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주 완벽했던 '바람의 아들', 지도자 길에선 결정적 '헛스윙'[이달의 스포츠 핫 피플] 작성일 07-26 33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18> '야구 천재' 이종범</strong><div style="margin: 32px 0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line-height: 24px; font-size: 14px; color: rgb(153, 153, 153); letter-spacing: -0.5px;"><h3 style="border-left: 3px solid rgb(82, 145, 171); margin: 0 0 8px; padding: 0 0 0 10px; 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6px; color: rgb(82, 145, 171); display: block; font-weight: 500;">편집자주</h3><span style="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최근 가장 '핫'한 스포츠 이슈를 찾아 주요 인물의 스포츠 인생을 정리해보는 코너입니다. 프로 무대의 스타플레이어를 비롯해 아마추어 '신성', 지도자, 체육단체장 등 하루하루 숨 가쁘게 변화하는 스포츠 세상 속에 사는 인물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들여다봅니다.<br></span></div><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1_20250726043120712.jpg" alt="" /><em class="img_desc">한국 프로야구의 전설 이종범이 2012년 4월 5일 서울 강남구 리베라호텔에서 현역 은퇴 기자회견을 진행하던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최강야구'를 살리는 것이 한국 야구의 붐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고 본다."<br><br>TV 예능프로그램 '최강야구'의 감독으로 변신한 이종범(55)이 내놓은 변이다. 그는 지난달까지만 해도 프로야구 KT 코치였다. 그러나 한창 시즌 중인 소속팀을 갑작스레 떠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야구팬들 사이에 논란이 일었다. 일각에선 프로야구 코치진의 열악한 처우로 논의를 확장하기도 했지만, 야구팬 대다수는 '한국 야구의 상징성을 띤 인물이 시즌 중 무책임하게 팀을 버렸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야구 천재' '바람의 아들' '종범신' 등 화려한 미사여구를 뒤로하고 예능프로그램으로 떠난 이종범의 야구인생을 '이달의 스포츠 핫 피플'에서 짚어봤다. <br><br><div style="margin: 32px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border-top: 1px solid rgb(17, 17, 17);"></div><h3 style="margin: 0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4px; color: rgb(102, 102, 102); line-height: 34px;">우연이 겹쳐 탄생한 '야구 천재'</h3><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2_20250726043120743.jpg" alt="" /><em class="img_desc">해태 시절 이종범(오른쪽)이 1994년 6월 2일 롯데전에서 도루를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영화 '스카우트'에는 인상적인 한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이 먼지를 풀풀 날리는 운동장에서 축구를 하고 있는 소년에게 "너 야구 해볼 생각 없어?"라고 권한 후 캐치볼을 하는 장면이다. 극 중 이 소년의 이름이 이종범이다. 극을 위해 지어낸 설정이지만, 어느 정도 사실을 반영한 장면이기도 하다. '야구 천재'의 첫 꿈은 의외로 축구선수였다. 광주에서 유명한 축구인이었던 외삼촌(김화식)은 조카의 운동 재능을 보고 축구선수로 키우려고 했다. 그러나 불행인지 다행인지 학교 축구부가 없어지면서, 이종범은 '동네 친한 형'인 김기태 전 KIA 감독을 따라 서림초 3학년 때 야구부에 입단했다.<br><br>우연이 겹쳐 시작한 야구지만 천재는 역시 떡잎부터 달랐다. 이종범은 서림초와 충장중을 모두 우승으로 이끌었고, 광주일고 3학년 때인 1988년 청룡기에서는 결승에서 군산상고(현 군산상일고)를 상대로 연장 11회 끝내기 역전 2타점 적시타를 치며 39년 만에 모교에 우승트로피(5-4 승리)를 안겼다. 물론 이 대회 최우수선수(MVP)도 이종범이었다.<br><br>대표팀에서도 일찌감치 빛을 냈다. 건국대 1학년 때부터 태극마크를 단 그는 1989년 제15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서 일본의 노모 히데오를 상대로 4타수 2안타 2도루를 기록하는 등 매 경기 맹활약했다. 비록 한국은 일본에 1-5로 패했지만, 대회 최종 결과 한국·일본·대만이 공동우승을 차지하면서 신예 이종범의 이름도 두고두고 회자됐다.