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빔·상폐빔'…김치코인 '가두리 펌핑' 기승 작성일 07-24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스트라이크 상폐 공지에 270% 급등<br>국내거래 90% 이상…입금 막혀 변동성↑</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MGlOoSgS1">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07440093493889bc5c6843c3d889fc28854c8682ff5b3beebad51ab52d2beeb" dmcf-pid="GwKUFluSC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BUSINESSWATCH/20250724134105420gvuw.jpg" data-org-width="645" dmcf-mid="WmQ2BXVZh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BUSINESSWATCH/20250724134105420gvuw.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60aeb5f88fdfbb7cfe69f1a81a5edc01713fdbe16d1a8c1acdb54e553a6d0370" dmcf-pid="Hr9u3S7vhZ" dmcf-ptype="general">국내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유의종목 지정과 상장폐지 확정 후 가상자산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잇달아 발생하고 있다.</p> <p contents-hash="4770552e08eb35e690d80a36b9bcea387cd3154480395d6b7dccb305e58d717b" dmcf-pid="Xm270vzTSX" dmcf-ptype="general">24일 업비트에서 스트라이크(STRIKE) 코인은 지난 21일 상장폐지 공지 후 22일부터 이틀간 8000원에서 3만원까지 270% 가량 급등했다가 24일 오전 2만원까지 하락했다.</p> <p contents-hash="7d2673f27442dcc77421bebdd5c3870de7a5f1600c01de3d2789f98183a94076" dmcf-pid="ZsVzpTqyvH" dmcf-ptype="general">이 코인은 지난 4일 유의종목 지정 때도 급등세를 탔다. 당시 빗썸에서 이틀간 8000원에서 2만3000원으로 190% 가량 급등했다가 다시 하락해 1만원까지 떨어졌다.</p> <p contents-hash="860e04361a21c766ef91477c029105c561ad71d75088af1ef3d86da40db5624d" dmcf-pid="5OfqUyBWhG" dmcf-ptype="general">업비트와 빗썸 간 가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지난 4일 두 거래소가 동시에 유의종목 지정 때 업비트에서는 최고가 1만2700원, 빗썸은 2만3000원이었다. 반대로 이번 상장폐지 확정 때 최고가는 업비트 3만원, 빗썸 2만2370원이었다.</p> <p contents-hash="d40514c9abf56ea1d85ef581e09f673b6f0f0c2cd6c1c7c54122839eb4a8c523" dmcf-pid="1I4BuWbYWY" dmcf-ptype="general">스트라이크 코인이 유독 국내거래소에만 '유의빔', '상폐빔'이 발생하고 거래소별 가격 차이가 큰 것은 이 코인이 국내에서만 거래되는 김치코인이기 때문이다. 이 코인은 전세계 거래량의 99.99%가 업비트와 빗썸에서 거래된다.</p> <p contents-hash="6dbdb9a4b97bcc1d9208712eaf56806ae266b73c1bcc41c529d060d596069bdf" dmcf-pid="tC8b7YKGvW" dmcf-ptype="general">특히 국내 거래소들이 특정 코인을 유의종목 지정 땐 코인 입금을 막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가두리 펌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거래소 간 물량 이동이 없다 보니 한 거래소 내에서 비정상적인 가격 급등락이 빈번해 지고 있다.</p> <p contents-hash="4660186eb40c64b0891662fbd151a6f137fa548ce5c486e609203f0528aaf41a" dmcf-pid="Fh6KzG9HCy" dmcf-ptype="general">대형거래소에서 이러한 현상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김치코인 스톰엑스(STMX)는 당시 30% 가량 급등락했다. 또 올해 1월에는 업비트에서 스팀달러(SBD)와 비트코인골드(BTG)가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후 수일 새 2배 이상 가격이 급등한 바 있다.</p> <p contents-hash="15098a6ccd36af03d1043a475773cd0a5de2dc380239e6e14c566d38f771b619" dmcf-pid="3lP9qH2XWT" dmcf-ptype="general">유의종목으로 지정되거나 상장 폐지되는 코인은 대부분 프로젝트 진척이 없거나 운영이 투명하지 않은 부실 코인이지만 높은 변동성으로 투자자들을 꾀는 등 시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몰려들면서 수수료 수입을 챙기는 거래소들은 유의 지정 등 공지만 할 뿐 투자자 보호를 위한 추가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다.</p> <p contents-hash="2d4dead8183c4c09e90b3236cca1c40a61f20a0d7eff18dd0056302dab294d67" dmcf-pid="0SQ2BXVZWv"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국내 거래소에만 단독상장 되거나 거래가 발생하는 K코인의 경우 유의종목 지정 등으로 가두리장이 형성되면 유의빔, 상폐빔이 극심해지고 있다"며 "세력들이 컨트롤하는 가두리 코인의 경우 개인 투자자들이 급등락 시점을 알 수 없어 섣부른 진입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e10f78cfbe328acf5940ee91ac028a428f1861137c982f0e4c72dd72389e3d6" dmcf-pid="pvxVbZf5vS" dmcf-ptype="general">최용순 (cys@bizwatch.co.kr)</p> <p contents-hash="123efbf8008fe9ef0638de08b7f144c1bc0fa961857aa719293e0ff4c2353fa2" dmcf-pid="UC6KzG9Hll" dmcf-ptype="general">ⓒ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뱀뱀 여동생, 98년생이 '3층집' 자가 마련…"아이돌 오빠 도움 無"('두유노집밥') 07-24 다음 [아시아롤러선수권] '금 2∙은 2 획득' 김지찬-박성훈은 메달 듀오! "말 안 해도 다 아는 사이"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