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TV사업 적자·관세 수요 부진에 '직격탄' 작성일 07-25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하반기에도 시장 경쟁 심화·가전 수요 회복 지연...시장 불투명</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0opVaTNkh"> <p contents-hash="61d2fe69738125a659020bd34da51d9b8e5e4f28627048d317f8ab874e0a956e" dmcf-pid="WpgUfNyjAC"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전화평 기자)LG전자가 지난 2분기 TV 사업 부진으로 영업이익에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MS사업본부는 2분기 1천917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span>여기에 관세 여파에 따른 제품 경쟁력 하락과 수요 부진, 환율 여파까지 겹치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span><span>다만, MS사업본부를 제외한 사업들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회사 실적에 기여했다.</span></p> <p contents-hash="68b98f879316edc1c8b2864c836e5f784399e689caf6e2b3c0aed7100d135114" dmcf-pid="YUau4jWAjI" dmcf-ptype="general"><span>LG전자는 25일 올해 2분기 확정 및 세부 </span><span>실적을 </span><span>통해 </span><span>매출 20조7천352억원, 영업이익 </span><span>6천394억원을 </span><span>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일 발표했던 잠정 실적(매출 20조7천400억원, 영업이익 6천391억원)과 유사한 </span><span>수준이다.</span></p> <p contents-hash="6519bdc5a6f11f9c74e8c91ffbb9ce57abe6a4b0a325209fff47cbcee953ee70" dmcf-pid="GuN78AYccO" dmcf-ptype="general"><span>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매출액은 4.4%, 영업이익은 46.6% </span><span>줄었다. </span><span>다만 LG전자의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1조1천962억원)이 역대 2분기 기준 최대 </span><span>실적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span></p> <p contents-hash="d19023a6267d7828c2fd3e8069676835382998691ec2fcef4124f060158e024a" dmcf-pid="H7jz6cGkcs" dmcf-ptype="general"><span>그러나 LG전자의 </span><span>2분기 </span><span>영업이익은 </span><span>최근 5년 중 가장 낮다.</span><span> LG전자는 지난 2021년 8천781억원, 2022년 7천922억원, 2023년 7천419억원, 2024년 1조1천962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 특수가 끝나고 매출이 다소 감소했던 2023년보다도 올해가 더 낮은 셈이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acfab96f343fb1f4ea7819756c64edb4e6421c6fb04f3785dcc1629700751ca" dmcf-pid="XzAqPkHEo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여의도 LG 트윈타워 (사진=LG전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ZDNetKorea/20250725151842751ntrc.jpg" data-org-width="640" dmcf-mid="6EJy5fj4k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ZDNetKorea/20250725151842751ntr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여의도 LG 트윈타워 (사진=LG전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984d07e0f018c462f3dbbf48ff5a0e7a51f94482ef22cb365f4307d663d3a7c" dmcf-pid="ZqcBQEXDor" dmcf-ptype="general"><strong>TV사업, 실적 발목...가전·전장 등은 역대 최고 실적</strong></p> <p contents-hash="07a1b9014c6562bbf63d94c1a1c0075a1f6f09ba7e37a814585f9e6a5e8fdff5" dmcf-pid="59w2emtsAw" dmcf-ptype="general">특히 TV 사업이 회사 실적에 발목을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p> <p contents-hash="15141f5647888f7008df84f6fd5640242fc36501bbcc69597ea318c491d6d566" dmcf-pid="12rVdsFOoD" dmcf-ptype="general"><span>TV 사업을 담당하는 MS사업본부는 올해 2분기 영업적자로 1천91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span><span>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5% 감소한 </span><span>4조3천934억</span><span>원이다.</span></p> <p contents-hash="50c326c9c70e258e2ca067b2428c3253655e10d8980fbdf75aff583c96d4ead0" dmcf-pid="tVmfJO3IcE" dmcf-ptype="general"><span>LG전자는 보도자료를 통해 "시장 수요 감소에 TV 판매가 줄었고,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판가 인하 및 마케팅비 증가 등이 수익성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a67d98e92e4bf8e2d008d163b45e744d236134fc1a197e8630c5722f1cc8658e" dmcf-pid="Ffs4iI0CNk" dmcf-ptype="general"><span>TV 사업을 제외한 다른 사업본부는 전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span></p> <p contents-hash="a24a150b35818b8fdba74c94a201e188dccbdb0edbb78da94f20a9cb2a89ffdb" dmcf-pid="34O8nCphjc" dmcf-ptype="general"><span>가전을 담당하는 H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6조5천944억원, 영업이익 4천399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8%, 2.5% 상승했다. 가전 수요 감소와 관세 및 해상운임 부담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을 기록한 셈이다.