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공공 SLA 의무화 2027년 적용…업계 현실 반영 작성일 07-23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공공 SLA 적용 기준 완화·위약금 기준 강화…정부 "확정 전 의견 수렴 단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XLxgsFOat"> <p contents-hash="b05516b12703012484798bc10adb0d0d0d1c436f42f582a7b030d9b189994d97" dmcf-pid="3Wd8iDZwc1"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남혁우 기자)정부가 공공 정보기술(IT) 시스템에 적용할 서비스수준협약(SLA) 기준의 의무화 시점을 1년 연기하고 가용률 요구 수준도 민간 클라우드 수준으로 완화한다. 지나치게 높다는 업계 지적을 일부 반영한 조치다.</p> <p contents-hash="eaf78c4387d15a086149c2ff7728d3e41cc8b8fd6c33a33460ebb090560661a8" dmcf-pid="0YJ6nw5rA5" dmcf-ptype="general">23일 행정안전부는 SLA 표준안 주요 수정안(이하 SLA 개정안)을 마련해 주요 기업에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 중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bbcc71c4a4c59dc40bd1d310817fd52137077f8b39c8d6d43f67c58d2afb076" dmcf-pid="pGiPLr1maZ" dmcf-ptype="general">이번 개정안은 공공시스템이 민간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현실을 반영해 SLA 가용률 기준을 보다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97a6967c4b4fcf1ce827a4feea0a4afd86cac053a562c5d1bb65ecb56016c4a" dmcf-pid="UHnQomtsA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행정안전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ZDNetKorea/20250723105542541vxsb.jpg" data-org-width="422" dmcf-mid="tFwamYKGc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ZDNetKorea/20250723105542541vxs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행정안전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684cb06a58edaedf73e25b1b0d4910751002d6174b764cab59aacdfddb43c60" dmcf-pid="uXLxgsFOcH" dmcf-ptype="general">1등급 시스템의 경우 가용률 기준이 기존 99.97%(월 기준 약 13분 장애 허용)에서 99.92%(약 34.6분 허용)로 낮추고 2등급은 기존 99.95%에서 99.90%로 조정됐다. 이는 민간 클라우드 시장에서 통상적으로 설정되는 수준이다.</p> <p contents-hash="8845efb9c290ab547acee66e5dc1720bf2c57d18fbafbe91487770cc3f59e24f" dmcf-pid="7ZoMaO3IoG" dmcf-ptype="general">반면 SLA 기준을 지키지 못할 경우 적용되는 위약금 기준은 강화됐다. 개정안은 유지관리비의 10%, 경우에 따라 최대 20%까지 차감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보다 엄격한 제재 기준으로 SLA 미달에 따른 운영 책임을 실효성 있게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p> <p contents-hash="7fceabfc5be5e3fb6cb2067e866ef9c1fab6fc8dc8084711ec60c14355ee99b0" dmcf-pid="z5gRNI0CoY" dmcf-ptype="general">SLA 표준안은 정보시스템의 등급에 따라 필수 적용과 권고 적용으로 나뉜다. 1·2등급 운영 또는 유지관리 사업에는 SLA 전 항목이 의무 적용되며 3·4·5등급은 권고 사항으로 적용된다.</p> <p contents-hash="430d2843ca03cb53db7e55ee84b9830f2b46cc3711ca04f876f57d83be816464" dmcf-pid="q1aejCphAW" dmcf-ptype="general">특히 장애조치 최대 허용시간과 서비스 수준 미달 시 제재 기준은 1·2등급에서 의무 적용 대상이다.</p> <p contents-hash="df6339ffe4f13a5b587886aaa18ed2bfcfb2aa3cfb46802d2cc791251604fbbe" dmcf-pid="BtNdAhUlcy" dmcf-ptype="general">또 새롭게 구축되는 차세대 시스템의 경우 도입 후 1년 동안 한 단계 낮은 SLA 기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1등급 시스템은 2등급 기준을 일시적으로 적용받는다. 이는 초기 안정화 기간을 고려한 유예 조치다.</p> <p contents-hash="05f370e29aa889bd72198df6e50dc2390b6d7ae21bf48d9f5a0e379767bed402" dmcf-pid="bFjJcluSNT" dmcf-ptype="general">당초 정부는 올해 시범 적용을 거친 후 내년부터 전면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었다. 이번 개정안에서는 적용 시점을 2027년으로 1년 연기하고 한시적으로 기준을 낮춰 적용할 수 있도록 유예 조항을 마련한다.</p> <p contents-hash="77c23154f495cfe9dd67dee26dcbd1167b2d6ac294f33b7b91e81b5cba3c9fbe" dmcf-pid="K3AikS7vkv" dmcf-ptype="general">SLA는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유지관리할 때 제공자가 지켜야 할 최소한의 서비스 기준을 명시한 계약이다. 시스템이 한 달간 얼마나 안정적으로 운영돼야 하는지, 장애 발생 시 얼마나 빨리 복구돼야 하는지 기준 미달 시 어떤 제재 조치가 이뤄지는지 등을 포함한다.</p> <p contents-hash="e5da95ed413838cb472e4f473f066b95a009b17244076e665385342b82bc690d" dmcf-pid="90cnEvzTNS" dmcf-ptype="general">행정안전부는 공공기관 전산망에서 수년간 반복된 장애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동안 SLA 기준을 제시해 왔으며 이번 개정안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p> <p contents-hash="f5b01d47a5d7bcbd47f9d6cf2cf2a0b97c3def7fe19504376600053a7e765867" dmcf-pid="2pkLDTqyol" dmcf-ptype="general">업계는 SLA 제도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지나치게 높은 가용성 기준과 촉박한 도입 일정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546594d8e7b7b9da3342bbff21011dd0b6501441e5ac76c4ff9caf753635d721" dmcf-pid="VitW32aVoh" dmcf-ptype="general">행정안전부는 이번 SLA 개정안이 업계의 이러한 의견을 일부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개정안이 <span>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며 앞으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330511a54145025bf323d3502c6ab6bf84d008dee6667e51940bd175902ce676" dmcf-pid="fnFY0VNfoC" dmcf-ptype="general">한 행안부 관계자는 "해당 안은 확정된 것이 아니고 관계기관에 의견을 듣는 과정"이라며 "확정 여부는 향후 검토 및 수렴 결과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f8799720c43c1e767ca2917791f01af9f5cbce6cbec01d9ab68b6baaaceccb3" dmcf-pid="4L3Gpfj4AI" dmcf-ptype="general">남혁우 기자(firstblood@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현장] "성적 아닌 잠재력에 연 3천만원"…서울대, '산업 AI'로 의대 쏠림 돌파구 제시 07-23 다음 “폭삭 늙었수다”…코로나 시기, 뇌가 반년 늙었다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