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 원인 불확실"…올 상반기 글로벌 인터넷 셧다운 '재확산' 작성일 07-26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광케이블 절단·라우터 오류·디도스 공격…인터넷 인프라 불안정성 노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LOTr8EQgE"> <p contents-hash="e8370effd26c977b8b311c736547e3b830fa248480d4d62d0d3bdfc69ddedfee" dmcf-pid="6oIym6Dxck"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김미정 기자)올 상반기 특정 국가 인터넷 중단이 국경을 넘는 피해를 준 사례가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p> <p contents-hash="b57b38b7741887ee3e8586e529ece2b100de50793404d4a3d232d64f4866da2f" dmcf-pid="PgCWsPwMNc" dmcf-ptype="general"><span>26일 </span><span>클라우드플레어가 </span><span>올해 </span><span>2분기 </span><span>인터넷 </span><span>중단 </span><span>사례를 </span><span>정리한 </span><span>보고서에 </span><span>따르면 </span><span>이같은 </span><span>현상이 </span><span>연달아 </span><span>일어난 </span><span>것으로 </span><span>나타났다. </span><span>보고서는 </span><span>125개국 </span><span>330개 </span><span>도시를 </span><span>연결하는 </span><span>클라우드플레어 </span><span>네트워크 </span><span>데이터 </span><span>기반으로 </span><span>작성됐다. </span></p> <p contents-hash="8fa58f8cb5d6a1a568a38bfa1ee58408dde303b12e48e07da045ec29657e316d" dmcf-pid="QahYOQrRAA" dmcf-ptype="general"><span>특히 이번 분기에는 리비아와 이란, 이라크, 시리아, 파나마 등에서 정부 주도 인터넷 셧다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국가 시험 부정행위 차단이나 정치 시위 대응이 주된 이유였으며 대부분 수 시간에서 수 일에 걸친 접속 제한이 반복됐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f68b54b815ada2e8f1604df3c3dbb1c5b48b8fb4e3b65f5d59424156f8c559f" dmcf-pid="xNlGIxmeo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특정 국가 인터넷 중단이 국경을 넘는 피해를 준 사례가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클라우드플레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ZDNetKorea/20250726110045147andv.png" data-org-width="640" dmcf-mid="42daM1P3N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ZDNetKorea/20250726110045147and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특정 국가 인터넷 중단이 국경을 넘는 피해를 준 사례가 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클라우드플레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ffd3bfeadfd59efd1bc6672a3065b8c12addc42f02e911d22e99387cda5548c" dmcf-pid="y08eVyKGoN" dmcf-ptype="general">정전도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4월 포르투갈과 스페인 전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은 양국 인터넷 트래픽을 각각 90%와 80% 가까이 줄였다. 모로코까지 간접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몰디브, 세인트키츠네비스, 푸에르토리코 등 전력 인프라가 불안정한 지역에서도 일시적 셧다운이 발생했다.</p> <p contents-hash="aed492e0be75a0e42fcd242e2bd2cec14b66815bac83315b4ea6d40f66e9e665" dmcf-pid="Wp6dfW9Haa" dmcf-ptype="general">광섬유 케이블 절단 사고도 인터넷 중단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아이티와 말라위의 주요 공급자는 공공기물 파손과 외부 요인으로 각각 수 시간 이상 네트워크가 끊겼고 IPv4 및 IPv6 주소 공간마저 0으로 줄어든 사례도 있었다.</p> <p contents-hash="389896fa6cdf4175a10f19260bcea8b80de441bb4bab1bfdf4a81df413e4f4a5" dmcf-pid="YUPJ4Y2Xog" dmcf-ptype="general">기술적인 실수 역시 잇따른 것으로 확인됐다. 벨캐나다는 라우터 업데이트 실패로 수 시간 동안 트래픽이 70% 급감했고 루멘은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오류 추정 문제로 미국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가 끊겼다. DNS 설정을 클라우드플레어로 바꾼 이용자만 접속이 가능했다는 분석도 나왔다.</p> <p contents-hash="23096fa75951d9f47033d838366995e2e324e9bd8e2e6cebda5d996b1bbb12cc" dmcf-pid="GuQi8GVZco" dmcf-ptype="general">러시아 인터넷 서비스 업체 ASVT는 초당 70기가비트 넘는 디도스 공격을 받아 10시간 이상 네트워크가 마비됐다. 과도한 트래픽은 자사 DNS 대신 클라우드플레어 DNS로 몰리게 했고 복구 이후에도 수일간 정상 트래픽으로 돌아오지 못했다.</p> <p contents-hash="57893fc3f435b947662b73f1e09dbe26189ca988cdf237fa26d1022006b2bfb7" dmcf-pid="HBegx56FgL" dmcf-ptype="general">설명할 수 없는 중단도 이어졌다. 핀란드 필리핀 태국 시리아 등에서는 정부나 사업자 발표 없이 유무선 연결이 모두 사라지는 사건이 벌어졌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이러한 경우에서도 IPv4·IPv6 트래픽 변화나 DNS 요청량을 통해 유의미한 이상 징후를 추적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p> <p contents-hash="0333601baf94265ecd747f8d9a1f4c39a8b8bb83f8ab820eb3bb91b846302aad" dmcf-pid="XbdaM1P3gn" dmcf-ptype="general">클라우드플레어는 "이번 분기에 인터넷 중단이 국경을 넘는 피해를 낳았다"며 "인터넷은 전기처럼 상호 연결된 인프라이며 복원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30aa4a54026b05722401fabff354da8f832504468110628076981f72c3110159" dmcf-pid="ZKJNRtQ0ci" dmcf-ptype="general">김미정 기자(notyetkim@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직접 짓지 말고 맡겨라…AI 시대 '코로케이션' 데이터센터 열풍 07-26 다음 [게임위드인] 게임사는 왜 웹툰에 주목하나…'IP 확보' 경쟁 07-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