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더 커지는 디지털 격차..."보편적 이용권 중요" 작성일 07-27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6dN1AHESY"> <div class="video_frm" dmcf-pid="BPJjtcXDhW" dmcf-ptype="kakaotv">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7J8dyiloWH" dmcf-mtype="video/kakaotv/owner" dmcf-poster-mid="zGNr7s0ChG"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7J8dyiloWH" poster="https://t1.daumcdn.net/news/202507/27/YTN/20250727044308360vtkv.jpg" scrolling="no" src="//kakaotv.daum.net/embed/player/cliplink/456836940?service=daum_news&m_use_inline=true&ios_allow_inline=true&m_prevent_sdk_use=true&wmode=opaque"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f110e1942b18ea1f5683d501992c682c20a2f00c498747500e8a4cfd6da3e738" dmcf-pid="bQiAFkZwhy"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4475ad210705e961ed9caa11fe28d9026a134bc78a5cf6344b686d98a2d0b21c" dmcf-pid="Kxnc3E5ryT" dmcf-ptype="general">챗GPT 등 인공지능이 일상 속에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디지털 소외계층에게는 여전히 먼 이야기인데요. </p> <p contents-hash="d60725282529eb2eba7a8f82e02b6caef251d2e096d9def339d23e7410d58bb1" dmcf-pid="9MLk0D1mTv" dmcf-ptype="general">정부가 제시한 'AI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이런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p> <p contents-hash="021aa2ac1b9c162c783305b5aaf1950dc48424fe0e50c14094753a9fdf1e88bb" dmcf-pid="2RoEpwtsvS" dmcf-ptype="general">권석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p> <p contents-hash="7d6532a3ff72e6e61d28713c15e4ad75a3f8e21259fbcf585fa2e73bce76e203" dmcf-pid="VegDUrFOWl"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603246311ecab4d7f8d3c201265a839012d3dae10aaa39875c3753ad7e68c5a5" dmcf-pid="fdawum3Iyh" dmcf-ptype="general">경기도에서 노인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포천시 관인면. </p> <p contents-hash="02e8978ae72d9405caab1c74b41ac51993a0ce7cf64964e2277bd549b8cab38f" dmcf-pid="4UKPCxmeCC" dmcf-ptype="general">포천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어르신들을 위한 'AI 사랑방'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cdf36a03ee8fb2fa8f1792c68ed016a98b0c676887cd50124ea9bf4e2f2723e6" dmcf-pid="8u9QhMsdvI" dmcf-ptype="general">키오스크와 카드 리더기 등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디지털 기기를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6db9cd3171adae3f33f6f072a0b744b214b46ca6e9795776a12b99697f8f1b1e" dmcf-pid="672xlROJCO" dmcf-ptype="general">[김전식 / 경기도 포천 : 사용할 줄 몰라서 뒷전에서 구경만 하고 지나가는 식으로 이렇게 했었는데 지금은 앞장서서 이렇게 좀 스스로 해보고 싶고, 스스로 결제 같은 것도 스스로 해보고…/ 젊은 사람들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좋아요.] </p> <p contents-hash="54310bb685d1b23fb3abdc6f08a3cb910142f08ed5febc8af6ac04a10e72c18d" dmcf-pid="PzVMSeIiWs" dmcf-ptype="general">이렇게 일부 지자체가 취약계층의 디지털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실정입니다. </p> <p contents-hash="1a1473380bdedfc5880b4edacf5fe37ec8be474e5615d209d767b32fffb11f06" dmcf-pid="QqfRvdCnTm" dmcf-ptype="general">챗GPT 등 AI 기술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고령층과 장애인들은 간단한 디지털 기기 사용조차 어렵습니다. </p> <p contents-hash="8fc20f825325dca1c31928f2d00c1d931bb95e021ede93ae67abc07b935069e5" dmcf-pid="xB4eTJhLyr" dmcf-ptype="general">실제로, 최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표한 '디지털 정보 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AI 활용 경험률은 전체 국민의 절반인 51%였지만, 장애인과 고령층,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은 3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p> <p contents-hash="84f3807d7c68b67171c905972b83e52014c5df4ee9d9f8fa835f005ca20855bb" dmcf-pid="ywhGQX41Tw" dmcf-ptype="general">AI 기술 발전으로 사회적 약자들이 더 뒤처지면서 디지털 양극화를 고착시키고 있는 겁니다. </p> <p contents-hash="06f6198ffac58b0ebca08d09904a2b451045399967e1aeb9cc869db8b1781811" dmcf-pid="WrlHxZ8tTD" dmcf-ptype="general">[고정여 / 경기도 포천 : 디지털 그 기계가 어려워서 사용을 잘 안 하고 있어요. 