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독시’ 원작자 싱숑 “원작에 대한 재해석...의미 있는 시도였다” [일문일답] 작성일 07-24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eW8dKo9LF"> <p contents-hash="b0927970840fba0818beee380af1e02556b6a7c05307cfb2f58cee9110291022" dmcf-pid="7dY6J9g2Rt" dmcf-ptype="general">‘전지적 독자 시점’의 원작자 싱숑이 영화를 본 소감을 전했다.</p> <p contents-hash="a9cf9c79feb292b0d42202a813d508b31c4bcc3b68b7ae0d46265e5273f43cb5" dmcf-pid="zJGPi2aVd1" dmcf-ptype="general">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다.</p> <p contents-hash="6ce9be9fe9619eb527a9933d56ecfced8f8242ee5f3ab60cfc2e8cbf48857246" dmcf-pid="qiHQnVNfJ5" dmcf-ptype="general">24일 오후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의 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영화를 본 원작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을 공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6b2d83e5324ce3848a7764819bd60780b3f3af5aff198af1080364d599d05b2" dmcf-pid="BnXxLfj4M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4일 오후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의 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영화를 본 원작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을 공개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mksports/20250724163614436kfet.jpg" data-org-width="600" dmcf-mid="pjoH0vzTn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mksports/20250724163614436kfe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4일 오후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의 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영화를 본 원작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을 공개했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ac9150e8c24c0c3bfd40861c86061b3b8ccf299aef51e06de32131cb5244fa1e" dmcf-pid="bLZMo4A8nX" dmcf-ptype="general"> <div> <strong>이하 ‘전지적 독자 시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strong> </div> <strong>Q1. 영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영상화에 동의하신 결정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strong> </div> <p contents-hash="2c05c04e6375246b5ae114843f6f4412c70ec87decd633dc5b0c4d376ae83e05" dmcf-pid="Ko5Rg8c6eH" dmcf-ptype="general">처음 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는 얼떨떨했습니다. 그때 저는 신인이었고, 사실 드라마도 애니메이션도 아닌 영화 제안이 들어올 줄은 상상도 못 했거든요. 아무래도 원작을 실사화하는 데는 큰 위험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꺼려지기도 했습니다만, 맡아주시는 감독님이 누구신지 듣고서는 망설임 없이 계약에 동의했습니다. 김병우 감독님의 ‘더 테러 라이브’를 재미있게 봤거든요.</p> <p contents-hash="525425713619cce7bde9e3b8b1711a902bc348a021ba70229c55352d29c52cd1" dmcf-pid="9g1ea6kPRG" dmcf-ptype="general"><strong>Q2. 소설에 등장하는 도깨비, 어룡 등 크리처들이 영상화된 결과물을 보신 소감이 궁금합니다. </strong></p> <p contents-hash="1ca90f0218c275e32ce6acb6a7f45c3aa65e7b6849245a7b4b27409a4b0174e2" dmcf-pid="2atdNPEQiY" dmcf-ptype="general">사실 영화에서 등장하는 크리처들은 제가 상상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사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고민되는 지점이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원작의 크리처들이 ‘공포’의 정서에 가까웠다면, 영화의 크리처들은 ‘신비’의 정서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크리처들이 더 많은 연령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모습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p> <p contents-hash="0114a25429a7f32dfe4f3128ab13c6ea9df2dfbd70244cb0d87560490a5ffd4d" dmcf-pid="VNFJjQDxLW" dmcf-ptype="general"><strong>Q3. 특히 좋았던 장면이 있었나요?</strong></p> <p contents-hash="cb5aeb611e9e0fef44d61c64c06633ee08eafda3319571224ec90e67a24e295d" dmcf-pid="fcpLkRmeiy" dmcf-ptype="general">배우분들의 열연이 무척 눈에 띄었기 때문에 특히 좋았던 장면을 손에 꼽기는 어렵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첫 장면을 좋아합니다. 군중들 속에서 김독자가 객석을 향해 걸어오고 있는데, 처음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눈에 띄질 않습니다. “김독자는 대체 누구일까?”라는 의문에서 영화가 시작되는 게 흥미롭습니다.</p> <p contents-hash="cd3ff9f6efd362b57af8bc636f3bd245280d1e8f53a9a5d928cbd97f74519353" dmcf-pid="4kUoEesdiT" dmcf-ptype="general"><strong>Q4. 원작 속 캐릭터들이 실제 스크린으로 구현되었는데 가장 인상 깊었던 캐릭터가 있나요?</strong></p> <p contents-hash="b13ad211f9b6eb5729f7d56a804652c5a028de26ed6c4d47d4d0b2f540b93ef9" dmcf-pid="8EugDdOJLv" dmcf-ptype="general">개인적으로는 영화에서 표현된 이길영 캐릭터가 꽤 특이했습니다. 원작이랑은 성격이 조금 다르게 표현되는데, 다른 세계선에서는 그처럼 귀여운 이길영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었습니다. 사실 이길영을 연기해 주신 권은성 배우님과는 화장실에서 마주쳤었는데, 배우님은 아마 제가 누구인지 모르셨을 거예요. 