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독시' 원작자 싱숑 "영화에서 달라진 요소 아쉽지만…" [일문일답] 작성일 07-24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bvczG9HyO"> <p contents-hash="0c7cf4d482e23defac91b60c88d417e7b5a852f6497e963c6f71ffee3417c583" dmcf-pid="PKTkqH2XTs" dmcf-ptype="general">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원작 웹소설 작가 싱숑이 응원의 메시지를 남겼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15e543efa7957119d7611d7e5168f288d6d51e9bffee19d691c10cbd198d894" dmcf-pid="Q9yEBXVZC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iMBC 연예뉴스 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iMBC/20250724142129677iaxq.jpg" data-org-width="900" dmcf-mid="4bSo3S7vv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iMBC/20250724142129677iax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iMBC 연예뉴스 사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a71fb79d9ad12a1d070d85d1eae1c5306cf0ad687ca61532386517c031dfd5" dmcf-pid="x2WDbZf5Sr" dmcf-ptype="general">24일 배급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전지적 독자 시점'(감독 김병우) 원작 작가 싱숑과의 일문일답 인터뷰를 공개했다. </p> <p contents-hash="5b696314d93a24de2441d2909241c7f520ebb3c10b98d66336e79b15464726c2" dmcf-pid="yOMqriCnvw" dmcf-ptype="general">'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다. </p> <p contents-hash="af3c62ef3787811337ba9b3e33197b14f8367ce891c1d1782c57b7b8ebd54667" dmcf-pid="WMFlPue7lD" dmcf-ptype="general"><strong>[이하 싱숑 작가 일문일답.] <br></strong>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265bac29e02285e77b4cdbaad4ad9c3cf50430a9696749e6f3bc33e05b122c" dmcf-pid="YR3SQ7dzh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iMBC 연예뉴스 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iMBC/20250724142130938xpno.jpg" data-org-width="900" dmcf-mid="80PuEesdy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iMBC/20250724142130938xpn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iMBC 연예뉴스 사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1fcbf2616aa6dc58a8d6efaef8244042f971f5696d18a5b46dbbda603b24f50" dmcf-pid="Ge0vxzJqCk" dmcf-ptype="general"><strong>Q1. 영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 어떤 생각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영상화에 동의하신 결정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strong> </p> <p contents-hash="4608028d15ae6857ce5a275e86c22e05f340c7594f06d48619c4076ba6e4c46b" dmcf-pid="HdpTMqiBWc" dmcf-ptype="general">처음 영화 제안이 들어왔을 때는 얼떨떨했습니다. 그때 저는 신인이었고, 사실 드라마도 애니메이션도 아닌 영화 제안이 들어올 줄은 상상도 못 했거든요. 아무래도 원작을 실사화하는 데는 큰 위험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처음에는 꺼려지기도 했습니다만, 맡아주시는 감독님이 누구신지 듣고서는 망설임 없이 계약에 동의했습니다. 김병우 감독님의 ‘더 테러 라이브’를 재미있게 봤거든요. </p> <p contents-hash="71a7456ca359bf4b1d33fb05765d7e623fab7001340f469fcae7e6cb5f19b014" dmcf-pid="XJUyRBnbCA" dmcf-ptype="general"><strong>Q2. 소설에 등장하는 도깨비, 어룡 등 크리처들이 영상화된 결과물을 보신 소감이 궁금합니다. </strong> </p> <p contents-hash="ab73e4fd332fb145448ea8d636a04cc71cf6de3cb2f8ca523ec68fff20937548" dmcf-pid="ZiuWebLKvj" dmcf-ptype="general">사실 영화에서 등장하는 크리처들은 제가 상상한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사화되는 과정에서 여러 고민되는 지점이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원작의 크리처들이 ‘공포’의 정서에 가까웠다면, 영화의 크리처들은 ‘신비’의 정서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크리처들이 더 많은 연령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모습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p> <p contents-hash="442a4d0289f95a4ee4d8e8551c8367c46fed7da0c9abea39125bbe3fd486408e" dmcf-pid="5n7YdKo9WN" dmcf-ptype="general"><strong>Q3. 특히 좋았던 장면이 있었나요?</strong> </p> <p contents-hash="184e28c92799c83c5670b0cbdfe8a3c94dee1467e7aa699665115b003f2bc619" dmcf-pid="1LzGJ9g2ha" dmcf-ptype="general">배우분들의 열연이 무척 눈에 띄었기 때문에 특히 좋았던 장면을 손에 꼽기는 어렵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첫 장면을 좋아합니다. 군중들 속에서 김독자가 객석을 향해 걸어오고 있는데, 처음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눈에 띄질 않습니다. “김독자는 대체 누구일까?”라는 의문에서 영화가 시작되는 게 흥미롭습니다. </p> <p contents-hash="ce776731d28f66ed043b553d0131b482b457d5bbcac4e0ca885c6fd6f9d62076" dmcf-pid="toqHi2aVyg" dmcf-ptype="general"><strong>Q4. 원작 속 캐릭터들이 실제 스크린으로 구현되었는데 가장 인상 깊었던 캐릭터가 있나요?