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줄퇴사’ 터질게 터졌다…“위로금 4억, 자녀 학자금 줄테니 나가라” 특단 조치 작성일 07-25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BxdqzJqX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ee12298cd3f928d987a937437758f16f0e318fcaaeca27a19d143f818c757b9" dmcf-pid="ywyHDEXDZ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G유플러스 사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d/20250725214212777owtt.jpg" data-org-width="1280" dmcf-mid="6e53CI0CZ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d/20250725214212777owt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G유플러스 사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c8b2c01b9496dfb2f553c31ebe1e59c41a0aad5a0df72cb5f47850e2c13d5a5" dmcf-pid="WrWXwDZwHw"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LG유플러스가 파격적인 위로금을 걸고 3년 만에 희망퇴직을 단행한다.</p> <p contents-hash="2f9a4e20fb2d6749ae06703c22e4effbbaf723541281bc8a004b76352179cf21" dmcf-pid="YmYZrw5rXD" dmcf-ptype="general">1968년 이후 출생자의 경우 연봉의 3배까지 받을수 있다. 최대 4억원대의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까지 지원하는 파격적인 조건이다.</p> <p contents-hash="5893460556873ed373d99b01b8173b8cd0231bcaa2be6bbae976dc0f62977043" dmcf-pid="GsG5mr1mYE" dmcf-ptype="general">25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오는 8월 1~19일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고 사내 공지했다. 만 50세 이상 10년 이상 근속자가 대상이다.</p> <p contents-hash="2786624639e5a5454dcc14651b1434c17c8ecf1ebaafef18d0c3f356bf699904" dmcf-pid="HqQez7dzGk" dmcf-ptype="general">퇴직 지원금은 출생연도에 따라 달라진다. 1965년 출생자는 연봉의 20%, 1966년 출생자는 연봉의 1.1배, 1967년 출생자는 연봉의 2.1배, 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는 연봉의 3배를 지원한다.</p> <p contents-hash="f747991bfd95055074fe3b6f43a6ad31a14c9e0ef72a62870c9452e2e12ba1ad" dmcf-pid="XBxdqzJqZc" dmcf-ptype="general">연봉의 10%도 성과급으로 지급한다. 중학생 자녀를 둔 직원은 학자금으로 500만원을, 고등학생 자녀를 둔 직원은 자녀당 700만원을 받는다. 대학생 자녀를 둔 직원은 한 학기 최대 750만원 한도 내 실비를 지원한다.</p> <p contents-hash="8569c010d31336e988d6a473bba3b14ff67a5bc545203deec609bd3e9cc4d91a" dmcf-pid="ZbMJBqiBZA"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의 희망퇴직은 2022년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단행한 후 이번이 두 번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157e6b5f8288ee7e4d61f24461a3f1da7598c515b3545801e9f028481f395f9" dmcf-pid="5KRibBnbY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T 사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d/20250725214213116gvwq.jpg" data-org-width="647" dmcf-mid="PuPR7ue7Z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d/20250725214213116gvw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T 사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e925629c04c93ce6c43ed0c291ee3ae3549941dc47ee957eab747ca8e6e92f2" dmcf-pid="19enKbLKYN" dmcf-ptype="general">앞서 KT는 퇴직금과는 별개로 최대 4억 3000만원에 달하는 ‘희망퇴직보상금’를 내걸고 고령 직원의 퇴직을 유도했다. 무려 2800명에 달하는 퇴직 희망자가 몰려 화제가 됐다. SK텔레콤도 지난해 만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기존에 주던 5000만원 퇴직위로금을 최대 3억원으로 인상했다.</p> <p contents-hash="b570e38d70eb3bbf376142d5f128489120dc720f298d4d233388de8a864628c6" dmcf-pid="t2dL9Ko95a" dmcf-ptype="general">고령화가 심화돼, 고령 직원에 대한 희망퇴직 유도와 세대 교체를 위해서다.</p> <p contents-hash="bf4b6df101cca0382efba986c5b76d822a0d2c76b0cef73132e46fb041fa70e2" dmcf-pid="FVJo29g2Gg" dmcf-ptype="general">50대 과장 인력이 수두룩한 KT에 이어 다른 대기업들도 40대 직원이 막내인 부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대 젊은 직원들의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다.</p> <p contents-hash="1227a84dbe73edfd0fde9fcd1de0cf1c84c7947570bb03411cf7a827c2c1cec0" dmcf-pid="3figV2aVGo" dmcf-ptype="general">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100대 기업 중 67곳을 대상으로 2022~2024년 연령대별 임직원 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대 직원 비중이 2년 사이 25%에서 21%로 급락했다. 숫자로 보면 4만7498명 줄었다. 반면 30대 이상 임직원 수는 3만5232명 늘었다.</p> <p contents-hash="0603cde7cd20dafc850e42330de9e49a80df829541809ce893d4218a4126aad4" dmcf-pid="04nafVNfGL" dmcf-ptype="general">특히 삼성전자는 지난해 40대 이상 직원 수가 처음으로 20대 직원 수를 앞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직원 3명 중 1명이 간부급 직원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01f985e1911e5a55a436f05227d74c5827c20eda424e0b70a95cc6fd9f876ff" dmcf-pid="p76MuURu5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텔레콤 사옥 [사진, 뉴시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d/20250725214213361wvbv.jpg" data-org-width="512" dmcf-mid="QWZFIO3IY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d/20250725214213361wvb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텔레콤 사옥 [사진, 뉴시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9d19483a3466445786ca275416869226b67fb6aedf00da30a08eb127ab63c6" dmcf-pid="UzPR7ue7Xi" dmcf-ptype="general">대기업 인력 구조가 노화되면서 청년들의 취업문이 더 좁아지고 있단 분석이다. 반면 고령차 직원들도 100세 시대 늘어난 기대수명 속 월급을 받을 수 있는 직장에서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텨야’하는 상황이다.</p> <p contents-hash="158428407c5f91d1c7e6c195f0fb3515a6510b645f4d3c2baa1a0a6902dd02dc" dmcf-pid="uqQez7dzHJ" dmcf-ptype="general">결국 기업들이 파격적인 위로금 카드를 꺼내 들고 있다. 인위적인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위로금 금액이 많아야, 고령 직원의 퇴직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에게 장애인 차별 댓글 감별하게 했더니…미국 AI는 너무 예민, 인도 AI는 너무 둔감 07-25 다음 혼신의 질주로, "트라이!"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