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AI 후보기업 10곳 압축…네카오·SKT·KT·NC 등 1차 관문 통과 작성일 07-25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서면평가 진행해 15개→10개 팀으로 압축<br>발표 평가 거쳐 최종 5개 팀 선발…8월 초까지 완료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rIzeRme1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85ca17fe84c30edee869b0859a5f14539ab2d4337fdfa360cf0e0cd221dd75e" dmcf-pid="0mCqdesd5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wsis/20250725185056787anqd.jpg" data-org-width="700" dmcf-mid="FJ1MDEXDX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newsis/20250725185056787anqd.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e651d2ca3872795d5a73b8360c96b0683de898d610fe652a0982a3b42251ab20" dmcf-pid="pshBJdOJG4"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심지혜 기자 = 국가대표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맡을 10개 팀이 최종 1차 관문을 통과했다. </p> <p contents-hash="ccfd0b38698c84458b9d71011e5e2df0965faed54249c62f5e48a7532d1f3992" dmcf-pid="UOlbiJIiHf"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공모에 접수한 15개 정예팀의 제출서류에 대해 서면평가를 진행한 결과 10개 팀으로 압축했다고 25일 밝혔다.</p> <p contents-hash="0c02ad08084de2f33737eecf4f14b22b296cb07fb59ce1d5901ca186da64911a" dmcf-pid="uISKniCntV" dmcf-ptype="general">이번 발표는 제출서류의 적합성 검토와 서면평가를 거친 결과로, 발표평가 대상 10개 팀을 확정한 단계다.</p> <p contents-hash="a06f1eb050c78d40f52a730e8babe9313c0b93d9a5f3504988efb9f47cb04b53" dmcf-pid="7Cv9LnhL12"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서면평가가 실략있는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객관적, 공정한 평가를 진행하는 데에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fa8071f2e0363cc31ba90947765f978cae3ce0ef201a92dc7658041261eb8e2" dmcf-pid="zhT2oLlot9" dmcf-ptype="general">선정된 10개 팀은 ▲네이버클라우드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카카오 ▲KT ▲코난테크놀로지 ▲파이온코퍼레이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다. </p> <p contents-hash="a4a4f29da92b5249c20f17d7512009ae9f9651126dbd20e879a75cecd6d14ac2" dmcf-pid="qrIzeRmetK" dmcf-ptype="general">지난 21일 마감한 프로젝트에 주관기관으로 신청했던 루닛, 바이오넥서스, 사이오닉에이아이, 정션메드, 파이온코퍼레이션은 1차 관문을 넘지 못했다.</p> <p contents-hash="35f24b1f6f41d1288f187843c833e299df1f002813dbc1a15b765d65e31c096a" dmcf-pid="BmCqdesdXb"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서면평가를 통과한 10개 팀을 대상으로 발표 평가를 진행해 최종 5개 정예팀을 선정할 방침이다. 이후 사업비 심의·조정 등의 절차를 거쳐 8월 초까지 정예팀 최종 선정 및 협약 체결을 완료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da512d2de9e1ecc4b366ef9466fbd7dd7018439c6a33663d3cfb741bd5ea0621" dmcf-pid="bshBJdOJXB" dmcf-ptype="general">한편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은 6개월 이내 출시한 최신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목표로 한다. 거대언어모델(LLM), 멀티모달모델(LMM), 액션모델(LAM) 등으로 고도화 하거나 병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글로벌 파급력 있는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을 확보한다는 목표다.</p> <p contents-hash="13bedaaa8b7cbd510e8b91cf2069665fe4f21aa7a07b066b897af936927c0840" dmcf-pid="KOlbiJIiXq"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최종 선정된 이들을 대상으로 개발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인재를 지원한다.</p> <p contents-hash="ce40d9e644cb5f74db16b8661171fbc0390428d9582ac31dd26cb7f797a109f1" dmcf-pid="9ISKniCnXz" dmcf-ptype="general">GPU는 팀당 500장부터 시작해 단계평가를 거쳐 1000장 이상 규모를 지원한다. 팀당 데이터 공동구매는 연간 100억 원, 데이터 구축·가공은 연간 30억~50억 원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인재는 정예팀이 유치하면 정부가 연간 20억 규모를 매칭해 지원한다.</p> <p contents-hash="f38515d1e23dc2c7bd987cdd4d97c2c57d1f8c015cf79e53aa4915f24d06b77c" dmcf-pid="2Cv9LnhL57"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siming@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윤계상·김요한 ‘트라이’, 오늘(25일) 첫 방송… 관전 포인트는? 07-25 다음 '70억 家' 박수홍 딸, 9개월에 '최연소 조합원' 됐다…"익숙해져야 돼" (행복해다홍)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