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이어가는 동시에 볼륨존 영역을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이 주효했다는 게 LG전자의 설명이다.</span></p> <p contents-hash="4a356f684a7d6d566db25a740f190ff13a3162f9386bfd0e95d1d42ada70b2bc" dmcf-pid="08I6LhUlNA" dmcf-ptype="general"><span>VS사업본부(전장 사업)는 가파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VS사업본부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4% 상승한 1천26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조8천494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5.8% 상승했다.</span></p> <p contents-hash="cfd1d90fd1bb14273a5a0199d1871f525412b6a7d9261ccb7c7ded1084987f42" dmcf-pid="p6CPoluSkj" dmcf-ptype="general"><span>LG전자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안정적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갔으며,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고객사 차량 판매 증가도 이어졌다"고 했다.</span></p> <p contents-hash="df2052c2c52097a312039e2c751872d832828a126ba341148e35f96d6062b228" dmcf-pid="UPhQgS7vcN" dmcf-ptype="general"><span>냉난방공조(HVAC) 사업을 담당하는 E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2조6442억원, 영업이익 2천50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3%, 0.6% 올랐다. 국내 가정용 에어컨 수요 증가에 대응해 판매가 늘었으며, 상업용 및 산업/발전용 분야에서도 신규 사업기회 발굴이 이어지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6699d9eb0b3eb743aba9d13b4a762d950f2ab2441a5e84aff68b8d4ef7cc79" dmcf-pid="uQlxavzTo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G 올레드 TV'(사진=LG전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ZDNetKorea/20250725151844354zynk.jpg" data-org-width="640" dmcf-mid="2fFJNTqyg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ZDNetKorea/20250725151844354zyn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G 올레드 TV'(사진=LG전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68237bf131696fa37e313aecd364746aafcdf10c787d520f34e807c1d3dcd16" dmcf-pid="7xSMNTqygg" dmcf-ptype="general"><strong>"하반기 신성장동력으로 불황 극복할 것"</strong></p> <p contents-hash="e1207f4a2e92bf40306ee0e751629feda5b8af269721e86daf0d056725d3ea95" dmcf-pid="zMvRjyBWco" dmcf-ptype="general">LG전자는 하반기에도 TV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가전 수요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span>이에 </span><span>회사는 </span><span>구독 </span><span>사업 </span><span>강화 </span><span>및 </span><span>온라인을 </span><span>활용한 </span><span>D2C(소비자직접판매) </span><span>사업 </span><span>확대 </span><span>등으로 </span><span>성장을 </span><span>이어갈 계획이다.</span></p> <p contents-hash="cfe0ecc1e74d447eb52dbc9ac8a8a3b100af12b1ce8a17c1f400d36351624981" dmcf-pid="qRTeAWbYkL" dmcf-ptype="general"><span>LG전자는 "미국 관세 대응 차원의 원가경쟁력 개선 등 수익성 확보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라며 "물류비 부담은 작년 하반기 및 올해 상반기와 비교해 다소 줄어들 전망인 가운데, 마케팅 비용 투입 최적화 노력을 병행하며 수익성 확보를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span></p> <p contents-hash="fb2c6abf84cc3bf5f4e2d5f1ac37599771a4fad453ac3fa3cd9984bb69dd4bcf" dmcf-pid="BeydcYKGon" dmcf-ptype="general"><span>미국 관세 대응 차원의 원가경쟁력 개선 등 수익성 확보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물류비 부담은 작년 하반기 및 올해 상반기와 비교해 다소 줄어들 전망인 가운데, 마케팅 비용 투입 최적화 노력을 병행하며 수익성 확보를 추진한다.</span></p> <p contents-hash="b3bca703596907a31058fa54931b489393f3ca6b225217fb32b4d3a5b460476d" dmcf-pid="bc0klURuNi" dmcf-ptype="general"><span>아울러 구독, web(웹)OS 등 Non-HW 사업에도 집중한다. LG전자에 따르면 가전구독 사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 늘어 올해 2분기 6천300억원을 기록했다.</span></p> <p contents-hash="136edb9eb16b27194164b46cfb261f06fbb545decd82ea3e95b0729431ebc053" dmcf-pid="KkpESue7oJ" dmcf-ptype="general"><span>LG전자는 "Non-HW는 반복적 매출구조와 높은 수익률 달성에, D2C는 수익구조 개선 및 브랜드 가치 제고 등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span></p> <p contents-hash="816149e7d409ef063c289aa76ada5f9e6d0fbde548dbaf71d7687e292a812e76" dmcf-pid="9EUDv7dzkd" dmcf-ptype="general">전화평 기자(peace201@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임세미, ♥윤계상 향한 공개 고백 “선배 사랑해…아이디=계상 부인” (트라이) 07-25 다음 MMORPG와 서브컬처 신작들 하반기 맞대결.. 뜨거운 여름만큼 팬들은 즐겁다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