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앞서간, 시대와 함께한 야구인 이광환 [경기장의 안과 밖] 작성일 07-27 27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자율야구’로 유명한 야구인 이광환 감독이 7월2일 타계했다. 그는 1994년 LG 트윈스의 우승을 이끌었고, 야구 붐을 일으켰다. 프로야구를 떠나서도 동시대 사람들과 야구를 나눴다.</strong><div style="text-align:cente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308/2025/07/27/0000036995_001_20250727082713088.jpg" alt="" /><em class="img_desc">7월2일 SSG 랜더스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에서 선수들이 이광환 감독을 추모하며 묵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em></span></div><br><br>이광환 감독이 7월2일 향년 77세로 작고했다. 1994년 LG 트윈스의 우승을 이끌었고, 전에 없던 야구 붐을 일으켰다. 프로야구사에 강팀은 숱하지만 1994년 LG만큼 야구팬을 새로운 매력으로 끌어당긴 팀은 없었다. LG그룹은 야구팀이 일으킨 센세이션에 자극받아 그룹 전체 CI(Corporate Identity)를 교체했다. 한국 경제와 사회가 개발도상국형 고도성장기를 거쳐 선진국형 체제로 나아간다는 신호이기도 했다.<br><br>이광환의 야구를 ‘자율야구’라고 했다. 1994년 LG는 1루수 서용빈, 유격수 류지현, 좌익수 김재현 등 ‘신인 삼총사’의 활약이 대단했다. 위계적인 스포츠계에서 신세대 젊은 선수들이 주눅들지 않는 플레이로 그라운드를 누비는 장면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래서 붙은 이름이 ‘신바람 야구’. 자율야구의 토양 아래 젊은 스타들이 나타났다는 해석도 있었다.<br><br>정작 이광환 자신은 자율야구라는 단어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다. 이광환은 1988년 9월 OB 베어스 감독으로 취임하며 프로야구 지휘봉을 처음으로 잡았다. 새 시즌을 앞두고 주전선수들을 단체 훈련에서 배제하며 스스로 몸을 만들게 했다. 언론에선 ‘자율야구’라는 이름을 붙였다. 스포츠 미디어는 라이벌 구도를 사랑한다. 초보 감독 이광환의 자율야구와 그의 OB 감독 전임자이자 태평양 돌핀스로 옮긴 김성근 감독의 ‘관리야구’를 대비시켰다.<br><br>감독은 결과로 말한다. 1989년 OB는 승률 0.463으로 7개 구단 중 5위에 머물렀다. 이듬해 더 부진한 15승 30패 1무의 성적으로 6월14일 이광환은 중도 퇴진했다. 감독 취임 직후 언론의 관심을 모으던 ‘자율야구’는 비난과 조롱의 대상이 됐다.<br><br>‘자율’은 강훈을 미덕으로 여기던 한국 스포츠에 너무 이른 이상으로 보였다. 이광환이 실패한 1989년은 만년 꼴찌로 통하던 태평양이 김성근 체제에서 돌풍을 일으킨 시즌이기도 했다. 1989년 1월 태평양은 오대산에서 ‘극기 훈련’을 했다. 얼음물을 곡괭이로 깨고 선수들이 알몸으로 입수했다. 태평양이 이해 정규시즌 3위에 오르며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하자 이듬해 4개 구단이 해병대, 특전사 등을 찾아 극기 훈련을 했다. 그때 프로야구가 그랬다.<br><br>이광환은 자율을 중시했던 감독이다. 그는 “‘선수를 풀어주니 성적이 안 나온다’고 비판을 많이 받았지. ‘조선 놈은 맞아야 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었어. 부끄러운 얘기다”라고 회상한 적이 있다. 하지만 프로야구에서 자율을 중시했던 첫 감독은 따로 있다. KBO리그 역사상 가장 명장으로 꼽히는 김응용이다. 35년 전 극기 훈련 붐 때도 김응용은 “훈련은 선수 스스로 알아서 하는 것”이라며 유행을 거부했다.<br><br>이광환은 자신의 야구를 ‘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야구’로 정의했다. ‘스타 시스템’으로 불렸던 선발-미들맨-셋업맨-마무리로 이어지는 투수 분업화를 KBO리그에 정착시킨 감독이다. 투수 기용을 넘어 선수단 관리와 구단 운영에서도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믿었고, 또 실천했다.<br><br>이런 믿음은 더 큰 시야로 더 넓은 세계를 접하면서 만들어졌다. 이광환은 ‘프로야구 1호 코치’다. OB는 프로야구에서 가장 빠른 1982년 1월15일 창단한 팀이다. 이광환은 OB가 처음으로 채용한 코치(타격)였다. 그리고 ‘1호 프런트’이기도 했다. 창단 직후 OB에는 프런트 직원이 없었다. 구단 행정 관련 서류 업무도 이광환의 몫이었다. 1986년 2월에는 일본 프로야구(NPB) 세이부 라이온스 연수를 다녀왔다.<br><br>일본 연수를 가기 전해까지 세이부 감독을 지낸 히로오카 다쓰로의 책을 읽고 감명받았다. 히로오카는 일본에서 ‘관리야구’의 원조로 꼽히는 인물이다. 이광환도 히로오카의 야구를 정답으로 여겼다. 하지만 직접 현지에서 부딪치니 달랐다. 