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녜이 웨스트, 30도 열대야에 땀 뻘뻘…진짜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들 작성일 07-27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콘서트 情景] 웨스트 세 번째 내한공연 현장<br>예상과 달리 지각 없이 정시에 등장<br>나치 발언 등은 다행히 없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xJFYlzTX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389e88c701ebcecd316af81d618418ee3a828b52fe14913162812f1492c4cc3" dmcf-pid="bMi3GSqyY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카녜이 웨스트. (사진 = 채널캔디 인스타그램) 2025.06.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wsis/20250727004750619luwd.jpg" data-org-width="720" dmcf-mid="7UVvmcXDG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wsis/20250727004750619luw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카녜이 웨스트. (사진 = 채널캔디 인스타그램) 2025.06.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302f4a357b8d4c334f481b425059756246abc570182a9fc59f0de748358380e" dmcf-pid="KRn0HvBWZa" dmcf-ptype="general">[인천=뉴시스]이재훈 기자 = "왜 이렇게 빨리 나왔어?"</p> <p contents-hash="c5e1146f66c3fbb3c5db0653df932a80df2bec5794a52d908cb0f2994e3f65a0" dmcf-pid="9eLpXTbY1g" dmcf-ptype="general">26일 오후 8시 인천 인천문학경기장 주경기장에서 열린 '예(YE) 라이브 인 코리아'. 미국 힙합 이단아 카녜이 웨스트(예(Ye)·칸예 웨스트)가 예고했던 공연 시각에 맞춰 제대로 등장하자 객석에선 도리어 의아하다는 반응이 쏟아져 나왔다. </p> <p contents-hash="beded6036da59ee03dfdb75d4abd1c553a2f8e4252a78b4ad64b06be40b15367" dmcf-pid="2doUZyKGto" dmcf-ptype="general">작년 8월 경기 고양 고양종합운동장에서 펼쳐진 '예 x 타이 달라 사인 벌처스 리스닝 익스피리언스(Ye x Ty Dolla Sign Vultures Listening Experience)'엔 70분을 늦었고, 지난 12일 중국 상하이 공연 역시 45분을 늦었던 그다. 웨스트가 그래서 당연히 늦을 것이라고 단정했던 관객들은 당황했다. </p> <p contents-hash="4d9a5a182c2ccb89f80e501c004695625863e5f365e1cbe9c6b8166eb662ee7f" dmcf-pid="VLjqFHf55L" dmcf-ptype="general">게다가 '파워'를 부르며 등장한 웨스트는 30도의 열대야에도 후드티에 가죽 바지를 입고 나왔다. 후드티 뒷면엔 '코리아(KOREA)'라고 적혀 있었다. 공연 내내 그의 회색 후드티는 땀으로 흠뻑 젖어 색이 변했다. </p> <p contents-hash="826d9566dd7286bf96e8263e93e1363085d16632597f43c9beb480c76910de71" dmcf-pid="foAB3X41Gn" dmcf-ptype="general">웨스트의 내한공연은 이번이 세 번째다. 2010년 강원 양양 낙산도립공원 낙산해수욕장에서 펼쳐진 힙합 일렉트로닉 페스티벌 '서머 위크 & 티 2010' 첫날의 헤드라이너로서 첫 내한했고, 작년 고양에서 연 리스닝 파티를 통해 14년 만에 내한공연했다. '고양 대첩'으로 통하는 리스닝 파티를 통해 웨스트의 국내 위상은 단 번에 올라갔다. 몇 년 간 제대로 된 공연을 보여준 적 없던 웨스트가 총 77곡을 들려주는 파격을 선보였고 이 장면이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퍼지면서 온라인이 들썩인 것이다. </p> <p contents-hash="759b5f3e0f1e31dd3b1044b6d59328250037819a48c937d41c0e821653fc3d4e" dmcf-pid="4gcb0Z8tti" dmcf-ptype="general">이 기세를 몰아 웨스트는 지난 5월 문학주경기장에서 쿠팡플레이 주최로 내한공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는 취소됐다. 쿠팡플레이는 공연 취소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특기하지 않고 '최근 논란'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히틀러를 찬양하고 유대인을 혐오하는 등 그의 평소 언행이 문제가 된 것에 힘이 실렸다. 