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2000건 차단” LG유플러스, AI로 가짜 소비쿠폰 문자 걸러내 작성일 07-24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3y9TkHEj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2f83604f9156769e16807428603a16b240f157c4ed95ad7295e1fee4c47c4cc" dmcf-pid="z0W2yEXDo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챗GPT 생성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fnnewsi/20250724165438364viyz.png" data-org-width="800" dmcf-mid="uehzCaTNN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fnnewsi/20250724165438364viyz.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챗GPT 생성 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d14eed21eb6a9643a5d7811811e785643156340ea0e3ed7b308c3e92ad9ebc0" dmcf-pid="qpYVWDZwkp" dmcf-ptype="general"> <br>[파이낸셜뉴스] LG유플러스가 이달 기승을 부린 ‘민생지원금 소비쿠폰’ 스팸 문자를 자체 인공지능(AI) 시스템으로 1만2000건가량 차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div> <p contents-hash="6627103812dfb5d43dcf75c78cf5d81f489d0a2a0f5a7c150336e87490565e0d" dmcf-pid="BUGfYw5rc0" dmcf-ptype="general">2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소비쿠폰 신청일 이전인 지난 1일부터 18일까지 AI 기반 스팸 차단 시스템을 통해 해외에서 보냈거나 악성 인터넷주소(URL) 및 정부 사칭 문구가 담긴 허위 소비쿠폰 홍보 문자를 1만2000여건 탐지·차단했다. </p> <p contents-hash="331c01315965e411fcbe4465236a20b0f5dd826a216e8a3cc5e94a298da170a6" dmcf-pid="buH4Gr1mA3" dmcf-ptype="general">이번 AI 차단 문자 중 대부분은 해외 발신분이었다. 또 AI가 색출한 주요 스팸성 문구로는 △‘1차 민생지원금 추가 안내’ △‘소비쿠폰 즉시 지급해드립니다’ 등이 있었다. </p> <p contents-hash="1bb8e2f2a4b13a37a3513d66211cfd581cfc85c1ddc50740abd2f6d76101d274" dmcf-pid="K7X8HmtsjF"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는 해당 AI 시스템을 지난 2월부터 도입해 스팸 문자를 걸러내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제공하는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 데이터와 고객 신고 사례, 자체 설정 문구를 바탕으로 학습한 AI가 의심되는 문자를 스팸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p> <p contents-hash="f7d662f1007fe947ef0b25ca5edae59cf397322fbe2816195797828f653ceb7b" dmcf-pid="9zZ6XsFOct" dmcf-ptype="general">해외 발신 및 조작 번호도 솎아낸다. 예컨대 ‘공과금 납부’나 ‘등기 배송’이라는 문구가 포함된 문자가 해외에서 발신되면 즉시 차단한다. 단순히 국제 번호라는 이유로 일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내용을 분석해 판단하는 AI인 셈이다. </p> <p contents-hash="b62b442d3a2859cbbc8a191ff504d8ef3293af5764143f37515021d82ed75216" dmcf-pid="2q5PZO3Ic1" dmcf-ptype="general">KT는 지난달 11일부터 AI를 활용한 실시간 스팸 차단 시스템을 운용 중이다. KISA 제공 데이터를 토대로 AI가 특정 문구를 자동으로 등록하고 스팸 문자를 막는다. 약 1개월간 시범 운영한 결과 일일 스팸 차단 건수가 약 150% 증가했다. 다만 AI를 통한 소비쿠폰 관련 스팸 차단은 지난 14일부터 이뤄져 차단 건수가 많지 않다고 KT 측은 설명했다. 향후 KT는 AI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보안 협업을 확대하는 등 정보보호 분야에 1조원 이상 투자할 방침이다. </p> <p contents-hash="9d5b4463ffee4b208bc4f807986ce8a2b80cf4c9e2edac3368e2ebecb3a20ee3" dmcf-pid="VB1Q5I0Co5" dmcf-ptype="general">SKT 역시 지난해부터 AI 필터링 시스템을 가동해 스팸 문자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는 PASS 애플리케이션 내 PASS스팸필터링이 미끼문자 탐지 시 알림을 제공한다. AI가 특정 URL을 악성으로 판정하면 접속을 차단하기도 한다. 아울러 SKT는 ‘해킹 사태’ 이후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조직을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격상하고 보안인력을 2배 늘리는 등 700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 투자를 약속한 바 있다. </p> <p contents-hash="cf5ab0eeac1e1b3db2268dc7855a8725c311d639fab2b11aaab875994656b11b" dmcf-pid="fuH4Gr1maZ" dmcf-ptype="general">KISA와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정부 기관은 앞서 대국민 보안 공지에서 "정부는 소비쿠폰 안내 문자에 URL을 넣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소비쿠폰 신청을 명목으로 신분증,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요구받을 경우 즉시 경찰청이나 사이버범죄신고시스템에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br>#LG유플러스 #AI #스팸 문자 </p> <p contents-hash="8866db0d6d019982cf24552fe10cdfbbf94fbe016a0ea81933f0b0e896cf3b70" dmcf-pid="47X8HmtsoX" dmcf-ptype="general">psh@fnnews.com 박성현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삼성, 2분기 스마트폰 시장 1위 지켜…출하량 8% 증가 07-24 다음 주엽고 강다은, 문체부장관기사격 여고 50m 복사 2관왕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