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알고리즘이 정치 양극화 심화" 작성일 07-23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회입법조사처 "추천 알고리즘이 사회 갈등 부추겨"<br>해외선 관련 규정 운영하고 있지만 국내는 가이드라인 그쳐<br>"서비스 제공자 법적 책임 강화해 개인 선택 조정 방지해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a5k7xwMH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7add63f9e547ee3e8d8510d5ae0f9ac036c85e7e781b8dea0387655af12abe9" dmcf-pid="YN1EzMrR5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P/뉴시스]29일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유튜브가 모든 백신에 대한 가짜뉴스를 제재할 것이라 전했다.2021.09.30."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newsis/20250723144504695louw.jpg" data-org-width="720" dmcf-mid="yeMFgCphG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newsis/20250723144504695lou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P/뉴시스]29일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유튜브가 모든 백신에 대한 가짜뉴스를 제재할 것이라 전했다.2021.09.30.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44f44dde8c1098cb0b71fd296ceb23acaac56d302e1f465572d749863488058" dmcf-pid="GjtDqRmeH9"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정치적 양극화가 사회적 갈등으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의 ‘추천 알고리즘’이 이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대한 제도적 대응을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p> <p contents-hash="264116e1b23da325cae81b82a5b55fbded9eb2ac4b8e7c852a7544e7fcc89397" dmcf-pid="HAFwBesdHK" dmcf-ptype="general">23일 국회입법조사처는 '정치적 양극화와 소셜미디어의 책임: 추천 알고리즘 규제를 위한 입법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p> <p contents-hash="50cedefd8c158e5d56c34bba453e284bc0145076d726f6191c381354a65c0b6e" dmcf-pid="Xc3rbdOJZb" dmcf-ptype="general">보고서는 "대표적 소셜미디어인 유튜브는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이용자 맞춤형 뉴스와 시사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추천 알고리즘에 의한 확증편향을 유발하여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유럽연합(EU) 등 해외 입법례를 참고해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규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cc430b28e70f9d376b31766ca0ab5517495af6a37fa1f8e40aa4acb597f2fc4b" dmcf-pid="Zk0mKJIiHB" dmcf-ptype="general">국내에서 정치·시사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은 유튜브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4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에 따르면뉴스 및 시사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로 유튜브가 1순위(60.1%)로 꼽혔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은 각각 5% 안팎에 불과했다.</p> <p contents-hash="eb1c4388a163bed025f66388ab55216470e1af3e2f3dfa6ce355191361eb24f7" dmcf-pid="5Eps9iCnZq" dmcf-ptype="general">유튜브는 개인의 능동적 선택뿐만 아니라 알고리즘에 의한 추천 영상 시청 비중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유튜브 내에서 직접 검색어를 입력해 시청하는 비중이 78.3%, 구독 채널에서 영상을 선택하는 비중이 65.3%였고, 뒤로 첫 화면에서 추천된 영상을 선택하는 비중이 63.6%, 영상 시청시 추천된 영상을 선택하는 비중이 61%로 집계됐다. </p> <p contents-hash="a872f68f471ba656224b600f3182c36bb97bb86438c230586efb67267379c6bb" dmcf-pid="1DUO2nhLYz" dmcf-ptype="general">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이다. 