 GPU가 필요치 않은 100W 용량의 사무용 데스크톱을 하루 24시간 가동할 경우 한 달(30일) 전기사용량은 72㎾h로 전기요금(주택용 전기 1㎾h 당 120원 기준)은 약 8640원이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4c8c726e78230c858ff065467f1667663693a7914a912130ba8172ab07401bf" dmcf-pid="ZDqZOwtsg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5483ypyr.jpg" data-org-width="1200" dmcf-mid="KHEJ9qLKg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segye/20250727102355483ypy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fd14b69c36b3bc2196cf6860c5c2ad2f95fc79a1fad15fb22ee3ba383f6e648" dmcf-pid="5wB5IrFOo1" dmcf-ptype="general"> 게임용 PC로 그래픽 카드를 많이 구동하는 작업을 이어간다면 300W 기준, 전기사용량은 한 달에 216㎾h이고, 요금은 2만5920원으로 치솟는다. </div> <p contents-hash="c42baa90428d1b0bd29a2cfa6841cb2a5556b32017892b0ce9e7562ca6738421" dmcf-pid="1rb1Cm3Ia5" dmcf-ptype="general">최신 그래픽 카드인 엔비디아의 RTX5080(정격 소비전력 약 350W)으로 한 달간 코인을 채굴한다면, 시스템 전력 100W를 더해 매시간 450W의 전력을 소모하고, 한 달 전력 사용 총량은 324㎾h로 4만2120원의 요금이 나온다.</p> <p contents-hash="21068261f0da34c8bbf29fc2aab17901cb39d16b043478cce9cfccd3f15235ce" dmcf-pid="tmKths0CoZ" dmcf-ptype="general">이는 어디까지나 주택의 한 달 전력 사용 총량이 300㎾h 이하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를 초과하면 다음 150㎾h까지 ㎾h당 전력 요금은 214.6원으로 오르고, 450㎾h를 초과하면 그다음부턴 120원의 두배가 넘는 ㎾h당 307.3원의 전기료를 부담해야 한다. 특히 하계 1000㎾h 이상을 쓰면 초과 전력량 요금은 ㎾h당 736.2원이 된다.</p> <p contents-hash="0a634abb5f8b00e10e1ae5583cb5b36cc460895ff67880b9c205c1d796472515" dmcf-pid="Fs9FlOphcX" dmcf-ptype="general">pc만 써서 이렇게 많은 전력을 소비하진 않겠지만, 여름엔 에어컨 등 전기 제품의 사용량이 많은 만큼, PC를 계속 켜 놓을 경우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p> <p contents-hash="ae49fd104f17a7c8ba5fed9281fc9db2d43b9d42abb7820354eb4d29cbdd6e84" dmcf-pid="3O23SIUlcH" dmcf-ptype="general">엄형준 선임기자 ting@segye.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역대급' 규모 갤럭시 폴더블폰 체험존 코엑스에 떴다 07-27 다음 여자 펜싱 에페, 세계선수권대회 단체전서 동메달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