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호 100대사건]〈48〉첫 과학기술부총리 탄생 작성일 07-24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yO8J9g2w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bf3ced088f55790e2d72fbbf392c78b472bcb003a5be00a8970985fbe46549" dmcf-pid="KWI6i2aVr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4년 10월 19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19일 오전 열린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전날 부총리 임명장을 수여한 오명 과기부총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etimesi/20250724160335429wgmw.jpg" data-org-width="700" dmcf-mid="B5JtqH2Xs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etimesi/20250724160335429wgm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4년 10월 19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19일 오전 열린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전날 부총리 임명장을 수여한 오명 과기부총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0cca2baba38477c52fd7980b1f47adbbd61c2a2f1d7005a28839084e44c22a2" dmcf-pid="9YCPnVNfsz" dmcf-ptype="general">“과학기술부총리 체제는 우리 경제가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로 도약하는 전환점으로 기억될 것입니다.”</p> <p contents-hash="75e42408d447b8b1bce8cd98afecdf24180880af3618923a8c6255c4b76a6139" dmcf-pid="2GhQLfj4D7" dmcf-ptype="general">2004년 10월 18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임명장을 받은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의 일성이다. 이는 “제2의 과학기술 입국을 구현하겠다”라는 노 대통령의 취임사 연장선상에 있다.</p> <p contents-hash="452e5333badfbcc983c52b0d914002013b00356282fd3419d9cdc804db238abd" dmcf-pid="VHlxo4A8su" dmcf-ptype="general">과기 부총리 체제는 노동·자본 투입에 따른 양적 성장을 추구하던 체제에서 벗어나 과학기술이 국가 경제를 선도하는 기술혁신 체제로 전환을 의미했다. 오 부총리는 2004년 기준 국가 전체 예산의 약 4.8%에 해당하는 6조원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심의·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또 정보통신부와 산업자원부 등 19개 부·처·청별로 추진한 과학기술정책의 방향키도 잡았다. 이를 통해 R&D사업을 국가 전략 목표에 맞게 재설계하고 연구개발 결과가 상용화로 이어져 국부를 창출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았다. 실무는 과기부 산하 차관급 조직인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담당했다.</p> <p contents-hash="fde479a110012d511b347a5a8584f8c28eea04033ebd7d5bea5db9816da44141" dmcf-pid="fXSMg8c6sU" dmcf-ptype="general">과기 부총리 체제 이후 과기부는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오 부총리 역시 스스로 우리 기술의 상업화와 수출을 위해 '세일즈 관료'가 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체제 3년간 정부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서 국가과학기술 체계화, R&D 투자 확대와 효율성 제고 등 구체적 성과를 냈다.</p> <p contents-hash="af53aa19a0f2cb58a0f2e14656e03a94f161d27ee29f48dcdd43b830fdb7aab3" dmcf-pid="4ZvRa6kPOp" dmcf-ptype="general">다만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정부 조직개편안에 따라 과기 부총리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지난 6월 출범한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부총리 기관으로 새로 격상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참여정부 이후 17년 만에 과기부총리가 부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p> <p contents-hash="8732fd4764ac085a37c86260ebb161acd9bb0b27829804d667e9b143b63fafea" dmcf-pid="85TeNPEQD0" dmcf-ptype="general">조재학 기자 2j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1만호 100대 사건]<41>IMT2000사업자에 한국통신·SK텔레콤 07-24 다음 '욕설 콘텐츠 업로더' 효진초이 "후회도 했다…"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