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리 손실 감당 못해” 인텔 신규공장 건설 중단…TSMC 독주 가속, 삼성은? 작성일 07-26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인텔 분기 순손실 4조원<br>독일 등 파운드리 투자 철회<br>직원 2만명 구조조정 계획</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6tzKW9HT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3ad441e1b098b8f835bd9e1af84666a82e0584903309d69b9a95d5064ed55b3" dmcf-pid="1k6Jobg2C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위치한 인텔 본사 사옥. [인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mk/20250726073602311byhx.jpg" data-org-width="700" dmcf-mid="9WvZFm3Iv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mk/20250726073602311byh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위치한 인텔 본사 사옥. [인텔]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887a27ff547692220d868ea7b0f3e3f24830d0cd01a54b942b5d6485fd742f8" dmcf-pid="tEPigKaVWN" dmcf-ptype="general"> 한때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이었던 인텔이 대규모 구조조정 계획과 함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투자 계획을 철회했다. 이에 따라 인텔이 사실상 파운드리 사업에서 철수하고, 인공지능(AI) 반도체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div> <p contents-hash="bbdf0b00ef8673c8f6974d8a8d14126aa7a039f8902babef8670608eefca9641" dmcf-pid="FDQna9NfTa" dmcf-ptype="general">24일(현지시간) 인텔은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2분기 매출이 126억달러(약 17조376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고, 순손실은 29억달러(약 4조원)로 전년 동기 16억1000만달러보다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손실은 내부 고객 물량이 대부분인 파운드리 부문에서 발생했다. 파운드리 부문은 매출 44억달러, 영업손실 31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926540a3c9592a22d5242382db43c4cca64991d18044c4de40ea5fe8bdf7d03b" dmcf-pid="3wxLN2j4Sg" dmcf-ptype="general">부문별로 보면 PC용 중앙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팅 매출은 78억7000만달러(약 10조 8481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감소한 반면, 서버용 CPU와 AI 칩을 생산하는 데이터센터 그룹 매출은 39억4000만달러(약 5조4302억원)로 3.7% 증가했다.</p> <p contents-hash="13befe90332a3f3ba6506084444b2326d8733252266242272a62369634495af9" dmcf-pid="0rMojVA8yo" dmcf-ptype="general">인텔은 이날 대규모 구조조정 계획도 발표했다. 연말까지 인력을 2만1000명 이상 추가 감축하고, 독일과 폴란드에서 진행 중인 파운드리 공장 건설을 중단하기로 했다.</p> <p contents-hash="8abc2837691e7d4bf973792c40e140dddf26f1d41bf16b769ad6be63095ba39c" dmcf-pid="pmRgAfc6yL" dmcf-ptype="general">올해 3월 취임한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내부 메모를 “더 이상의 백지수표는 없다. 모든 투자는 경제적 타당성을 갖춰야 한다”고 통해 밝혔다. 미국 오하이오주에 건설 중인 공장은 설립 속도를 조절하기로 했으며, 최첨단 공정인 1.4나노미터(14A)는 확정된 고객 주문을 기반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42c78dd06d527f627bde7c81210d9dd7bccad9668ec046569631c200a9c2287" dmcf-pid="Useac4kPT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6/mk/20250726073603557ztzr.jpg" data-org-width="329" dmcf-mid="2wIWXkZwW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6/mk/20250726073603557ztzr.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ab270e312a2a81b9e022d1c02e8a349f7676f0ae98ab0e2bd424df6e516b7f47" dmcf-pid="uOdNk8EQTi" dmcf-ptype="general"> 다만 그는 “1.8나노미터(18A)의 새로운 제조 공정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연말부터는 경쟁력 있는 칩들이 생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div> <p contents-hash="7ba9d523fa0601298af1503e18028771c49dcdb264e60f865b3f624d246a7ab4" dmcf-pid="7TawOeIiyJ" dmcf-ptype="general">반면 립부 탄 CEO는 AI 반도체 시장에 대해선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반도체, 시스템, 소프트웨어까지 아우르는 AI 풀스택을 구축하고 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반면 수익성이 떨어지는 반도체 제조보다 AI 반도체 설계에 집중하는 모습이다.</p> <p contents-hash="dc44b9227077914def47c6c59105dada171fed0cd0bfca559fccb79643d207ce" dmcf-pid="zyNrIdCnCd" dmcf-ptype="general">이번 발표로 인텔은 파운드리 사업에서 대대적으로 후퇴할 뿐만 아니라 사실상 철수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인텔이 증권 보고서에서 “14A 공정이 외부 대형 고객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파운드리 사업에서 철수할 수 있다”고 밝힌 내용을 보도했다.</p> <p contents-hash="0abbfda85fc3539852c3f1fceee2bc638487ecb85ba443f2911bc6a3e4ce67a4" dmcf-pid="qWjmCJhLle" dmcf-ptype="general">인텔의 파운드리 철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에서 TSMC의 독주 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올해 말부터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TSMC의 반도체 생산이 시작되면 애플, 퀄컴 등 주요 고객들이 TSMC를 더욱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의 자국 생산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cec1dbe6202d891e25f8e87c9e574b7ad0c680d60f5144a25a1ffcee3d73e09a" dmcf-pid="BYAshilolR" dmcf-ptype="general">미세 공정에서 높은 기술력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선단 공정 파운드리는 그동안 TSMC, 삼성전자, 인텔 등 3개 기업만이 가능했다. 2021년 인텔은 그동안 자사 제품에만 사용하던 제조 역량을 외부에 개방하며 파운드리 재진출을 선언했지만, 이번 발표로 향후 전망이 불투명해졌다.</p> <p contents-hash="1f3b7774fe50d77987b2e4d391acb0ca015acf69dec468569ae52354bae7c4e4" dmcf-pid="bGcOlnSgvM" dmcf-ptype="general">TSMC와 경쟁해온 삼성전자는 퀄컴 등 핵심 고객이 이탈하면서 시장 점유율이 크게 하락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TSMC 67.6%, 삼성전자 7.7%, SMIC 6% 순이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 개발자용 워크스테이션 경쟁치열…델·HP·레노버 라인 가격은 07-26 다음 박나래, 23년지기 남사친과 '포옹+쓰담'...핑크빛 중 대반전 "결혼하는구나" ('나혼산') 07-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