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석, 의미 있는 시도"…원작자가 본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작성일 07-24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RH9FluSl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db3d3acf84de0cb28dfd52e5b67ed765677540247c0d9ede55f0bc37337c499" dmcf-pid="0eX23S7vT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7997cvfr.jpg" data-org-width="647" dmcf-mid="ZrBkdKo9h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7997cvfr.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9529ad7ddba5695da16fc004db23e2b898ffd57b8435db77b2303f71063e387e" dmcf-pid="pFNTDdOJvg" dmcf-ptype="general">[SBS연예뉴스 | 김지혜 기자]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의 원작자 싱숑이 영화를 보고 나서 소설과의 다른 개성에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p> <p contents-hash="8fc31a3984623832a119e8e97b65ade6d1e334c79511d90ca98369d0b1f34c18" dmcf-pid="U3jywJIiyo" dmcf-ptype="general">투자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24일 오후 싱숑과의 일문일답을 공개했다. 싱숑은 "영화화 제안을 상상하지 못했다"고 밝히면서도 "'더 테러 라이브'를 만든 김병우 감독의 연출이라는 것에 망설임 없이 계약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cd6976c94d21f0e109c23e64ec9fd80a693df6edeee8e4f59c037edc413e2f78" dmcf-pid="u0AWriCnTL" dmcf-ptype="general">영화를 보고 난 후 싱숑은 "원작과 영화의 메시지는 그 궤적이 다르다" 평했다. 이어 "굳이 표현하자면 원작은 '이야기' 또는 '읽기' 자체에 관한 이야기이고, 텍스트로만 구현 가능한 지점들을 적극 활용하다 보니 영화로 만들었을 때 다소 난감한 지점들이 있었을 것이다. 아마 제작 당시 그 점을 고려하셨을 거라 생각한다"면서 "영화에서는 웹소설 원작에서 다룬 주제 대신 2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에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영상화는 원작에 대한 재해석인 만큼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고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p> <p contents-hash="24b7dc6246b9fc1ec3d0370d73ab84575e1bdc7f5d51838671e7c10b60e8b748" dmcf-pid="7pcYmnhLln" dmcf-ptype="general">'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 싱숑의 동명 웹소설을 영화화한 이 작품은 개봉일인 지난 23일 박스오피스 1위로 데뷔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65447ef72f226f9a8dc564661d576231c11d4c5611bb050fbc8e6ab8a2370ba" dmcf-pid="zUkGsLloh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225sgve.jpg" data-org-width="600" dmcf-mid="5RVaQ7dzC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225sgve.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eed673ddc7026d76793a6575d3b0c981bb8bfb5af81c3e7bf47cb648e0f7def" dmcf-pid="quEHOoSgWJ" dmcf-ptype="general"><strong>-다음 '전지적 독자 시점' 싱숑 작가와의 일문일답-</strong></p> <p contents-hash="c659c4741893125246ff4ef43c852348bb7dee3b42e565f8780db1ee26c8e877" dmcf-pid="B7DXIgvald" dmcf-ptype="general">Q1. 영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영상화에 동의하신 결정적 이유가 무엇인가요?</p> <p contents-hash="cccc476e2db37347a68a5ef8f106007e7ee4a3ef147b95b656353afb6c380cbc" dmcf-pid="bzwZCaTNle" dmcf-ptype="general">처음 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는 얼떨떨했습니다. 그때 저는 신인이었고, 사실 드라마도 애니메이션도 아닌 영화 제안이 들어올 줄은 상상도 못 했거든요. 아무래도 원작을 실사화하는 데는 큰 위험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꺼려지기도 했습니다만, 맡아주시는 감독님이 누구신지 듣고서는 망설임 없이 계약에 동의했습니다. 김병우 감독님의 '더 테러 라이브'를 재미있게 봤거든요.</p> <p contents-hash="796099a7fb1e84b9aff3393d9d5f50ed84b33815343ef428d10e0dc0ff744fa3" dmcf-pid="KBm1ljWACR" dmcf-ptype="general">Q2. 