이용자의 64.8%가 '유용하다'고 평가했고, 63.1%는 '지속적으로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p> <p contents-hash="0dc7431ad49fae2d564abcb33abd5619852123e00512e27484255ba4985144fd" dmcf-pid="twuIVLloY7" dmcf-ptype="general">보고서는 유튜브 알고리즘의 '필터버블'과 ‘에코챔버’ 구조가 이용자의 확증 편향을 강화시킨다고 비판했다. </p> <p contents-hash="46707ccaae6dbe78fe617e08029b059eddf4d05d6d69b7f694457781caadf997" dmcf-pid="Fr7CfoSgYu" dmcf-ptype="general">필터버블은 사용자가 자신과 유사한 관점을 가진 정보에만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현상을 말하며, 에코챔버는 그 안에서 반대 의견은 배제되고 자신의 신념만이 반향되어 확증편향이 강화되는 구조다. </p> <p contents-hash="401f00c2be97a450ce086e7643a9306f915981c09700da5e7c7e980aea686703" dmcf-pid="3mzh4gvaHU" dmcf-ptype="general">이로 인해 유튜브에서 보수 성향의 채널을 구독한 계정에는 보수 콘텐츠가, 진보 성향의 계정에는 진보 콘텐츠가 더욱 집중적으로 추천되는 것이다. </p> <p contents-hash="56548e9860f5960cad814f6d5cdd75746f79ef06ac7b41530cac8e75af7cc9a1" dmcf-pid="0ZR3ahUltp" dmcf-ptype="general">보고서는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되는 정치 정보가 정책적 이슈가 아닌 주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비정책적 이슈 콘텐츠라 정치 진영 간 정서적 차원의 양극화 문제를 심화시키는 기제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p> <p contents-hash="6d61f62af0b275e1b39e23b7d38da0dead427bd95d1feddf64e445309508a63b" dmcf-pid="p5e0NluSY0" dmcf-ptype="general">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제어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미비한 상황이다.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 관련 규제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추천 서비스 이용자 보호 기본원칙'으로 사업자에 권고하는 성격의 가이드라인에 그친다. </p> <p contents-hash="1bd97f2e56e7e65839024119c4fd9277c600a33a8dc42d227ff8779fd68683df" dmcf-pid="U1dpjS7vt3" dmcf-ptype="general">현재 국내외 온라인플랫폼 서비스의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규제는 사업자의 자율적 판단에 맡겨져 있는 실정이다. </p> <p contents-hash="855629601349ce404e698265654ead6142bd4b625331e5c62b695afff2cfe160" dmcf-pid="utJUAvzTGF" dmcf-ptype="general">해외에서는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온라인플랫폼사업자의 법적 책임을 강화해 공론 형성에 미치는 추천 알고리즘의 위험성에 대응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과 중국은 추천 알고리즘을 특정해 관련 규정을 만들고, 온라인플랫폼사업자의 법적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p> <p contents-hash="ba49cbb76fc34de93f90c977b6e489fabec842f1341a4537dde4a66637879cef" dmcf-pid="7FiucTqyZt" dmcf-ptype="general">EU는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맞춰 '디지털서비스법'을 제정하고 시민담론 등 공론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추천 알고리즘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온라인플랫폼사업자의 법적 책임을 강화했다.</p> <p contents-hash="2491145d5e4ad00591efe4f157c64138effbcec2dcc79ab6252b3919b6e24862" dmcf-pid="z3n7kyBWG1" dmcf-ptype="general">중국은 추천 알고리즘을 특정해 '인터넷추천알고리즘규정'을 제정하고 종류와 평가 등에 대해 온라인플랫폼사업자가 정부에 사전 보고하도록 했다.</p> <p contents-hash="600f2d6703afc43052f96623da565445e84cb60c778316898df3e8bd347f0da8" dmcf-pid="q0LzEWbY55" dmcf-ptype="general">입법조사처는 정치적 양극화 완화를 위해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온라인플랫폼 서비스를 규율하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나 '전기통신사업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p> <p contents-hash="ba6442e97be1f3abc6872f5d5f5bb9bad73be2ac5bb9b50a4588621328ff051d" dmcf-pid="BpoqDYKGtZ" dmcf-ptype="general">소셜미디어 등 알고리즘 추천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의 법적 책임을 강화해, 알고리즘이 개인의 정보 선택을 조정하거나 사회적 담론을 왜곡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요구다.</p> <p contents-hash="9e0553e15372b28ef55324f5df438c207f9cc2749f9e9e138920f724a027c105" dmcf-pid="bUgBwG9HXX" dmcf-ptype="general">일정 기준 이상의 국내외 온라인플랫폼사업자를 대상으로 추천 알고리즘의 주요 변수 공개 및 설명 등의 투명성 강화, 추천 알고리즘의 중지 및 수정 등 이용자 선택권 보장, 추천 알고리즘의 위험성 평가·완화 조치 내역에 대한 투명성 보고서 작성·보고 등을 의무화하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p> <p contents-hash="b0da3c0fb3b3b32e7d25bd1e16cc8fe2ccb67faf330a49da1d6cbfd9b120ae97" dmcf-pid="KuabrH2XGH"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점유율 1% 차' 中 턱밑 추격…삼성 폴더블폰 1위 '흔들' 07-23 다음 AI 인력 쟁탈전, 오픈AI 지나 구글 딥마인드 겨냥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