잠깐 성좌가 된 기분을 느꼈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3acdc33c0fcab2aee5e5f45fbc2a9db4a1377bf489f266e2be47606b504fd94" dmcf-pid="6D7awJIin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mksports/20250724163615759bzfm.png" data-org-width="600" dmcf-mid="UGQCYw5rM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mksports/20250724163615759bzfm.pn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2b07b3ffdfa0e4e60f4ff3d324e34c6940d90ba0fe8ae81e23960408b8da87b6" dmcf-pid="PwzNriCnnl" dmcf-ptype="general"> <strong>Q5. 웹소설이 웹툰으로 그리고 다시 영화로 제작될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메가 IP가 되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사람들이 이토록 작품을 좋아해 준다고 생각하나요? </strong> </div> <p contents-hash="efe98f0f849ddd09f9a088d1dc4c6056c87e563e56c7d8670041cc108defb90c" dmcf-pid="QrqjmnhLih" dmcf-ptype="general">지금도 종종 하는 생각이지만, 저희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시기에 어떤 이야기의 수요가 우연히 발생했고, 마침 저희가 그 이야기를 썼고, 정말 운이 좋게도 좋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함께 읽어 주셨습니다. 이야기를 사랑해 준 팬 분들이 계셨기에 지금의 전지적 독자 시점이 있습니다. 평생의 빚입니다. 늘 감사한 마음뿐입니다.</p> <p contents-hash="a91ed5bd68ec6d92349deb9947a3d1b1c84adbb50a66752bfd568089df3a3853" dmcf-pid="xmBAsLloiC" dmcf-ptype="general"><strong>Q6. 작품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었는지, 그것이 영화에서도 잘 구현되었다고 생각하나요? </strong></p> <p contents-hash="469ee7d1aae8e339e6bd952ac9a7bbb0be8f37806792b117964d816f24042010" dmcf-pid="yKwU918tiI" dmcf-ptype="general">원작과 영화의 메시지는 그 궤적이 다릅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원작은 ‘이야기’ 또는 ‘읽기’ 자체에 관한 이야기이고, 텍스트로만 구현 가능한 지점들을 적극 활용하다 보니 영화로 만들었을 때 다소 난감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아마 제작 당시 그 점을 고려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영화에서는 웹소설 원작에서 다룬 주제 대신 2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에 집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화는 원작에 대한 재해석인 만큼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합니다.</p> <p contents-hash="dc8cd43c4a908b3d50714175f760c4900709afaa962d90e4419a68fd408a02d4" dmcf-pid="W9ru2t6FeO" dmcf-ptype="general"><strong>Q7. 웹소설을 열렬히 응원하고 읽어주신 독자분들, 그리고 영화로 ‘전지적 독자 시점’을 접하게 되실 관객들께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을까요?</strong></p> <p contents-hash="18a595f4730994663b28666d7cdfa89881dc4cdb747e06a93332091378bb087f" dmcf-pid="Y2m7VFP3Js" dmcf-ptype="general">딱 한 번, 영화가 촬영되는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커다란 세트장에서 수많은 스태프분들이 단 하나의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애쓰고 계셨습니다. 카메라가 돌아가고, 배우분들은 같은 장면을 연기하고 또 연기했습니다. 같은 장면을 반복하고, 반복하고, 또 반복하고. 그러다 문득 깨달았습니다. 같은 장면처럼 보였던 연기가 사실은 모두 다른 장면이었다는 것을요. 마치 회귀를 반복했던 유중혁의 삶이 실은 모두 ‘다른 인생’이었던 것처럼 말입니다.</p> <p contents-hash="96a449e284a094692c83cf4bcf6d0c1b1296c5bd6263d3e6598f480570d9bb0d" dmcf-pid="GVszf3Q0Lm" dmcf-ptype="general">하나의 결말에 도달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반복하는 배우분들을 보며, 또 무엇이 ‘온전한 완성’인지 누구도 확신하지 못할 이야기에 땀 흘려 관여해 주신 스태프분들을 보며, 저는 끝나지 않는 회귀를 반복하는 유중혁과 그 이야기를 지켜본 김독자에 관해 생각했습니다.</p> <p contents-hash="e5f163e04a1476271a32ca94f43a5c924ef9cb7ec0a357f829f64c00ae7a7bb3" dmcf-pid="HfOq40xpir" dmcf-ptype="general">대부분의 창작자들이 으레 그러하듯, 저희 역시 원작자로서 원작과는 달라진 영화의 요소들에 아쉬움은 있습니다. 다만 그런 생각이 들 때면 그날 저희가 보았던 촬영장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어떤 이야기는 그 완성된 형태와 무관하게 평가하기가 어렵고, 아마 이 영화도 저에게 그런 의미로 맺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김독자가 ‘멸살법’의 유중혁을 응원하듯, 비슷한 마음으로 저도 이 영화를 응원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3c38b95a6d676d14b786cffb5276bc8976cbe778a9d1ebb9c58c5969ce20ed5" dmcf-pid="X4IB8pMUnw" dmcf-ptype="general">미리 원작을 읽어 주신 독자분들께는 색다른 시선으로 ‘전지적 독자 시점’를 다시 읽는 경험으로, 또 처음 이 세계관을 접하는 관객분들께는 독특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으로 이 영화가 기억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p> <p contents-hash="873f5147097d7e5e579f4eeb50c509583cdb61c0b4ce4eced436dc57f49ed6cb" dmcf-pid="Z8Cb6URuLD" dmcf-ptype="general">[금빛나 MK스포츠 기자]</p> <p contents-hash="b164fb2fab4e1720db818c60ab08c3c9c5882ca76c6eed4b2ef21195e82db8c8" dmcf-pid="5cpLkRmeRE" dmcf-ptype="general">[ⓒ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22기 현숙, ♥16기 광수 '병' 폭로…"외도하면 딸 데려갈 거냐 물어봐" 07-24 다음 '쇼챔' 누에라, 청량 감성 'BNB' 퍼포먼스 선물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