소설에 등장하는 도깨비, 어룡 등 크리처들이 영상화된 결과물을 보신 소감이 궁금합니다.</p> <p contents-hash="5fd2ff1004580fed7d58546e89146810e9b39caf1bd472fe7e00b8fd29f83f26" dmcf-pid="9bstSAYcCM" dmcf-ptype="general">사실 영화에서 등장하는 크리처들은 제가 상상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사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고민되는 지점이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원작의 크리처들이 '공포'의 정서에 가까웠다면, 영화의 크리처들은 '신비'의 정서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크리처들이 더 많은 연령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모습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3495610d13e4db48cc22b94cbe49654904aadbb864680698320507a90cd12a2" dmcf-pid="2KOFvcGkT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451ebee.jpg" data-org-width="647" dmcf-mid="1V14UyBWT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451ebee.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b6fea29c80aa1df22d716ee6261a8128a9cb2da7fb464ddca47c7115594920f" dmcf-pid="V9I3TkHESQ" dmcf-ptype="general">Q3. 특히 좋았던 장면이 있었나요?</p> <p contents-hash="0217e5d848d0e420a6c6025b8ccdf64b1e99d7587ced4084de93a018c2dc83b2" dmcf-pid="f2C0yEXDyP" dmcf-ptype="general">배우분들의 열연이 무척 눈에 띄었기 때문에 특히 좋았던 장면을 손에 꼽기는 어렵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첫 장면을 좋아합니다. 군중들 속에서 김독자가 객석을 향해 걸어오고 있는데, 처음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눈에 띄질 않습니다. "김독자는 대체 누구일까?"라는 의문에서 영화가 시작되는 게 흥미롭습니다.</p> <p contents-hash="9696c4563e0a661e4f69ca32ce7dc8ea44c61602cca2e3cb749127eca5eac4b4" dmcf-pid="4VhpWDZwT6" dmcf-ptype="general">Q4. 원작 속 캐릭터들이 실제 스크린으로 구현되었는데 가장 인상 깊었던 캐릭터가 있나요?</p> <p contents-hash="7d1434956cd116889bea408f963319d4b94c71fc83558637ff7ae2500032b8a4" dmcf-pid="8flUYw5rv8" dmcf-ptype="general">개인적으로는 영화에서 표현된 이길영 캐릭터가 꽤 특이했습니다. 원작이랑은 성격이 조금 다르게 표현되는데, 다른 세계선에서는 그처럼 귀여운 이길영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었습니다. 사실 이길영을 연기해 주신 권은성 배우님과는 화장실에서 마주쳤었는데, 배우님은 아마 제가 누구인지 모르셨을 거예요. 잠깐 성좌가 된 기분을 느꼈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16f977666c2428e07b1a22b29bc7327a12cece4e407d2bfba9bb950a15c0d8c" dmcf-pid="64SuGr1ml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719mqui.jpg" data-org-width="647" dmcf-mid="tRbn40xph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719mqui.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b1b0c3d520506e0483b5f0a7fbc383fefa0185a9d07e6667d6fb67ac50b85f8" dmcf-pid="P8v7HmtsCf" dmcf-ptype="general">Q5. 웹소설이 웹툰으로 그리고 다시 영화로 제작될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메가 IP가 되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사람들이 이토록 작품을 좋아해 준다고 생각하나요?</p> <p contents-hash="a9c4b304b9eaafac7ad1222ca49f6f600ee18a740b9879b137c14ac5e1e95242" dmcf-pid="QxYb1CphhV" dmcf-ptype="general">지금도 종종 하는 생각이지만, 저희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시기에 어떤 이야기의 수요가 우연히 발생했고, 마침 저희가 그 이야기를 썼고, 정말 운이 좋게도 좋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함께 읽어 주셨습니다. 이야기를 사랑해 준 팬 분들이 계셨기에 지금의 전지적 독자 시점이 있습니다. 평생의 빚입니다. 늘 감사한 마음뿐입니다.</p> <p contents-hash="a624905bc2cf79a14ff12e78ec03f3729e8a3a369673e9b9ba1513c193b22ed5" dmcf-pid="xMGKthUly2" dmcf-ptype="general">Q6. 