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로봇,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 최초 국가전략기술 기반 연구소기업 등록! 작성일 07-25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초정밀 로봇 구동기 국산화 기술사업화로 글로벌 시장 진출 시동</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vqA5dOJv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a74e92d288439de5c16ddcf5f9229aa6c8f6d4db7780374217938b58a41c22f" dmcf-pid="pTBc1JIih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비욘드로봇 송의섭 대표(좌측 네번째)가 연구소기업 등록을 지원한 한국자동차연구원 강소특구캠퍼스 관계자 및 ㈜호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신화수 부장(좌측 다섯번째)과 함께 강소특구 3캠퍼스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dt/20250725103527764wyvl.png" data-org-width="635" dmcf-mid="FPr7oZf5S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dt/20250725103527764wyv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비욘드로봇 송의섭 대표(좌측 네번째)가 연구소기업 등록을 지원한 한국자동차연구원 강소특구캠퍼스 관계자 및 ㈜호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신화수 부장(좌측 다섯번째)과 함께 강소특구 3캠퍼스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e9dadadf69bb75002d31e0deac5bde84f56edbbb0ebffdba034c96cc270f101" dmcf-pid="URsqa18tyt" dmcf-ptype="general"><br>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 기술핵심기관인 한국자동차연구원은 강소특구 육성기업 ‘㈜비욘드로봇(대표이사 송의섭)’이 국가전략기술 기반 연구소기업으로 최초 등록되었다고 7월 24일 밝혔다.<br><br> ㈜비욘드로봇은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받은 로봇 핵심부품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휴머노이드 및 지능형 로봇에 적용 가능한 고출력 구동 시스템의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축방향 자속형 영구자석(Axial Flux Permanent Magnet, AFPM) 기반 고정밀 모터 기술과 △비접촉식 마그넷기어(Magnet-Gear) 감속기 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확보하며, 에너지 효율성, 초정밀 제어, 설계 자유도 향상이라는 3대 성능 혁신을 실현하고 있다.<br><br> 이 기술은 기존 기계식 감속기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로봇 구동 솔루션으로, 휴머노이드·협동로봇의 관절 구동부, 모바일 로봇의 인휠 구동계 등에 즉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모터, 감속기, 드라이버, 센서가 통합된 일체형 구동 모듈은 저소음, 무유지보수, 고에너지 효율이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로봇 설계의 유연성을 대폭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br><br> 최근 정부는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25년 부터는 신규 등록 연구소기업 중 40% 이상을 12대 국가전략기술 기반으로 설립하겠는 목표를 내세우며, 2030년까지는 누적 500개 이상의 연구소기업 설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운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구소기업 ㈜비욘드로봇의 출범은 단순한 기업 창업을 넘어, 국가전략기술 분야 경쟁력 강화와 로봇 부품 자립에 기여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br><br> 한편, 비욘드로봇은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운영 중인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 제3캠퍼스에 입주해 기술 개발과 사업화를 병행하고 있다. 강소특구는 창업 초기부터 △기술이전, △입주 공간 제공, △전문가 컨설팅, △투자 유치, △후속 R&D 연계 등 전 주기적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의 빠른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br><br> 오미혜 한국자동차연구원 강소특구캠퍼스장은 “㈜비욘드로봇은 공공기술 기반 연구소기업으로서 로봇 핵심부품의 기술 국산화와 수출 확대라는 두 축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는 혁신기업”이라며,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는 향후에도 이처럼 국가전략기술을 내재화한 연구소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br><br>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021년 이후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 내에서 총 34개 연구소기업 설립을 지원하며, 지역 기반의 기술창업 생태계 조성과 국가전략기술 중심의 기술사업화 확산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br><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edf158baecc5982aa3d035c0e3f7c8b0d7cfff39096ee3553c0f5c8789f558c" dmcf-pid="ueOBNt6FC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비욘드로봇 연구소기업 현판 수여식 사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dt/20250725103529071ibkf.png" data-org-width="590" dmcf-mid="3Mk0JYKGv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dt/20250725103529071ibk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비욘드로봇 연구소기업 현판 수여식 사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64dc46ff84476ffe2dbaa11eab1c077ad8d72386b4532b479ef39d9322999d1" dmcf-pid="7dIbjFP3S5" dmcf-ptype="general"><br> 정용석 기자 kudljang@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차세대 HBM용 하이브리드 본더 시장 커진다 07-25 다음 생활 속으로 파고드는 디지털자산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