</strong> </p> <p contents-hash="fa07f6c813ac3f3c48410a6cbb00d04939932a2d017cfcf98a349ea83b81a8dc" dmcf-pid="FA2ta6kPyo" dmcf-ptype="general">개인적으로는 영화에서 표현된 이길영 캐릭터가 꽤 특이했습니다. 원작이랑은 성격이 조금 다르게 표현되는데, 다른 세계선에서는 그처럼 귀여운 이길영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었습니다. 사실 이길영을 연기해 주신 권은성 배우님과는 화장실에서 마주쳤었는데, 배우님은 아마 제가 누구인지 모르셨을 거예요. 잠깐 성좌가 된 기분을 느꼈습니다. </p> <p contents-hash="5a71c024d303f2048d90ccb33fc5f7c889ccfc9e5a6565014733c9eb93a9c8f9" dmcf-pid="3cVFNPEQhL" dmcf-ptype="general"><strong>Q5. 웹소설이 웹툰으로 그리고 다시 영화로 제작될 만큼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메가 IP가 되었습니다. 어떤 점 때문에 사람들이 이토록 작품을 좋아해 준다고 생각하나요? </strong> </p> <p contents-hash="0c106c3b1cc7ae9e4a91926dd7f51a082b1951f36270ec0188c5a4ba50415a97" dmcf-pid="0kf3jQDxCn" dmcf-ptype="general">지금도 종종 하는 생각이지만, 저희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시기에 어떤 이야기의 수요가 우연히 발생했고, 마침 저희가 그 이야기를 썼고, 정말 운이 좋게도 좋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함께 읽어 주셨습니다. 이야기를 사랑해 준 팬 분들이 계셨기에 지금의 전지적 독자 시점이 있습니다. 평생의 빚입니다. 늘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p> <p contents-hash="8b8b41580e659f2166b12a5bd0c337d298d18559b7608645609ed4863795f18f" dmcf-pid="pE40AxwMSi" dmcf-ptype="general"><strong>Q6. 작품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었는지, 그것이 영화에서도 잘 구현되었다고 생각하나요? </strong> </p> <p contents-hash="0562e47d62c5e62887103167247413e1b03f643d443de7836c7e7fbd0b8fa4b1" dmcf-pid="UD8pcMrRTJ" dmcf-ptype="general">원작과 영화의 메시지는 그 궤적이 다릅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원작은 ‘이야기’ 또는 ‘읽기’ 자체에 관한 이야기이고, 텍스트로만 구현 가능한 지점들을 적극 활용하다 보니 영화로 만들었을 때 다소 난감한 지점들이 있습니다. 아마 제작 당시 그 점을 고려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영화에서는 웹소설 원작에서 다룬 주제 대신 2시간 안에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에 집중한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화는 원작에 대한 재해석인 만큼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합니다. </p> <p contents-hash="1292a1bd22ab3c6457ce9b86f50aa11ec264c2b8633b3a0554dd73db7fe93cde" dmcf-pid="uw6UkRmeCd" dmcf-ptype="general"><strong>Q7. 웹소설을 열렬히 응원하고 읽어주신 독자분들, 그리고 영화로 '전지적 독자 시점'을 접하게 되실 관객들께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을까요?</strong> </p> <p contents-hash="8d154b34a742c8953346136cbb7c5ec07bc6ab79c26d88e1bcaf38c3d5e40328" dmcf-pid="7rPuEesdCe" dmcf-ptype="general">딱 한 번, 영화가 촬영되는 현장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커다란 세트장에서 수많은 스태프분들이 단 하나의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애쓰고 계셨습니다. 카메라가 돌아가고, 배우분들은 같은 장면을 연기하고 또 연기했습니다. 같은 장면을 반복하고, 반복하고, 또 반복하고. 그러다 문득 깨달았습니다. 같은 장면처럼 보였던 연기가 사실은 모두 다른 장면이었다는 것을요. 마치 회귀를 반복했던 유중혁의 삶이 실은 모두 ‘다른 인생’이었던 것처럼 말입니다. </p> <p contents-hash="d8c2e017c6ee3303863e58cde691f9b2f5f76ed2ef6acf37e5fc444bf2cefa51" dmcf-pid="zmQ7DdOJvR" dmcf-ptype="general">하나의 결말에 도달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반복하는 배우분들을 보며, 또 무엇이 ‘온전한 완성’인지 누구도 확신하지 못할 이야기에 땀 흘려 관여해 주신 스태프분들을 보며, 저는 끝나지 않는 회귀를 반복하는 유중혁과 그 이야기를 지켜본 김독자에 관해 생각했습니다. </p> <p contents-hash="7884912ebb9245a4eba804a8c381f4707f487f481039107172b2c2a6e5de6ad7" dmcf-pid="qsxzwJIiWM" dmcf-ptype="general">대부분의 창작자들이 으레 그러하듯, 저희 역시 원작자로서 원작과는 달라진 영화의 요소들에 아쉬움은 있습니다. 다만 그런 생각이 들 때면 그날 저희가 보았던 촬영장을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어떤 이야기는 그 완성된 형태와 무관하게 평가하기가 어렵고, 아마 이 영화도 저에게 그런 의미로 맺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김독자가 ‘멸살법’의 유중혁을 응원하듯, 비슷한 마음으로 저도 이 영화를 응원하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ccd2ab471514500b8d9afc6c12f98435861f2b221a0680a5dbe189181c6100bd" dmcf-pid="BrPuEesdTx" dmcf-ptype="general">미리 원작을 읽어 주신 독자분들께는 색다른 시선으로 ‘전지적 독자 시점’를 다시 읽는 경험으로, 또 처음 이 세계관을 접하는 관객분들께는 독특하고 새로운 영화적 경험으로 이 영화가 기억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 <p contents-hash="f3ca36a5eef202207b02231e5b382cd43554ea3930278c0eb8db06c4439297b1" dmcf-pid="bmQ7DdOJTQ" dmcf-ptype="general">iMBC연예 백승훈 | 사진출처 롯데엔터테인먼트</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BC연예.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한지민 언니' 정은혜, ♥조영남과 신혼 생활 최초 공개 (동상이몽2) 07-24 다음 [인터뷰①] '좀비딸' 이정은 "2NE1 댄스? 부담감 컸다…K팝인데, '뽕삘' 느낌"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