일본 기자들이 ‘이기면 감독 덕, 지면 선수 탓인 감독’이라고 흉을 봤다고 한다. 쟁쟁한 슈퍼스타들을 거느리고도 1회부터 희생번트를 대니 성적이 좋아도 팬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구단에서 해임됐다. 후임 모리 마사아키 감독은 지나친 관리를 없앴다. 그러자 선수들이 신나게 야구를 했다. 이를 지켜보며 ‘선수가 즐거워하지 않는 야구는 곤란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됐다.<br><br>이듬해인 1987년 이광환은 미국으로 떠난다. 메이저리그 구단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코치 연수를 했다. 세인트루이스에서 충격을 받았다. “그들은 진짜 프로야구를 하고 있었다”라는 게 이광환의 회상이다. 하루에 세 시간씩 들여 전 경기 투수 등판 기록을 정리해 자료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메이저리그식 선발 로테이션과 불펜 운용을 체득했다. 당시에는 메이저리그도 마무리가 2이닝을 던지던 시절이었지만 한국 프로야구와는 비교할 수 없었다.<br><br><div style="text-align:cente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308/2025/07/27/0000036995_002_20250727082713151.jpg" alt="" /><em class="img_desc">1994년 한국시리즈를 우승한 LG 트윈스 선수들이 이광환 감독을 헹가래 치고 있다. ©연합뉴스</em></span></div><br><br><h3><strong>잠실야구장에 라커룸이 생긴 사연 </strong></h3><br><br>초창기 프로야구 선수들은 경기 시작 2시간30분 전에 야구장에 도착했다. 그리고 동시다발로 경기 전 훈련을 했다. 비효율적이었다. 투수도 타자의 연습 타구를 주우러 다녔다. 미국에서 돌아온 뒤 이광환은 선수들에게 경기 4시간 전까지 구장에 나오라고 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훈련을 하게 했다. 감독과 코치는 출근 시간이 더 빨랐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다. 구장에 머무를 만한 곳이 없었다. 잠실야구장 관리 직원들과 싸워가며 처음으로 라커룸을 만들었다.<br><br>1992년 LG 감독 부임 후엔 전지훈련에서 매일 선수 세 명에게 발표를 하도록 했다. 선수가 스스로 생각하는 야구를 원했기 때문이다. 이광환은 “나는 감독이 선수를 만든다는 관점에 반대한다”라고 말했다. 1993년 시즌을 앞둔 전지훈련에서 한 선수가 “미국 선수들은 평소 자유롭지만 그라운드에서는 눈에 불을 켠다”라는 말을 했다. 이 말을 듣고 ‘그럼 우리는 눈에 불을 켜지 않는 건가’ 하는 오기가 생긴 신인 왼손투수가 있었다. 1994년 18승을 따내며 우승 주역이 됐던 이상훈이다. 이상훈은 “언젠가는 그들과 야구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내가 뒷날 메이저리그 보스턴과 계약했던 것이다”라고 회상했다.<br><br>이광환은 프로야구 감독으로 11시즌을 보내며 643승 718패 34무를 기록했다. 승수로는 역대 11위이지만 승률로는 0.472에 그쳤다. 1992~1996년 LG에서는 승률 0.527로 훌륭했다. 감독 이광환과 구단 LG의 화양연화 시절이었다. 처음 지휘봉을 잡은 OB에서 승률이 0.384에 그쳤고, 한화(2001-2002), LG(2003), 히어로즈(2008)에서는 4시즌 모두 승률 5할 이하였다. 성적으로만 보면, 그 자신이 선구적으로 도입해 리그에 정착한 ‘시스템 야구’가 역설적으로 감독 이광환의 경쟁력을 떨어뜨린 셈이다.<br><br>하지만 한화에서는 앞 시즌 승률 0.391인 팀을 맡아 두 시즌 승률을 0.467로 끌어올렸다. 이광환이 중용한 신예 김태균과 이범호는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타자로 성장했다. 국가대표 감독에게 술을 사면서 3루수 이범호를 2002년 쿠바 월드컵 대표로 발탁해달라는 ‘청탁’을 하기도 했다. 2003년 LG 2기 시절에는 주력 선수 줄부상으로 팀이 정상 전력이 아니었다. 그리고 2008년 히어로즈는 시즌을 정상 소화하기도 힘든 창단 구단이었다.<br><br>이광환은 시대를 앞서간 지도자였다. 그리고 시대와 함께한 야구인이었다. 프로야구계라는 좁은 울타리를 넘어 동시대 사람들과 야구를 나눴다. 2010년부터 10년 동안 무보수로 서울대 야구부를 지도했다. 2013년 한국야구학회 초대 고문을 맡았고, 2016년에는 기장 여자야구 월드컵 국가대표 감독 유니폼을 입었다. 제주도 서귀포시 소재 야구박물관은 그의 필생 사업이었다. 이광환은 2020년 서울 생활을 정리했다. 지병인 폐섬유증으로 공기 좋은 서귀포에서 요양했다. 오랫동안 인근 초등학교에서 스쿨존 봉사를 했다.<br><br> 관련자료 이전 한국, U-17 아시아 여자 핸드볼선수권서 카자흐스탄 꺾고 3위(종합) 07-27 다음 1200명 온 김준호♥김지민 결혼식, 누가 참석하고 누가 불참했나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