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쉽의 '될 놈' 고르는 법, K팝 5세대의 새로운 표준① [홍동희의 시선] 작성일 07-26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아이브, 키키, 그리고 아이딧…<br>스타쉽의 ‘성공 계보’는 어떻게 만들어지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658QZ8te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b507717ea5f7d38213e3f0e50957f03b68b9416bd200532be0c1e27a257d31" data-idxno="538866" data-type="photo" dmcf-pid="WTovWLvaL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2063jckp.jpg" data-org-width="720" dmcf-mid="73l3Um3IM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2063jckp.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75b620a0d7c851affd656ddbac2cbc3cfa99918c6ed0c8e4bfd49113c4193c1" dmcf-pid="GWayGgyjMa" dmcf-ptype="general">(MHN 홍동희 선임기자) 지난 24일 Mnet '엠카운트다운'을 시작으로, K팝 씬에 조금 특별한 신인 그룹이 등장했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이하 스타쉽)의 신인 보이그룹 '아이딧(IDID)'. '프리 데뷔'라는 이름표를 달고 무대에 오른 이들은, 신인이라고는 믿기 힘든 무대 장악력과 팬들의 뜨거운 함성으로 자신들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이들의 무대는 한 가지 명확한 사실을 보여준다. 이제 K팝 시장에서 '프리 데뷔'는 단순한 맛보기를 넘어, 그룹의 성패를 가늠하는 '첫 번째 본게임'이 되었다는 것을 말이다.</p> <p contents-hash="a2a0c1bde97b139a578b83801c5ccbe82fbba9cabd2e4ad77ad868a7a8f55af3" dmcf-pid="HYNWHaWAJg" dmcf-ptype="general">특히 '아티스트의 명가'로 불리는 스타쉽은 이 '프리 데뷔' 공식을 누구보다 영리하게 활용하며 5세대 아이돌 시장의 새로운 성공 방정식을 쓰고 있다. 과연 그들의 전략은 무엇이며, '준비된 신인' 아이딧은 선배들의 성공 계보를 이어갈 수 있을까.</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6fff7375ad5392bec405517becd46d780be52175687973dd07f8fd64ab21ec" data-idxno="538867" data-type="photo" dmcf-pid="ZHAGZjGke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3369hmmu.jpg" data-org-width="720" dmcf-mid="q9PIleIiJ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3369hmmu.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c96618b27ff421b2b36d8f2634ea68ceb857fb20c9a4b6379cdf2b033957384" dmcf-pid="1ZkX1cXDii"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c3966b742ab6ae0cb1e433acbbdcd4dcc7a8ba5b4a535000d7933105f482a190" dmcf-pid="t5EZtkZwiJ" dmcf-ptype="general"><strong>아이브부터 키키까지, 스타쉽의 '필승 공식'은 진화한다</strong></p> <p contents-hash="77cb90eeadce4151d9f10445769aecd16bcb840d4bfba7e89b1bf1663b3b923a" dmcf-pid="F1D5FE5rMd" dmcf-ptype="general">스타쉽의 '프리 데뷔' 전략이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그들은 각 그룹의 특성과 시장 상황에 맞춰 이 공식을 끊임없이 변주하고 진화시켜왔다. 그 시작점에는 K팝 4세대를 평정한 걸그룹 '아이브(IVE)'가 있었다. 당시 스타쉽은 아이즈원 활동으로 이미 거대 팬덤을 확보한 장원영과 안유진이라는 '준비된 스타'를 축으로 삼았다. 두 사람의 존재만으로도 데뷔는 이미 보장된 흥행 수표였지만, 스타쉽은 다른 멤버들을 순차적으로 공개하며 각자의 매력을 어필할 시간을 벌었다. 이는 데뷔 전부터 팬덤의 기대를 최고조로 끌어올렸고, 아이브는 데뷔와 동시에 신인상과 대상을 동시에 거머쥐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울 수 있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b3234c265ea16a5d0947b8bde7a85fc92c4fb229bbf321a01aa919ff8aef9cd" data-idxno="538868" data-type="photo" dmcf-pid="0Frt0wtsM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4742opel.jpg" data-org-width="720" dmcf-mid="BgHQRtQ0R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4742opel.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f1ebd96ab9ce86e077978e16b1aa58b41a5feeb416db0e8fa57d77e851e1c27" dmcf-pid="UuCUzIUlnx" dmcf-ptype="general">그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스타쉽은 다음 주자 '키키(Kiki)'를 통해 또 다른 공식을 증명했다. '준비된 스타'가 없는 상황에서, 이들은 양질의 웹 시리즈 형태의 프리 데뷔 콘텐츠를 통해 탄탄한 세계관과 서사를 먼저 구축하는 방식을 택했다. 팬들은 음악뿐만 아니라 스토리에 먼저 몰입했고, 이는 정식 데뷔 후 '키키'가 단숨에 차트 최상위권에 오르며 '콘셉트 장인'이라는 찬사를 받는 결정적인 동력이 되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3493a547c51a988db07bc028932dfcc11d42893b1ea6bc89dc24c7e3be66a5e" data-idxno="538870" data-type="photo" dmcf-pid="7zl7Bh7vn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6074zwlx.jpg" data-org-width="720" dmcf-mid="PNBLaqLKd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HockeyNewsKorea/20250726130136074zwlx.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9add5d2967e09f8d792f0045090c29034c7ca61a1a51886963492e940d96eaa6" dmcf-pid="qBvqKSqyd8" dmcf-ptype="general">그리고 그 진화의 정점에 바로 '아이딧(IDID)'이 있다. 스타쉽은 아이딧을 위해 '데뷔스 플랜'이라는 자체 서바이벌 프로그램을 론칭하는, 가장 길고 품이 많이 드는 방식을 택했다. 이는 멤버들의 성장 과정을 팬들에게 처음부터 고스란히 노출하며, 시청자들이 직접 '내 아이돌'을 키워냈다는 깊은 유대감을 형성시키기 위함이었다. 수개월간의 서사를 통해 구축된 이 강력한 '코어 팬덤'은, 아이딧이 9월 정식 데뷔 때 폭발적인 성적을 거둘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보증수표가 되어주었다. 이처럼 스타쉽의 '프리 데뷔'는 이제 하나의 방식이 아닌, 그룹별 맞춤형 '론칭 시스템'으로 완벽하게 자리 잡았다.</p> <p contents-hash="4f66b1feb216ee66354ecc9a8cd7fb68aa1fdd2b57596247ff2241d29f2af8c4" dmcf-pid="BbTB9vBWd4" dmcf-ptype="general"> ②에서 계속...</p> <p contents-hash="edde8b78a62e55eeb0cb11022fdbdbb7b7f19e34fe82c8ff24105f25fd9318eb" dmcf-pid="bKyb2TbYif" dmcf-ptype="general">사진=MHN DB, Mnet 엠카운트다운, 스타쉽엔터테인먼트</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슈스케2’ 김지수 미용사로 제2의 삶 공개…강승윤 장재인도 “예약하기 힘들어” 07-26 다음 스타쉽의 '될 놈' 고르는 법, K팝 5세대의 새로운 표준② [홍동희의 시선] 07-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