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독시’ 원작자 싱숑 “실사화, 위험부담에 꺼려졌지만 …” [일문일답] 작성일 07-24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7vdxw5rT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dcdf1b29289a14a6e12f369d62ffd32969359c036faf803dc8b6f82909dbf09" dmcf-pid="KzTJMr1mC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사진| 롯데엔터테인먼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PORTSSEOUL/20250724174504240sxvo.png" data-org-width="700" dmcf-mid="BJWnesFOl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PORTSSEOUL/20250724174504240sxvo.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사진| 롯데엔터테인먼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dcc1a4e8bd6589880a05efed7da197da783f716a7264bc1b33c24801a2a6b71" dmcf-pid="9qyiRmtsyM" dmcf-ptype="general"><br> [스포츠서울 | 서지현 기자]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싱숑 작가가 개봉 소감을 전했다.</p> <p contents-hash="bcf5b529a79eeb52fbd24c07e54e9c10c3aae9aedfa1a1bf24ecd1fa65f101a5" dmcf-pid="2BWnesFOTx" dmcf-ptype="general">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측은 24일 원작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8659ddc9d91327dd65ec0249dedda175363fe5833f38918b697fd462f493cd8a" dmcf-pid="VbYLdO3IlQ" dmcf-ptype="general">싱숑 작가의 동명 웹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안효섭 분)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이민호 분),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다.</p> <p contents-hash="e12dd736b6b30ee72670071ae94a3e07e08d2e9dba46a28ca9b8a02b48779a3e" dmcf-pid="fKGoJI0CSP" dmcf-ptype="general">‘전지적 독자 시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p> <p contents-hash="3570345878ec1c96175504c7a2ed683c6057ff2016fab8db23d6d0ddf1fa2d30" dmcf-pid="49HgiCphT6" dmcf-ptype="general">Q1. 영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영상화에 동의하신 결정적 이유가 무엇인가요?</p> <p contents-hash="bb7a870feca283d59e9073fd87a2b81d491a2be5e23150c7e5c3d76b6ae66775" dmcf-pid="83IQ4AYcT8" dmcf-ptype="general">처음 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는 얼떨떨했습니다. 그때 저는 신인이었고, 사실 드라마도 애니메이션도 아닌 영화 제안이 들어올 줄은 상상도 못 했거든요. 아무래도 원작을 실사화하는 데는 큰 위험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꺼려지기도 했습니다만, 맡아주시는 감독님이 누구신지 듣고서는 망설임 없이 계약에 동의했습니다. 김병우 감독님의 ‘더 테러 라이브’를 재미있게 봤거든요.</p> <p contents-hash="735e93102c2d84d031c5c819220f768413fdd5d2599b23d9f9517cc92821cfb0" dmcf-pid="60Cx8cGkl4" dmcf-ptype="general">Q2. 소설에 등장하는 도깨비, 어룡 등 크리처들이 영상화된 결과물을 보신 소감이 궁금합니다.</p> <p contents-hash="489ee43364a13a99ff8d2e653319d06e86719969cdd60d83264228a665a6c144" dmcf-pid="PphM6kHEyf" dmcf-ptype="general">사실 영화에서 등장하는 크리처들은 제가 상상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사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고민되는 지점이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원작의 크리처들이 ‘공포’의 정서에 가까웠다면, 영화의 크리처들은 ‘신비’의 정서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크리처들이 더 많은 연령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모습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p> <p contents-hash="226e2e6ee9df678d124217bc2c47d0f50a68fb8aa2bcac12e6c5dfd837ef89f6" dmcf-pid="QUlRPEXDyV" dmcf-ptype="general">Q3. 특히 좋았던 장면이 있었나요?</p> <p contents-hash="e6c1ae8a4f69cfb1226939bd084500fccd18c778d9228d1471ac35effef5b933" dmcf-pid="xuSeQDZwy2" dmcf-ptype="general">배우분들의 열연이 무척 눈에 띄었기 때문에 특히 좋았던 장면을 손에 꼽기는 어렵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첫 장면을 좋아합니다. 군중들 속에서 김독자가 객석을 향해 걸어오고 있는데, 처음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눈에 띄질 않습니다. “김독자는 대체 누구일까?”라는 의문에서 영화가 시작되는 게 흥미롭습니다.</p> <p contents-hash="771368c660b27379c8605f1e6bd49fbbb6705d5d6dc8926399fa7ac099097467" dmcf-pid="yc6GTqiBy9" dmcf-ptype="general">Q4. 원작 속 캐릭터들이 실제 스크린으로 구현되었는데 가장 인상 깊었던 캐릭터가 있나요?</p> <p contents-hash="730715b5a279c72a4a86d044e3e1a856eb266e2d23f9c8d42c13237324a822a4" dmcf-pid="WkPHyBnblK" dmcf-ptype="general">개인적으로는 영화에서 표현된 이길영 캐릭터가 꽤 특이했습니다. 