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미래 성장성, HBM4 가격협상·수익 방어에 달렸다 작성일 07-24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원가 상승, 경쟁 심화 등 불확실성 우려…수익성 유지에 총력 기울일 듯</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acCJ9g2cs"> <p contents-hash="24813389eb79c0b3fe988ca1ff5d2a27bfaf378e9e56b51cf06ecd86bedc117b" dmcf-pid="3Nkhi2aVNm"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SK하이닉스가 올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미래 AI 메모리 수요 대응을 위한 제품 개발·설비투자에 적극 나선다. 특히 내년에도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장 우위를 지속하기 위한 준비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39d7fff29998930246ec8cda77ada54045f8fcda802666054e829350526df393" dmcf-pid="0jElnVNfjr" dmcf-ptype="general"><span>관건은 수익성 방어다. 차세대 제품인 HBM4는 제조비용 상승, 후발주자와의 경쟁 심화 등으로 내년 견조한 공급량 및 가격 확보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span></p> <p contents-hash="7818e5d4c4e1f379f301718ccc6246d490f27e21e78e9e84b943a2f93bd95838" dmcf-pid="pDsWNPEQAw" dmcf-ptype="general"><span>다만 SK하이닉스는 </span><span>HBM </span><span>공급 </span><span>과잉 </span><span>및 </span><span>수익성 </span><span>악화 </span><span>등 </span><span>대내외적인 우려에 </span><span>대해 </span><span>"HBM4는 원가 상승을 고려한 가격 정책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최적의 가격 수준을 형성하고자 한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시사했다.</span></p> <p contents-hash="09f8e5d03f047bc3b316432f846e0f736f10b32f3c4587f00a56806e218b07fb" dmcf-pid="UwOYjQDxjD" dmcf-ptype="general"><span>SK하이닉스는 지난 2분기 매출액 22조2천320억원, 영업이익 9조2천129억원(영업이익률 41%), 순이익 6조9천962억원(순이익률 31%)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372317f26c1048dc0dd341a536ede1479d240bfcf1cfb3f7cbf1e7d355e630d" dmcf-pid="urIGAxwMA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하이닉스 HBM4 12단 샘플(사진=SK하이닉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ZDNetKorea/20250724121547289nsgl.png" data-org-width="404" dmcf-mid="VCb5RURuN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ZDNetKorea/20250724121547289nsg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하이닉스 HBM4 12단 샘플(사진=SK하이닉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67cbb65b7f2fe04f1f398fa644ac37411d034bfdb6d06e46b08b1b8ec1ee34c" dmcf-pid="7mCHcMrRAk" dmcf-ptype="general">이번 실적은 역대 최대 분기 실적에 해당한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5%, 전분기 대비 2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68%, 전분기 대비 24% 증가했다.</p> <p contents-hash="cfae8119975c37e1a5f04e7f1753e2a4a556b23aa282edc2134a23f4caaabc78" dmcf-pid="zshXkRmecc" dmcf-ptype="general"><span>SK하이닉스의 호실적은 당초 예상을 웃도는 D램·낸드 출하량 덕분이다. 또한 고부가 제품인 HBM3E 12단의 본격적인 판매 확대도 영향을 미쳤다. 하반기 역시 급격한 수요 감소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span></p> <p contents-hash="5a5c729d4477cd1a3c4a9752939e95ef48a4be9c9734848661c940fa576080e7" dmcf-pid="qOlZEesdaA" dmcf-ptype="general"><strong>차세대 제품 개발·설비투자 확대로 미래 수요 대응</strong></p> <p contents-hash="52ae261f0c31fd843170610064a440bf6f49a5b76116bd34f6a03696af12b1d8" dmcf-pid="BIS5DdOJNj" dmcf-ptype="general"><span>이에 맞춰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시장 선점을 위한 차세대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서버용 LPDDR 기반 최신형 모듈인 'SoCAMM(소캠)'의 공급을 연내 시작하며, AI GPU용 GDDR7은 용량을 24Gb(기가비트)로 확대한 제품을 준비한다.</span></p> <p contents-hash="080161fa0e5173eb8da3475455b558ce13c4e24ae396d7940bcd24b58172d010" dmcf-pid="bCv1wJIioN" dmcf-ptype="general">낸드는 수요에 맞춘 신중한 투자 기조를 유지하나, 향후 시황 개선에 대비한 제품 개발을 지속 추진한다.