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예산 삭감에 NASA 직원 집단 성명…“파국적 영향” 작성일 07-23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보이저 선언’ 발표…“인력 감축도 우려”<br>달 개척 ‘아르테미스 계획’ 무산도 우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RxbHBnby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1148203a543981d02e15141aa05838925002c24c01bc3bba1204df208b60f83" dmcf-pid="6eMKXbLKW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미국 플로리다주 소재 미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우주센터 전경. NASA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khan/20250723130605679grnn.jpg" data-org-width="600" dmcf-mid="4pFTAvzTy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khan/20250723130605679grn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미국 플로리다주 소재 미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우주센터 전경. NASA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13657c20e04c15c66e7670f2cedb2c3f6410c3bf2152f96323a3527799633c7" dmcf-pid="PidV12aVTK" dmcf-ptype="general">미국 항공우주국(NASA) 전·현 직원 300여명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고 있는 대규모 예산 삭감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고 나섰다. NASA 수장에게 “예산 삭감을 이행하지 말라”는 집단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과학기관인 NASA의 ‘항명’이 향후 어떤 파장을 부를지 주목된다.</p> <p contents-hash="ecd3181faf3370f31e4e370e6ef647f1d375eba24ab0094c4721703c19f01af5" dmcf-pid="QnJftVNfWb" dmcf-ptype="general">22일(현지시간) 미국 비영리단체 ‘스탠드 업 포 사이언스’에 따르면 NASA 직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제안한 유해한 예산 삭감안을 이행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집단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 수신자는 NASA 임시 수장인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이다. 이번 성명은 NASA 소속 연구자를 포함한 전·현 직원 336명이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은 향후 있을 수 있는 불이익을 우려해 익명으로 참여했다.</p> <p contents-hash="8794461acda23c104e5cc86d58babdb0518919d8919cb5d5ccab36ec0b3dca94" dmcf-pid="xLi4Ffj4hB" dmcf-ptype="general">직원들은 성명에 ‘보이저 선언’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보이저는 1977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탐사선 이름이다. 지구에서 가장 먼 우주를 비행 중인 인공 물체로, 미국 우주 기술력의 상징이다.</p> <p contents-hash="cbad1c39325cae34d2123d91b1dd50e1eab83398b88233d2ca1eac08c257fb2d" dmcf-pid="y1ZhgCphCq" dmcf-ptype="general">직원들은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 6개월간의 변화는 NASA 임무를 약화시키고 관련 인력에 파국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연구자들이 지적한 ‘변화’의 핵심은 트럼프 행정부가 내년 NASA 예산을 올해보다 24%나 줄인 188억달러(약 25조9000억원)로 책정한 조치다.</p> <p contents-hash="b96dd2a9f83312c7845d963ce85bd1c1a668ed13975301fee9a87a3d6f9f5f20" dmcf-pid="Wt5lahUlhz" dmcf-ptype="general">직원들은 “(예산 축소 때문에) 우주선을 퇴역시키거나 연구과제를 취소하면 중요한 관측 임무가 무산될 수 있다”며 “우주와 항공, 지구과학 분야의 기초연구는 민간이 대체할 수도 없다”고 경고했다.</p> <p contents-hash="e69c978232b561ef8f4cf6a0fd96c932dc8551d88a1b08358181b6914b04390e" dmcf-pid="YF1SNluSl7" dmcf-ptype="general">특히 직원들은 ‘아르테미스 계획’의 취소 가능성을 걱정했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미국 주도의 다국적 달 개척 프로젝트로, 월면에 2030년대까지 상주기지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아르테미스 계획을 이행하기 위한 국제 공조 체계인 ‘아르테미스 약정’에는 미국과 한국, 영국 등 총 55개국이 서명했다. NASA 예산 삭감으로 아르테미스 계획에 브레이크가 걸리면 미국과 함께 달 개척을 하려던 약정 서명국의 정책 목표가 손상될 수 있다. 미국 리더십에도 상처가 생길 수밖에 없는 일이다.</p> <p contents-hash="541048f509bb5d6454a6219d21f274bf48607feb27524c31b46cc796367a0c85" dmcf-pid="G3tvjS7vvu" dmcf-ptype="general">직원들은 “수천명의 NASA 인력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고도 우려했다. 그동안 쌓은 기술 노하우가 날아갈 수 있다는 얘기다. 이달 초 미국 매체 폴리티코는 NASA 고위 기술자 등 2145명이 퇴직에 합의했으며, 일반 공무 담당 직원까지 포함하면 총 2694명이 NASA를 떠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약 1만7000명인 NASA 전체 인력 중 약 5000명을 내보낼 계획이다. 추가 감원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p> <p contents-hash="202cfb702cb14b9288bf485ed0d8cbd998fa07a4e9073fe5f66739f4a552cbc4" dmcf-pid="H0FTAvzTlU" dmcf-ptype="general">앞서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환경보호청(EPA) 직원들도 트럼프 행정부의 예산 삭감과 조직 축소에 반대하는 입장을 냈다. 수세에 몰렸던 미 과학계가 본격적인 저항에 나서는 가운데 향후 실질적인 변화가 만들어질지 주목된다.</p> <p contents-hash="ba1163c1bfa120c56c1c1fdcb4b87b054a4687dad9cefae0b0ce5b71f73caef3" dmcf-pid="Xp3ycTqylp" dmcf-ptype="general">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DGIST 퓨처 인사이트 포럼]플래그십 연구에 기관 역량 집중…지역·국가 변화 견인 07-23 다음 김종헌 한국프로복싱 5년 무패…타이틀 1차 방어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