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공부하고 글 쓰는 데 가장 많이 써'"... 오픈AI, 생산성 보고서 발표 작성일 07-25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JRiw7dzcH"> <p contents-hash="49a2081205964334e359328cfb759a058a9d3cc7e36790b1325ff1cdf77fc1cd" dmcf-pid="qienrzJqjG"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AI 에디터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35a5cc1a425378000ded9ea010364cac75fa377e1b0801720e509ba0ac3c48b" dmcf-pid="BoigObLKA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5/ZDNetKorea/20250725102656459wpav.jpg" data-org-width="640" dmcf-mid="Ylq9dWbYg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5/ZDNetKorea/20250725102656459wpav.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6fe1edfacae02b7af54768d8b06ed71b1324f9a7f1dd2d75765689452a25da8" dmcf-pid="bgnaIKo9AW" dmcf-ptype="general">오픈AI가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챗GPT(ChatGPT)의 성장세가 정말 놀랍다. 출시한 지 겨우 5일 만에 사용자 100만 명을 넘어섰고, 2개월 후엔 1억 명, 지금은 전 세계 5억 명이 넘게 쓰고 있다. 더 놀라운 건 챗GPT가 2년 동안 확산된 속도가 인터넷보다 2배나 빠르다는 점이다. 실제로 작년 조사에서 미국 성인 5명 중 2명이 AI 제품을 써봤다고 답했다.</p> <p contents-hash="e0b53ba69e991b0aee9ac145f09edc2361d166512586b23b92ba6c7609e352f5" dmcf-pid="KaLNC9g2ay" dmcf-ptype="general">이렇게 빠르게 퍼진 이유가 뭘까? 세 가지가 핵심이다. 우선 사용법이 간단하다. 그냥 빈칸에 질문만 치면 되니까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다. 게다가 개인 업무든 회사 일이든 어디든 갖다 붙일 수 있다. 두 번째는 공짜로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오픈AI 같은 회사들이 무료 서비스를 제공해서 부담 없이 한번 써볼 수 있게 했다. 마지막으로 쓸 곳이 정말 많다. 게임하고 요리 레시피 찾는 것부터 데이터 분석하고 아이디어 짜내는 것까지, 안 되는 게 없다.</p> <p contents-hash="e086a760faeae4e293c7c27a88e22d6b831a0e6431e0f346f9d2a8c2bffd96e5" dmcf-pid="9Nojh2aVcT" dmcf-ptype="general"><strong>미국인들이 챗GPT 가장 많이 쓰는 건 '공부'와 '글쓰기'</strong></p> <p contents-hash="6d5486350d9e14f61a5138c6c8515dee4878a9d778451b2b804888005d5e0230" dmcf-pid="2jgAlVNfov" dmcf-ptype="general">미국에서만 하루에 3억 3천만 개가 넘는 메시지가 챗GPT로 오간다. 전 세계로 보면 무려 25억 개다. 그럼 사람들이 챗GPT로 뭘 할까? 미국 내 메시지를 분석해 보니 공부하고 새로운 걸 배우는 데 쓰는 경우가 20%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이 글쓰기나 소통 관련해서 쓰는 게 18%였다. 프로그래밍이나 데이터 분석, 수학 문제 푸는 데는 7%, 디자인이나 창작 아이디어 짜는 데 5%, 업무 분석 4%, 번역 2% 순이었다.</p> <p contents-hash="817442f2f48c7ea987ff87efc511f175455e4557391b64d4122c50e5025b8360" dmcf-pid="VAacSfj4aS" dmcf-ptype="general">재미있는 건 사용자 연령대다. 미국 사용자 중 18~24세가 24%, 25~34세가 32%로 젊은 층이 과반을 차지한다. 이 세대가 'AI 세대'가 되어 앞으로 몇 년 동안 직장에서 이런 기술을 자연스럽게 쓸 거라는 뜻이다. 실제로 직장에서 챗GPT 쓴다는 미국 직장인 비율이 2023년 8%에서 올해 28%로 3배 넘게 늘었다.</p> <p contents-hash="26cda5d0e9e411de637372147b9f7f054df4e8dc5a2e11be1d7d3b774a5f65fc" dmcf-pid="fcNkv4A8al" dmcf-ptype="general"><strong>변호사는 140%, 콜센터 직원은 14% 일 빨라졌다</strong></p> <p contents-hash="3636eca5c2b60d9b3ed02e428a0d8fcad6e4d7ed738319706aa7ae720bd087bb" dmcf-pid="4kjET8c6kh" dmcf-ptype="general">오픈AI 대기업 고객들을 보면 금융·보험업이 20%, 제조업이 9%, 교육 분야가 6%를 차지한다. 특히 글 쓰고 패턴 찾는 일이 많은 분야에서 효과가 확실하다. 법무 분야에서 오픈AI의 o1 모델을 쓴 변호사들은 6가지 업무에서 생산성이 34%부터 무려 140%까지 올랐다. 게다가 일의 질도 좋아졌다. 복잡한 법률 분석이나 설득력 있는 글쓰기에서 효과가 더 컸다.</p> <p contents-hash="1001c19f4739bf1c888c4e1b5ce9c0151c12123756138f46f51c07174083a746" dmcf-pid="8EADy6kPAC" dmcf-ptype="general">고객 응대 업무도 마찬가지다. 오픈AI 모델을 쓴 콜센터 직원들은 고객 문의 처리에서 평균 14% 더 빨라졌다. 