이후 쿠팡플레이는 빠지고 작년 고양 공연을 맡았던 공연기획사 채널캔디가 주도해 이번 11개월 만의 내한공연이 성사됐다. <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c32cec6b7e929834c0b64375e43386c00a64858947a79645fb2070a25576412" dmcf-pid="8akKp56Ft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뉴시스] 이재훈 기자 = 미국 래퍼 카녜이 웨스트가 내한공연하는 인천문학경기장 주경기장 모습. 2025.07.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wsis/20250727004750814xoen.jpg" data-org-width="720" dmcf-mid="znm4q0RuZ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wsis/20250727004750814xoe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뉴시스] 이재훈 기자 = 미국 래퍼 카녜이 웨스트가 내한공연하는 인천문학경기장 주경기장 모습. 2025.07.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4b8b3bc87f88da08b9cc802f9c3e6c502970acb7419c97d1242d310d28adf8e" dmcf-pid="6NE9U1P35d" dmcf-ptype="general">공연 운영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채널캔디가 공지한 것처럼 정치적, 종교적 메시지 혹은 사회적 논란을 유발할 수 있는 발언 등은 다행히 없었다. </p> <p contents-hash="863cc4faeb23ea6c34744e1b22db18fc09d21da3c97b58f8ec612c0e0c8c85ab" dmcf-pid="PjD2utQ01e" dmcf-ptype="general">하지만 내한공연 자체가 일각에선 각종 논란을 몰고 다니는 웨스트를 너무 엔터테인먼트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었다. 사실 웨스트는 각종 기행으로, 해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 호불호가 갈린다. </p> <p contents-hash="7bdf490f347d7b7f0d481e5ac8275647e65cbecd294d6e77a642612c23489f86" dmcf-pid="QAwV7FxpYR" dmcf-ptype="general">지금까지 '그래미 어워즈'는 24개를 안았고, 전 세계 음반 판매량은 약 1억4000만 장에 달한다. 쇼·패션 기획자로서 그를 일부 추종하는 세력도 있다. </p> <p contents-hash="25ab7622ebf14758fd6b9998afa0567bcd14e9d3388b7c5c0029e92e25254e3a" dmcf-pid="xcrfz3MUGM" dmcf-ptype="general">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엔 등을 돌리는 음악 팬들이 계속 늘었다. 미국 팝 슈퍼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에 대한 막말 그리고 각종 혐오 발언으로 여러 차례 도마 위에 올랐다. 거듭되는 유대인 증오 발언으로 각종 기업과 협업도 중단됐다. </p> <p contents-hash="d8ec67bf89295f162e5429df537695978cfc3802c98e2a54bac93f9d20ff7e5d" dmcf-pid="yubCEaWA5x" dmcf-ptype="general">그럼에도 히틀러에 대한 웨스트의 이해할 수 없는 맹목적인 추종은 계속됐다. "난 나치야" "난 히틀러를 사랑해" 등의 글을 잇따라 남겼다. 이후 그에 대한 비판이 봇물을 이뤘고 국내에서도 내한 공연 반대 여론이 나오기도 했다. 호주는 이와 관련 웨스트의 비자를 취소하기도 했다. 유럽에선 웨스트의 공연을 사실상 보이콧하고 있다. 이번 내한공연에 대해 우려가 나왔던 이유다.</p> <p contents-hash="cf940f8de2cc1ce0c7870a2620c952abeebb5c4ac40b8bbe445ff03ed8981b86" dmcf-pid="W7KhDNYctQ" dmcf-ptype="general">그렇다고 웨스트의 애칭인 이지(Yeezy)를 연호한 팬들을 무조건 비판할 수도 없다. 여기서 예술가의 윤리라는 해묵지만 우리가 끊임없이 물어야 하는 물음 속으로 들어간다.<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39cc2ccc6b42444f891643129e9e1a60c8ad132cbced0526090b6b23ff3c5c0" dmcf-pid="Yz9lwjGkH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뉴시스] 카녜이 웨스트. (사진 = 유튜브 캡처) 2025.07.