작품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었는지, 그것이 영화에서도 잘 구현되었다고 생각하나요?</p> <p contents-hash="acfa182c92870ebbc8cfd3b2c260c3e4397cdb55e2bf42072061dcd5d00670f8" dmcf-pid="yWemo4A8l9" dmcf-ptype="general">원작과 영화의 메시지는 그 궤적이 다릅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원작은 '이야기' 또는 '읽기' 자체에 관한 이야기이고, 텍스트로만 구현 가능한 지점들을 적극 활용하다 보니 영화로 만들었을 때 다소 난감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아마 제작 당시 그 점을 고려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영화에서는 웹소설 원작에서 다룬 주제 대신 2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에 집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화는 원작에 대한 재해석인 만큼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합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1d3583a449c59ee7ab12ee8d461f95bad14ec1001c78bc74ad593659901b4b" dmcf-pid="WYdsg8c6C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953hrjb.jpg" data-org-width="647" dmcf-mid="FATzXsFOS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SBSfunE/20250724154518953hrjb.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7fa55c6e3456957468a14b03a4107085171c6898bcfaa3a70271a37f975f8c8" dmcf-pid="YGJOa6kPCb" dmcf-ptype="general">Q7. 웹소설을 열렬히 응원하고 읽어주신 독자분들, 그리고 영화로 '전지적 독자 시점'을 접하게 되실 관객들께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을까요?</p> <p contents-hash="e7fd2e88a1ed810e053e3d7628dbab0f773d7fa8894e1bb66e518d5b0e6568d0" dmcf-pid="GHiINPEQSB" dmcf-ptype="general">딱 한 번, 영화가 촬영되는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커다란 세트장에서 수많은 스태프분들이 단 하나의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애쓰고 계셨습니다. 카메라가 돌아가고, 배우분들은 같은 장면을 연기하고 또 연기했습니다. 같은 장면을 반복하고, 반복하고, 또 반복하고. 그러다 문득 깨달았습니다. 같은 장면처럼 보였던 연기가 사실은 모두 다른 장면이었다는 것을요. 마치 회귀를 반복했던 유중혁의 삶이 실은 모두 '다른 인생'이었던 것처럼 말입니다.</p> <p contents-hash="173823eca78fa17ff6796f8d24802063a267f6ff0f8da67f13a48aae6e67afb9" dmcf-pid="HXnCjQDxTq" dmcf-ptype="general">하나의 결말에 도달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반복하는 배우분들을 보며, 또 무엇이 '온전한 완성'인지 누구도 확신하지 못할 이야기에 땀 흘려 관여해 주신 스태프분들을 보며, 저는 끝나지 않는 회귀를 반복하는 유중혁과 그 이야기를 지켜본 김독자에 관해 생각했습니다.</p> <p contents-hash="e7fcf9c7a11fa8b4b6ca397a5c5f86587201dd045b4bee4653c6b5ee3b0cdd87" dmcf-pid="XZLhAxwMSz" dmcf-ptype="general">대부분의 창작자들이 으레 그러하듯, 저희 역시 원작자로서 원작과는 달라진 영화의 요소들에 아쉬움은 있습니다. 다만 그런 생각이 들 때면 그날 저희가 보았던 촬영장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어떤 이야기는 그 완성된 형태와 무관하게 평가하기가 어렵고, 아마 이 영화도 저에게 그런 의미로 맺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김독자가 '멸살법'의 유중혁을 응원하듯, 비슷한 마음으로 저도 이 영화를 응원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21ba85b5f3fc455303552e9dacebb15d15716558899343b1e3f46cd60bdbd15" dmcf-pid="Z5olcMrRl7" dmcf-ptype="general">미리 원작을 읽어 주신 독자분들께는 색다른 시선으로 '전지적 독자 시점'를 다시 읽는 경험으로, 또 처음 이 세계관을 접하는 관객분들께는 독특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으로 이 영화가 기억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ink href="https://ent.sbs.co.kr/news/article.do?article_id=E10010304198" rel="canonical"></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음공협, ‘대중음악 공연산업 발전을 위한 1차 세미나’ 성료...주요 현안 논의 07-24 다음 '마약 파문' 돈스파이크 "평생 이뤄온 것들 다 사라진 기분"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