원작이랑은 성격이 조금 다르게 표현되는데, 다른 세계선에서는 그처럼 귀여운 이길영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었습니다. 사실 이길영을 연기해 주신 권은성 배우님과는 화장실에서 마주쳤었는데, 배우님은 아마 제가 누구인지 모르셨을 거예요. 잠깐 성좌가 된 기분을 느꼈습니다.</p> <p contents-hash="89767a0687321018296e6eb8d0dad87a50e296227cc7ae59780bc55d4b3a843e" dmcf-pid="YEQXWbLKWb" dmcf-ptype="general">Q5. 웹소설이 웹툰으로 그리고 다시 영화로 제작될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메가 IP가 되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사람들이 이토록 작품을 좋아해 준다고 생각하나요?</p> <p contents-hash="efe98f0f849ddd09f9a088d1dc4c6056c87e563e56c7d8670041cc108defb90c" dmcf-pid="GDxZYKo9lB" dmcf-ptype="general">지금도 종종 하는 생각이지만, 저희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시기에 어떤 이야기의 수요가 우연히 발생했고, 마침 저희가 그 이야기를 썼고, 정말 운이 좋게도 좋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함께 읽어 주셨습니다. 이야기를 사랑해 준 팬 분들이 계셨기에 지금의 전지적 독자 시점이 있습니다. 평생의 빚입니다. 늘 감사한 마음뿐입니다.</p> <p contents-hash="703bcb8bafe3f2f0cb5d4d9596a7083ecb55864aece8fbae7247deeca34eaf01" dmcf-pid="HwM5G9g2vq" dmcf-ptype="general">Q6. 작품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었는지, 그것이 영화에서도 잘 구현되었다고 생각하나요?</p> <p contents-hash="469ee7d1aae8e339e6bd952ac9a7bbb0be8f37806792b117964d816f24042010" dmcf-pid="XyjBuesdvz" dmcf-ptype="general">원작과 영화의 메시지는 그 궤적이 다릅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원작은 ‘이야기’ 또는 ‘읽기’ 자체에 관한 이야기이고, 텍스트로만 구현 가능한 지점들을 적극 활용하다 보니 영화로 만들었을 때 다소 난감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아마 제작 당시 그 점을 고려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영화에서는 웹소설 원작에서 다룬 주제 대신 2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에 집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화는 원작에 대한 재해석인 만큼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합니다.</p> <p contents-hash="96eb42d4169cdb3dda2710400c298e776eacad559831a6b5ddf53e98d81887a2" dmcf-pid="ZWAb7dOJh7" dmcf-ptype="general">Q7. 웹소설을 열렬히 응원하고 읽어주신 독자분들, 그리고 영화로 ‘전지적 독자 시점’을 접하게 되실 관객들께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을까요?</p> <p contents-hash="18a595f4730994663b28666d7cdfa89881dc4cdb747e06a93332091378bb087f" dmcf-pid="5YcKzJIivu" dmcf-ptype="general">딱 한 번, 영화가 촬영되는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커다란 세트장에서 수많은 스태프분들이 단 하나의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애쓰고 계셨습니다. 카메라가 돌아가고, 배우분들은 같은 장면을 연기하고 또 연기했습니다. 같은 장면을 반복하고, 반복하고, 또 반복하고. 그러다 문득 깨달았습니다. 같은 장면처럼 보였던 연기가 사실은 모두 다른 장면이었다는 것을요. 마치 회귀를 반복했던 유중혁의 삶이 실은 모두 ‘다른 인생’이었던 것처럼 말입니다.</p> <p contents-hash="96a449e284a094692c83cf4bcf6d0c1b1296c5bd6263d3e6598f480570d9bb0d" dmcf-pid="1Gk9qiCnCU" dmcf-ptype="general">하나의 결말에 도달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반복하는 배우분들을 보며, 또 무엇이 ‘온전한 완성’인지 누구도 확신하지 못할 이야기에 땀 흘려 관여해 주신 스태프분들을 보며, 저는 끝나지 않는 회귀를 반복하는 유중혁과 그 이야기를 지켜본 김독자에 관해 생각했습니다.</p> <p contents-hash="e5f163e04a1476271a32ca94f43a5c924ef9cb7ec0a357f829f64c00ae7a7bb3" dmcf-pid="tHE2BnhLTp" dmcf-ptype="general">대부분의 창작자들이 으레 그러하듯, 저희 역시 원작자로서 원작과는 달라진 영화의 요소들에 아쉬움은 있습니다. 다만 그런 생각이 들 때면 그날 저희가 보았던 촬영장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어떤 이야기는 그 완성된 형태와 무관하게 평가하기가 어렵고, 아마 이 영화도 저에게 그런 의미로 맺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김독자가 ‘멸살법’의 유중혁을 응원하듯, 비슷한 마음으로 저도 이 영화를 응원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3c38b95a6d676d14b786cffb5276bc8976cbe778a9d1ebb9c58c5969ce20ed5" dmcf-pid="FXDVbLloC0" dmcf-ptype="general">미리 원작을 읽어 주신 독자분들께는 색다른 시선으로 ‘전지적 독자 시점’를 다시 읽는 경험으로, 또 처음 이 세계관을 접하는 관객분들께는 독특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으로 이 영화가 기억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p> <p contents-hash="24e6e67bf339b9a075cb5859143e43fdb0f52e28dded34015a383ae73d56d6b3" dmcf-pid="3ZwfKoSgv3" dmcf-ptype="general">‘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로 전국 극장에서 절찬상영중이다. sjay0928@sportsseoul.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독시' 원작자 "재해석인 만큼 의미 있는 시도, 영화 응원해" [일문일답] 07-24 다음 "H100급 5000만개 가동"···'AI 승부수' 띄운 머스크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