<span> 특히 QLC 기반 고용량 기업용 SSD(eSSD</span><span>) 판매 확대와 321단 낸드 기반 제품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span></p> <p contents-hash="6fedc3547f1cc68cd7f23d3ef045d5c82ce37eaa7c5cb9800ad423774c04ba73" dmcf-pid="KhTtriCnAa" dmcf-ptype="general">또한 HBM3E의 제품 성능과 양산 능력을 바탕으로, HBM 매출을 전년 대비 약 2배로 성장시키겠다는 기존 계획을 유지했다. HBM4 역시 고객 요구 시점에 맞춰 적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준비해 업계 최고 수준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6e1ed56ed932a02c0c002bc7e0a61d34b22459bf4c0ecc4d6088ebf36563750a" dmcf-pid="9lyFmnhLag" dmcf-ptype="general">올해 설비투자 규모는 당초 계획 대비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올해 말까지 구축 예정인 M15X는 내년부터 SK하이닉스의 HBM 생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관측된다.</p> <p contents-hash="503887c24518544d588ffae4f4c7bf51bab6e593d46e1dfe1139211eab7bcaac" dmcf-pid="2SW3sLloao" dmcf-ptype="general">SK하이닉스는 <span>“내년 HBM 공급 가시성이 확보되면서 적기 대응을 위한 선제적 투자를 결정했다”며 “올해 투자 규모는 기존 계획 대비 증가하며, 대부분 HBM 장비 투자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d1aa998314bdd34d4c20a0046d949d6e2a235c6b567251b2e18ad9ef29c62d05" dmcf-pid="VvY0OoSgkL" dmcf-ptype="general">차세대 D램인 1c(6세대 10나노급) D램 전환투자도 올 하반기 시작된다. 본격적인 램프 업은 내년에 진행될 예정으로, 현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중이다.</p> <p contents-hash="8e023c1f93892e185cc43689b4e36bcfe2287813399296e218329b5cfda55d4e" dmcf-pid="fTGpIgvaNn" dmcf-ptype="general"><strong>내년 HBM 사업 불확실성에도…'수익성 고수' 자신</strong></p> <p contents-hash="0c3ab270a6df075f1b898f5a1bbcc17f4b6c89361789c41f5674a500ced6bb83" dmcf-pid="4yHUCaTNai" dmcf-ptype="general"><span>다만 </span><span>업계는 </span><span>SK하이닉스의 </span><span>내년 </span><span>메모리 </span><span>사업에 </span><span>대한 </span><span>불확실성을 </span><span>우려해 </span><span>왔다.</span></p> <p contents-hash="cd0ab3f2cc965c16da07563c444771d862ce81987a90b7f933535a1fefd0bd8e" dmcf-pid="8igrxzJqNJ" dmcf-ptype="general"><span>주요 </span><span>고객사인 엔비디아</span><span>와 </span><span>HBM4 </span><span>등 </span><span>차세대 </span><span>제품에 </span><span>대한 </span><span>공급 </span><span>협의가 </span><span>당초 </span><span>예상보다 </span><span>길어지고 </span><span>있고, </span><span>삼성전자·마이크론 </span><span>등 </span><span>후발주자 </span><span>진입에 </span><span>따른 </span><span>HBM </span><span>경쟁 </span><span>과열이 </span><span>예상된다는 </span><span>시각에서다.</span></p> <p contents-hash="7ce496315787499a64edf7a4ef36d5efa911fe2ba0eabbf4d1d95a53ad37a4ea" dmcf-pid="6namMqiBod" dmcf-ptype="general"><span>특히 SK하이닉스는 HBM4 사업에서 수익성 하락 압박을 받고 있다. HBM4는 이전 세대 대비 I/O(입출력단자) 수 증가, 코어 다이 면적 증가, 베이스 다이의 TSMC 외주화 등으로 제조 비용이 크게 상승할 전망이다.</span></p> <p contents-hash="44225060c623160f6cfdb05c21a5126058b8d7dc29705aba11851cc728afa9da" dmcf-pid="PLNsRBnbge" dmcf-ptype="general"><span>SK하이닉스가 이를 HBM4 판매 가격에 온전히 반영하지 못할 경우, 견조한 이익을 거두기 힘들다. 이를 위해선 HBM4의 Gb(기가바이트)당 판매 가격이 이전 세대 대비 20~30%가량 증가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span></p> <p contents-hash="1e57527a9577c890da492117ade2dbe2149944b62a9c13ad1a87236ec06fe55d" dmcf-pid="QojOebLKcR" dmcf-ptype="general"><span>SK하이닉스는 이에 대해 "내년 HBM 고객사와의 협의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고, 고객사 프로젝트 다앙성이 증가하며 제품 믹스와 가격 등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며 "HBM4는 원가 상승을 고려한 가격 정책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최적의 가격 수준을 형성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span></p> <p contents-hash="44f346c798e5ce752c5cc36e02b649959d226d118ed61a152a8d98949cf83926" dmcf-pid="xgAIdKo9aM" dmcf-ptype="general"><span>내년 주요 경쟁사와의 경쟁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드러냈다.</span></p> <p contents-hash="4fb8a534df27361034bbad3fd17dd8b928ff711d86a741c208ed4fc9fabf4fce" dmcf-pid="yFUVHmtsax" dmcf-ptype="general"><span>SK하이닉스는 "HBM은 리딩 사업자가 일정한 협상력을 가질 수 있는 시장으로 변모했다고 판단한다"며 "SK하이닉스의 고객 지향적인 마인드와 이를 뒷받침하는 탄탄한 조직 팀워크 등 소프트한 경쟁력 요소들은 남들이 쉽게 카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5b1971aadd881fa68ab5e644effb447ddc4a26ec9be6e73b649a11571ff82c86" dmcf-pid="W3ufXsFOjQ" dmcf-ptype="general">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소민 근황, 누가 39세로 보겠어‥등교하는 여고생인 줄 07-24 다음 개인정보위, '네카쿠배당' 슈퍼앱 5곳에 내부통제 강화 권고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