흥미롭게도 원래 실력이 부족했던 직원들한테서 개선 폭이 가장 컸다. 마케팅 자료 만드는 사람들은 AI 덕분에 일주일에 11시간 넘게 시간을 아낄 수 있었다. 컨설턴트들은 GPT-4로 일할 때 25% 더 효율적으로 일했고, 12% 더 많은 업무를 처리했으며, 결과물 품질도 40% 높았다.</p> <p contents-hash="82cca2dc9adf9cb28f9af2116d5b7cdba1037b12c3b05e13d9cf3685518d867b" dmcf-pid="6DcwWPEQkI" dmcf-ptype="general"><strong>공무원은 하루 95분, 교사는 주 6시간씩 시간 아꼈다</strong></p> <p contents-hash="4ccef9bb570cce6f5ab9d018f7ea90107ba3b53f70540585b3812fdbe975cc21" dmcf-pid="PwkrYQDxaO" dmcf-ptype="general">펜실베니아 주정부에서 1년간 실험해 본 결과가 놀랍다. 챗GPT 쓴 공무원들이 문서 쓰고, 자료 찾고, IT 지원받는 일에서 하루에 평균 95분을 아꼈다. 이걸 다 합치면 일주일에 8시간짜리 하루를 하나 더 얻는 셈이다. 교육 현장에서도 변화가 크다. 올해 7월 미국 초중고 교사 2,200명 넘게 조사했더니, AI 덕분에 수업 준비하고 피드백 주고 교실 자료 만드는 일에서 일주일에 거의 6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했다. 1년으로 치면 6주 치 시간을 더 확보하는 거다. 그 시간에 학생들과 직접 만나 가르치거나 다른 필요한 일에 쓸 수 있다.</p> <p contents-hash="1b775de32dc16a3c8b435eb5c263237d921f3a11e44b20476036175488bd4202" dmcf-pid="QrEmGxwMks" dmcf-ptype="general">이런 변화는 단순히 시간만 아끼는 게 아니다. 일의 질도 함께 좋아진다. 특히 원래 실력이 부족했던 사람들한테 도움이 크다. 컨설턴트를 예로 들면, 성과가 낮은 사람은 43% 향상됐는데 성과가 높은 사람은 17% 향상되어서 전체적으로 실력 차이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p> <p contents-hash="6dbd0f4f3465a580739b31954a8cc1210266c545e173dd4c790d273d9f73c8d7" dmcf-pid="x1Xt9w5rom" dmcf-ptype="general"><strong>FAQ</strong></p> <p contents-hash="2d0777eef944a6161c32a883539d32769407cb26a75fe97074a0c84d6f7245dd" dmcf-pid="yLJosBnbcr" dmcf-ptype="general"><strong>Q1: 챗GPT가 이렇게 빨리 퍼진 이유가 뭔가요?</strong></p> <p contents-hash="81b8cc97c9b9119852de01f87ca69cc5a3c3133e5a18123b8ba3621b3a95a4a3" dmcf-pid="WoigObLKjw" dmcf-ptype="general">A1: 사용법이 간단하고 무료로 쓸 수 있어서입니다. 그냥 빈칸에 질문만 쳐도 되고, 개인 일부터 회사 업무까지 어디든 갖다 쓸 수 있거든요. 게다가 효과를 금방 볼 수 있어서 계속 쓰게 됩니다.</p> <p contents-hash="4d28ff7b36c1082a63d022c00b3094d5daaf44c872ef380ce0bc4f8ea3f3e3d1" dmcf-pid="YgnaIKo9jD" dmcf-ptype="general"><strong>Q2: 직장에서 AI를 가장 많이 쓰는 곳이 어디인가요?</strong></p> <p contents-hash="93832d2e86f987add90f60f08bda5241dcb4a1c2845eb66a3d1837e3b054db4e" dmcf-pid="GaLNC9g2jE" dmcf-ptype="general">A2: 공부하고 새로운 걸 배우는 데 20%, 글쓰기나 소통에 18%로 이 두 분야가 압도적입니다. 그다음이 프로그래밍이나 데이터 분석(7%), 디자인·창작(5%) 순이에요.</p> <p contents-hash="5e7655bd504e0f4e70f07b421b4d1e4143ab365f80905a7c849077bdc59e464a" dmcf-pid="HNojh2aVjk" dmcf-ptype="general"><strong>Q3: AI 쓰면 실제로 시간을 얼마나 아낄 수 있나요?</strong></p> <p contents-hash="be7e444a2348d65f3a1253e0b5070ba924de388933fa80c37a1e7d93b4ed89fd" dmcf-pid="XjgAlVNfjc" dmcf-ptype="general">A3: 직종마다 다르지만 꽤 많이 아낄 수 있습니다. 교사는 일주일에 6시간, 공무원은 하루 95분, 마케팅 담당자는 일주일에 11시간 넘게 절약하고 있어요. 변호사는 아예 생산성이 최대 140%까지 올랐다고 하네요.</p> <p contents-hash="f8819186f8b6a8390389e14e1188d01ac4a6ec9aad809f5744d451da25331926" dmcf-pid="ZAacSfj4aA" dmcf-ptype="general">■ 이 기사는 AI 전문 매체 ‘<span>AI 매터스</span>’와 제휴를 통해 제공됩니다. 기사는 클로드 3.5 소네트와 챗GPT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p> <p contents-hash="a8930844a197f12fbc65b18c652f65453e4aedb098e052d32e3e90f097d926e9" dmcf-pid="5cNkv4A8Nj" dmcf-ptype="general">AI 에디터 (media@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신정환, ‘불법 도박’ 슈 대놓고 저격 “지가 뭔데…X 같다” (논논논) 07-25 다음 김민경, 장애인생산품 '더 로스터틀' 선한 모델 나선다 07-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