<br><br><div style="margin: 32px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border-top: 1px solid rgb(17, 17, 17);"></div><h3 style="margin: 0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4px; color: rgb(102, 102, 102); line-height: 34px;">타율 0.393·84도루... 전설이 된 '바람의 아들'</h3><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3_20250726043120778.jpg" alt="" /><em class="img_desc">상대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던 해태 시절의 이종범(가운데).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야구 천재'의 진가는 프로에서 더욱 빛났다. 1992년 11월 프로야구 신인드래프트 1차 지명으로 해태(현 KIA) 유니폼을 입은 그는 데뷔 해인 1993년 타율 0.280 133안타(2위) 16홈런(4위) 85득점(1위) 73도루(2위)라는 뛰어난 성적으로 프로무대에 안착했다. 특히 전준호(당시 롯데·75도루)와 펼친 도루왕 경쟁은 그가 전국구 스타로 떠오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정규시즌 막판 몰아주기 의혹이 일긴 했지만, 종전 김일권의 최고 기록(62도루)을 훨씬 웃도는 둘의 경쟁은 프로야구 팬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했다. 양준혁(당시 삼성)에 밀려 신인왕을 타진 못했지만, 그는 한국시리즈에서 타율 0.310(29타수 9안타) 4타점 7도루로 맹활약하며 팀 선배 선동열을 제치고 MVP를 차지하는 영광을 안았다.<br><br>'바람의 아들'에겐 2년 차 징크스도 없었다. 1994년 이종범은 그야말로 범접 불가의 대스타로 성장했다. 전년도 도루왕을 놓친 아쉬움을 털어 내기라도 하듯, 개막 직후부터 그라운드를 질주한 그는 시즌 84도루라는 전대미문의 대기록을 남겼다. 훗날 도루 효용성에 대한 의문과 부상위험 등이 대두되면서 추세가 변했다는 점을 감안해도, 최근 도루왕들(30~40개)의 기록을 아득히 앞서는 수치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4_20250726043120815.jpg" alt="" /><em class="img_desc">이종범이 해태 시절 타석에서 타격을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이종범은 그해 도루에서만 빛난 게 아니다. 4할에 육박하는 타율(0.393)을 비롯해 안타(196)와 출루율(0.452) 부문에서도 1위에 오르며 타격 4관왕을 기록했다. 현재 기준으로는 득점왕(113점)까지 더해 5관왕을 달성했을 성적이다. 뿐만 아니라 19홈런(4위)을 포함한 장타율 0.581도 홈런왕 김기태(0.590)에 이은 2위였다. 내야 수비의 핵심인 유격수 포지션을 소화하면서도 경악할 만한 성적을 거둔 그는 자연스럽게 정규시즌 MVP 트로피를 거머쥐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5_20250726043120851.jpg" alt="" /><em class="img_desc">이종범이 1994년 정규시즌 최우수선수(MVP)에 뽑힌 후 꽃다발을 들고 환하게 웃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이후에도 이종범의 활약은 멈출 줄 몰랐다. 그는 1997시즌까지 5년간 통산 타율 0.332, OPS(출루율+장타율) 0.954, 우승 3회, 정규시즌 MVP 1회, 한국시리즈 MVP 2회, 골든글러브(유격수 부문) 4회 수상 등 괴물 같은 성적을 기록하며 한국 야구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리고 그 순간 그의 야구 인생 첫 번째 변곡점이 찾아왔다.<br><br><div style="margin: 32px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border-top: 1px solid rgb(17, 17, 17);"></div><h3 style="margin: 0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4px; color: rgb(102, 102, 102); line-height: 34px;">일본에서 맞은 야구 인생 최대 고비</h3><br><br>이종범은 개인 세 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린 1997시즌 직후, 해태의 자금난을 이유로 일본 프로야구(NPB) 주니치의 유니폼을 입었다. 한국보다 한 수 위로 평가받는 일본 프로무대에서도 그의 천재성은 빛났다. 이종범은 시즌 초반 3할을 넘나드는 타율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주루 플레이로 일본 야구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의외로 수비에서 많은 실책을 범했음에도, 그는 뛰어난 공격력으로 이를 상쇄하며 NPB에 순조롭게 녹아 드는 듯했다.<br><br>그러나 같은 해 6월 그는 야구 인생 최대의 고비를 맞았다. 한신전에서 상대 투수가 던진 몸쪽 공에 오른쪽 팔꿈치를 맞으면서 골절 부상을 당해 잔여 시즌의 대부분을 결장했고, 복귀 후에는 유격수가 아닌 외야수로 경기에 나서야 했다. 공격 지표도 눈에 띄게 나빠지기 시작했다. 