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단거리 지대공 ‘미스트랄3’ 공동 조달…韓 ‘신궁’ 수출 ‘빨간불’ [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작성일 07-25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우크라이나 전쟁 계기 지대공 미사일 중요성 커져<br>유럽, 해상 대응 능력 ‘미스트랄 3’ 성능 개량 박차</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lzHyTqyWe"> <p contents-hash="9393c24f81c196ce23f4d2b27f8b3d8042433322e2c62af7e6a7a57a39e0b71f" dmcf-pid="2SqXWyBWCR" dmcf-ptype="general">[서울신문 나우뉴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f5027c92727c22195294b86d9c179d74e374b015ecdab06413539b57d283ad4" dmcf-pid="VvBZYWbYS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스트랄은 무게 때문에 거치대를 사용해야 한다. MBD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seoul/20250725182304111isfq.jpg" data-org-width="660" dmcf-mid="BIwiRMrRh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seoul/20250725182304111isf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스트랄은 무게 때문에 거치대를 사용해야 한다. MBD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e7863c27418798cd1ab7ea044d217102f90332586b155e25ece67b3b26a3229" dmcf-pid="fTb5GYKGlx" dmcf-ptype="general">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의 활약이 두드러지면서 그간 주목받지 못하던 지대공 미사일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특히 병사 1인이 운용하는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MANPADS)과 그보다 큰 단거리 방공(SHORAD) 미사일은 샤헤드-136 자폭 드론과 순항미사일 요격에 효과를 보이며 핵심 방어 체계로 떠올랐다. 유럽에서는 미사일 제작사 MBDA가 개발한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미스트랄(Mistral)이 주목받는다.</p> <p contents-hash="8447f93701d0a6bbd994e4e395f94d615ff14b7277655cdefc92e381ac1b329f" dmcf-pid="4yK1HG9HCQ" dmcf-ptype="general">미스트랄은 거치형 외에도 차량, 함정, 헬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 가능한 다재다능함을 자랑한다. 1990년 프랑스군에 처음 도입된 이래 여러 국가로 수출됐으며, 우리나라 역시 과거 일부 운용한 바 있다. 미스트랄은 꾸준한 개량을 통해 1998년 미스트랄2, 2013년 미스트랄3가 개발됐다. 지금도 미스트랄3의 성능 개선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a178886ad6bd9e52d6533f9de016ad2843fa7007946c37d5a72f942dbec2057c" dmcf-pid="8W9tXH2XhP" dmcf-ptype="general">미스트랄3는 부스터를 제외한 길이 1.88m, 직경 92㎜, 중량 19.7㎏, 탄두 중량 2.95㎏이며, 유효사거리 8㎞, 최대고도 6㎞에 달한다. 레이저 근접 또는 충격식 신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적외선 영상(IIR) 탐색기를 탑재해 표적 식별 능력과 적의 교란 대응 능력을 향상시켰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af614095deb8aa5da0bfca1d2b84f069c379cf3b703988e32be5fe0b6a475bf" dmcf-pid="6Y2FZXVZv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공격헬기에서도 운용 가능한 미스트랄3. MBD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seoul/20250725182305456kjac.jpg" data-org-width="660" dmcf-mid="bmeKz7dzv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seoul/20250725182305456kja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공격헬기에서도 운용 가능한 미스트랄3. MBD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05bf3a023419ac98f802acdc50161eacca5a3a8188a3a28b8a90b05dc289ab8" dmcf-pid="PGV35Zf5y8" dmcf-ptype="general">특히 미스트랄3는 해상 표적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 6월 MBDA는 스페인에서 소형 고속 선박(FIAC)을 격침하는 시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험은 함정 근접 방어용으로 사용되는 2연장 원격 조종 발사대인 심바드(SIMBAD)-RC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p> <p contents-hash="66ec9100b4bfb3ab5f6f3de1fed5dee6500f98d1bf19750308bb6bc22b104a34" dmcf-pid="QoTEjNyjl4" dmcf-ptype="general">미스트랄은 유럽연합(EU) 회원국 안보 강화를 위한 공동 조달 품목으로도 선정됐다. 지난해 11월 EU 집행위원회는 유럽 방위 산업 강화(EDIRPA) 구상에 따라 프랑스와 벨기에, 키프로스, 에스토니아, 스페인, 헝가리,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덴마크 등 9개국의 미스트랄3 공동 조달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올해 초 우리나라에서 ‘신궁’을 도입했던 루마니아도 지난 17일 미스트랄 300대를 구매한다고 공식 발표하며 EU의 공동 조달 움직임에 힘을 보탰다.</p> <p contents-hash="22a0235df7a867e83d72c2bbc47546d478aacdd5f0bba3a2791d6e5ce8b1749f" dmcf-pid="xgyDAjWAhf" dmcf-ptype="general">미스트랄3의 유럽 공동 조달과 소형 표적에 대한 요격 능력 검증은 우리나라의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신궁의 수출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의 드론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우리 역시 신궁의 성능 개량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점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5302981e46850d09531d4faf67cef4dd911fe62b9c1b767a1b1cff60e847db3" dmcf-pid="yFxqUpMUC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군 함정 단거리 방어용으로 쓰이는 2연장 심바드-RC. MBDA"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seoul/20250725182306785wxxt.jpg" data-org-width="660" dmcf-mid="KDd9qzJql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seoul/20250725182306785wxx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군 함정 단거리 방어용으로 쓰이는 2연장 심바드-RC. MBDA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3ceb20c76bcea708f6c91480432c2f05d71963f9f61ca289cea055ffc4e406f" dmcf-pid="W3MBuURuC2" dmcf-ptype="general">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카카오, SM 시세조종 혐의 부인⋯"檢 주장 전제부터 잘못" 07-25 다음 몬스타엑스 아이엠, '워터밤 부산' 불참…"허리 통증, 휴식+치료 필요해"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