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원 증액?…박인규 과기혁신본부장 "내년 주요 R&D 예산 30조원" 작성일 07-25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박 본부장 "난상 토론하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oV4iI0Ci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1b0ece9bed7ddcc717b301f2f9c2b8c83131510d1b57f4bcdd6f507c9e83744" dmcf-pid="1gf8nCphn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R&D 혁신을 위한 민간 자문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dongascience/20250725152610586ppdj.jpg" data-org-width="680" dmcf-mid="ZUrsYbLKJ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dongascience/20250725152610586ppd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R&D 혁신을 위한 민간 자문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b42de0ccd9da341ea5a6de467df1b72527eb9e323cce7063d78fc6e197237dd" dmcf-pid="ta46LhUlM4" dmcf-ptype="general">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026년도 주요 연구개발(R&D) 예산이 30조원이라고 밝혔다. 앞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통해 잠정 책정된 26.1조원 보다 약 4조원 늘어난 규모다. 8월 중으로 예정된 최종안 방향을 R&D 예산 관련 정책을 책임지는 박인규 본부장이 직접 미리 제시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p> <p contents-hash="35ec09144f8c816ac8ef3ecffd2cd58caf3a87ae43f24b1735a17feae4c1f597" dmcf-pid="FN8PoluSJf" dmcf-ptype="general"> 박 본부장은 25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진짜 R&D 만들기 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위원회는 R&D 혁신을 위한 민간 자문단이다. 박 본부장이 15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공식 회의다.</p> <p contents-hash="f8c42c57289884abb34e12ca48513da99ebbf860ab95aab825ef4223e2e92f01" dmcf-pid="3j6QgS7veV" dmcf-ptype="general"> 과기자문회의는 6월 30일 내년 주요 R&D 예산을 올해 대비 5.1% 늘어난 26조1000억원 규모로 책정했다. 법정기한을 맞추기 위한 잠정안이다. R&D 예산을 확대하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공약 이행을 위해 잠정안보다 큰 규모로 예산을 편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p> <p contents-hash="28c6c60596f60fff39d3994e31b80d8dcc6a3884925c7423a60f42e701c0bb4b" dmcf-pid="0APxavzTd2" dmcf-ptype="general">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국정과제가 확정되면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최종안을 마련한 뒤 8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5b8a7eed93848ecdee09fc09fb63eecd373e5cfef054254486abe767d9ee52c8" dmcf-pid="pcQMNTqye9" dmcf-ptype="general"> 진짜 R&D 만들기 위원회는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 방안에 대해 수요자 시각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 출범했다. R&D 과제의 기획부터 평가, 관리까지 전주기 과정을 민간 중심으로 전환해 연구자들의 행정부담을 획기적으로 경감하고 현장이 체감 가능한 변화를 가져오겠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75bf848a0e8c8cd5610d14f05841625aaf7b2f7a68cc04bb087ccb0cc49c427b" dmcf-pid="UkxRjyBWeK" dmcf-ptype="general"> 진짜 R&D 만들기 위원회는 기초과학·바이오·IT 등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 17인으로 구성됐다. 위원들은 혁신방안의 주요 논의 주제에 대해 문제점과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최종 검증을 수행한다.</p> <p contents-hash="a6b660e913815693ce021e9a20492b8639ca501a33e0165d2597a8f34a91aaf2" dmcf-pid="uEMeAWbYdb" dmcf-ptype="general"> 위원회는 혁신방안의 기본원칙으로 전문성·자율성·지속가능성 3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키워드를 바탕으로 민간 전문성에 기반한 기획·투자·평가체계 구축, 연구자에 대한 신뢰 바탕의 자율적 생태계 조성, 유연하고 예측가능한 재정지원 등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c8bd435232cf938d61e9d6bd22398e437afb15a21502cd973161a75a5253f1e4" dmcf-pid="7DRdcYKGMB" dmcf-ptype="general"> 위원회는 9월 중 혁신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앞으로 1~2주 단위의 정기회의 개최를 비롯해 서면·영상회의 등 유연한 방식을 활용해 혁신방안의 수립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예정이다. 이날 박 본부장은 "실질적으로 이렇게 위원회에서 또 모이기 힘들 것 같다"며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이나 텔레그램 방을 만들어 '난상 토론'을 하자는 즉석 제안을 했다.</p> <p contents-hash="c045c28f1394c619a6674dd400bfeda962e30c576f2d2aa9ee115f1e56476535" dmcf-pid="zweJkG9Hdq" dmcf-ptype="general"> 박 본부장은 "과감히 새로운 방향으로 혁신해 나갈 것"이라며 "중요한 키워드가 여기 위원회에서 만들어져 대통령 100일 취임사를 발표할 때 내용이 들어갔으면 좋겠다"고도 밝혔다.</p> <p contents-hash="f6ab8de19371480a32758ebbb33e0b088cf528cca04f7c33c1a9804fec903567" dmcf-pid="qmJnDXVZdz"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MMORPG와 서브컬처 신작들 하반기 맞대결.. 뜨거운 여름만큼 팬들은 즐겁다 07-25 다음 국기원, 미군 오산기지서 한미 친선 태권도 경연대회 개최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