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wsis/20250727004750972eiml.jpg" data-org-width="720" dmcf-mid="qsyJ69NfZ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newsis/20250727004750972eim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뉴시스] 카녜이 웨스트. (사진 = 유튜브 캡처) 2025.07.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8c9b818a7bf40806b002f94d5009fd3677635077d9cdb0e3fd556383e64d184" dmcf-pid="Gq2SrAHEt6" dmcf-ptype="general">우리가 음악을 듣거나 공연을 소비할 땐 저마다 이유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 아티스트적 신념이라는 것이 따로 있다고 믿는다. 그저 엔터테인먼트적으로만 만들면 안 된다. 당연히 그 자체로만 가치 있을 때도 있다. 그럼에도 폼보다는 고뇌가 있어야 한다. </p> <p contents-hash="35eb005090635bc0db0874d71ce62189f02fb137396f79e63d99dff97f8aa4a6" dmcf-pid="HBVvmcXDZ8" dmcf-ptype="general">생각이 다른 것이라고 반박할 수 있지만, 인지상정의 기준으로 분명 틀린 영역이 있는데 그것이 속도감 있게 들린다고 마냥 추종하는 게 옳은 일인가. 전날 웨스트가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할 때 그를 향해 스위프트에 대한 욕설을 내뱉은 남성의 행위는 정당한가. 제대로 된 라이브라고 보기엔 힘든 구석이 여럿 있었으나, 땀을 뻘뻘 흘리면서 현혹할 만한 연출의 무대를 선보였다고 '흐린눈'으로 보면 모든 것이 좋아지는 걸까. </p> <p contents-hash="b39a48d40a1e538a37be47c9448ed272bbbc432f1ce6f1c319a5c1d911e598aa" dmcf-pid="XxJFYlzTG4" dmcf-ptype="general">물론 5만석 규모의 공연장에서 열린 360도 공연의 객석 절반 이상을 채운 관객들의 성향을 일반화하는 건 위험하다. 이날 공연을 본 이유도 저마다 다를 것이고, 웨스트에 대한 각자의 평가도 물론 존중 받아야 한다. 모든 예술가가 윤리적으로 완벽한 것도 아니다. </p> <p contents-hash="ae415f1ac74b007a11036c865176cb8ac7e4e90adc712a5dec90812a7c9e3332" dmcf-pid="ZMi3GSqyZf" dmcf-ptype="general">그런데 음악가의 기질적 신념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소비하는 이들에게 관철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음악은 만드는 사람의 것만은 아니다. 히트곡 '하트리스'를 들려줬다고, 막판에 '페이머스' '스트롱거' '런어웨이' 같은 히트곡 퍼레이드를 선보였다고 웨스트와 긴장감을 형성하지 않을 수는 없다. 채널캔디는 유튜브로 1시간30분 남짓 해당 공연을 생중계(중간에 '정책 위반(policy violations)' 문제로 끊김) 하기도 했는데 최대 2만여명의 동시접속을 기록한 이 생중계 채팅방엔 웨스트에 대한 갑론을박이 오갔다. </p> <p contents-hash="fa95727105ea350716d9fcb3160a19140be1bb7d4123d65359a6f694cc159fe8" dmcf-pid="5Rn0HvBWtV" dmcf-ptype="general">뮤지션의 음악은 전문적인 쇼비즈니스 기능으로만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태도의 미세한 차이, 시선의 윤리적 위치가 더 나은 예술을 만드는 것 맞다. 우리는 무엇에 감동해야 옳은가. 예술가의 불확실성이 내가 예술을 소비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공연 자체에 대한 얘기만 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어떤 현상에 대해 모범답안을 내리기는 당연히 힘들지만, 그것이 혐오의 해답으로 변질돼서는 안 된다는 건 확실히 얘기할 수 있다. 웨스트의 땀보다 더 치열하게 우리가 고민하고 논의할 화두다.</p> <p contents-hash="435897b5c0e9b91ff3def5ac2b0352f6d82880504a8856753768bde5d83b9cb1" dmcf-pid="1eLpXTbYZ2"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realpaper7@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새신랑' 김종민, 28년 차 혼성 그룹 일상 "자도 자도 피곤해" [전참시] 07-27 다음 신세계 회장 딸 애니, 방 최초 공개…"작은데 드레스룸 보고 선택" ('전참시') [종합]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