저는 카드도 사용 안 해요. (왜요?) 그냥 좀 어려운 것 같아서] </p> <p contents-hash="229ac646ed487c5a59bca9ff5c99b3a3c131388160c240aaee61369368c0b42c" dmcf-pid="YmSXM56FTE" dmcf-ptype="general">지난해 12월 디지털 기술의 보편적 이용권을 명시한 '디지털 포용법'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p> <p contents-hash="abbfb94e364965c7f99957039ce3167ae42ee5b776f39c0f0da3d61205111cab" dmcf-pid="GzVMSeIiWk"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차별 없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관련 시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 <p contents-hash="0ab209f57b962b9e5271fbe901938e21fefd6adc83cd002a689d590d12ae422f" dmcf-pid="HqfRvdCnlc" dmcf-ptype="general">하지만 선언적인 수준에 가까워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이 이어져야 합니다. </p> <p contents-hash="1439c1d34c60d82def8df45494d1e3f49d2570f805146f3d71ec7d76b27a8ecd" dmcf-pid="XB4eTJhLvA" dmcf-ptype="general">[김여라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 모두가 디지털 사회의 그 혜택을 골고루 누리게 하기 위해서는 / 지금 하고 있는 정책들을 좀 더 홍보하고 모든 국민이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함께 디지털 사회를 잘 살아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p> <p contents-hash="7c5d865864c8194ff498d4607760ffc3c66e2797f6950d8857ee427da56f2edd" dmcf-pid="Zb8dyilovj" dmcf-ptype="general">정부가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디지털 취약계층이 인공지능 기술에 소외되지 않도록 정책적으로 배려하고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노력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p> <p contents-hash="7bcf9aa942481c779d16eb6dcfd97cfe167f65e8fa7bfac000d7b3834e7669e3" dmcf-pid="5K6JWnSgyN" dmcf-ptype="general">YTN 사이언스 권석화입니다. </p> <p contents-hash="8d3213565d86fa4ce9969fc13142552d778c7df45b0c63cb2db44ea00622766c" dmcf-pid="19PiYLvaha" dmcf-ptype="general">영상취재 : 지준성 </p> <p contents-hash="b452878020071360f6ca7e8fff30a6364901573f64042670143849a88a8180d4" dmcf-pid="t2QnGoTNWg" dmcf-ptype="general">디자인 : 전휘린 </p> <p contents-hash="d59ab5e78be3b99baaf3c77c2b98f4b654677f943b177aed13534cfdb02f036d" dmcf-pid="FVxLHgyjho" dmcf-ptype="general">YTN 권석화 (stoneflower@ytn.co.kr)</p> <p contents-hash="6872a3e4614e49d02d29814d924d0955d103d0140f50a56303eca35cbd934632" dmcf-pid="3fMoXaWAWL" dmcf-ptype="general">※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p> <p contents-hash="9b4461a50aa8e34a9ba372d1ee3d7238f3b74e4d6162e17b534c7da968b28f0f" dmcf-pid="0u9QhMsdCn" dmcf-ptype="general">[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p> <p contents-hash="cfc0d91ea3314810b54738fb553adb012d138d66f93f78a423ff76147aa6d5f1" dmcf-pid="p72xlROJyi" dmcf-ptype="general">[전화] 02-398-8585 </p> <p contents-hash="4ed428f25f25cca75c5db746e710025248370d04bbcbafa47207014301d683be" dmcf-pid="UzVMSeIiCJ" dmcf-ptype="general">[메일] social@ytn.co.kr</p> <p contents-hash="32a1eb1b19fc6aca183448db7cf09f9564a21b0a08dd99f5e4691787a37ed8ca" dmcf-pid="uqfRvdCnhd" dmcf-ptype="general">[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안세영, ‘슈퍼 1000 슬램’ 대업 앞두고 무릎 부상이라니…중국 오픈 4강서 기권 07-27 다음 공유는 서현진 커피차 거절하는데..신난 송혜교 '공유 바라기'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