첫해인 1998년 타율 0.283 10홈런 18도루 OPS 0.873을 기록했던 그는 이듬해엔 타율 0.238 9홈런 33타점 24도루 OPS 0.683의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2000년 2군에서 출발하고도 시즌 타율을 0.275까지 끌어올리며 반등하기도 했지만, 결국 2001년 1군과 2군을 오가면서 주로 대타와 대수비로 출전하다 같은 해 8월 KIA로 복귀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6_20250726043120887.jpg" alt="" /><em class="img_desc">이종범이 일본 프로야구 진출 첫해인 1998년 6월 23일 한신전에서 팔꿈치에 공을 맞고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친정으로 돌아온 이종범은 2005년까진 준수한 외야수로 활약, 두 번의 골든글러브(2002·03년)를 더 수상했다. 그 이후에는 전성기에 버금가는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이 시기 그가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건 2009시즌 한국시리즈 1차전 두 번의 적시타 정도였다. 결국 '바람의 아들'은 2011년 10월 12일 SK와 준플레이오프 4차전 9회말 대타 기용을 마지막으로 현역 생활을 마무리했다. <br><br>유니폼을 벗은 뒤 잠시 숨을 고른 이종범은 2013년 한화 주루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2014시즌 김성근 감독의 부임과 동시에 다시 야인이 된 그는 2019시즌부터 LG에서 지도자 생활을 이어갔지만, LG가 29년 만에 통합우승을 이룬 2023시즌 직후 코치직을 내려놓았다. 아들 이정후(샌프란시스코)와 사위 고우석(디트로이트)이 미국 진출을 앞둔 시점이었다. 당시 그는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감독이 되고 싶은 꿈이 있다"며 "공부가 필요할 것 같아 (이)정후의 미국 진출과 맞물려 연수를 떠날 생각"이라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그리고 그는 2년이 지난 올해 예능프로그램 야구팀 사령탑에 오르며 결국 꿈을 이뤘다.<br><br><div style="margin: 32px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border-top: 1px solid rgb(17, 17, 17);"></div><h3 style="margin: 0 0 21px;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font-size: 14px; color: rgb(102, 102, 102); line-height: 34px;">야구 천재에게 남은 마지막 '한 방' </h3><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5/07/26/0000878212_007_20250726043120921.jpg" alt="" /><em class="img_desc">이종범이 현역 시절인 2010년 6월 20일 한일 통산 2,000안타를 눈앞에 두고 본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em></span><br><br>"한국 야구의 흥행과 저변 확대, 은퇴 선수들의 재조명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취지의 프로그램에 새로운 역할로 참여하기로 결심했다."<br><br>이종범이 '최강야구' 사령탑에 부임하면서 내세운 명분이다. 이어 "몇몇 은퇴한 후배들에게 연락이 와, 내가 구심점이 돼 '최강야구'를 이끌어 주길 부탁받았고, 여러 날을 고민했다"고 덧붙였다. 후배들의 입지 확대와 한국 프로야구의 발전을 위해 고심 끝에 '최강야구'행을 결심했다는 의미다.<br><br>하지만 그는 이 입장 발표로 또 한 번 구설에 올랐다.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파악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종범의 '최강야구'행이 비난받는 이유는 어긋난 타이밍 때문이다. 만약 올 시즌 KT 코치직을 온전히 마무리한 후에 자리에서 물러났다면, 그를 향한 비판은 일지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역대 '최강야구' 사령탑인 이승엽·김성근 감독은 예능 야구팀 감독직을 맡았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은 적이 없다. 가뜩이나 팬들의 배신감이 커진 상황에서, 이종범은 과도한 의미 부여로 그럴싸한 명분까지 챙기려다 오히려 일을 키웠다.<br><br>이종범은 코치직 사퇴 시점과 엉뚱한 해명으로 이미 두 번의 헛스윙을 했다. 남은 기회가 많지 않다는 뜻이다. 어차피 프로야구 업계에선 그가 현장으로 돌아오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제 그가 마지막으로 노릴 수 있는 '한 방'은, 9월 방영 예정인 '최강야구'를 통해 진정한 방송인으로 자리매김하는 길밖에 없어 보인다.<br><br> 관련자료 이전 정준원, MZ샷 찍으려다 무리수.. 얼굴 합성 사진 "짠해" "뭘해도 귀여워" 07-26 다음 ‘배용준♥’ 결혼 11년차 박수진, 근황 포착…하와이 떠나 서울 ‘여전한 미모’[Oh!쎈 이슈] 07-2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