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민경 서울대 교수, 'APEC 아스파이어상' 수상 작성일 07-23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PEC 21개 회원국 투표 거쳐 수상자 선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ArtF9g2s9"> <p contents-hash="b3928ae780b84b9be47ea178c4be4cb1161edf91bc6d1119bfbd4a4fede88de7" dmcf-pid="pcmF32aVmK"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과학기술혁신정책동반관계파트너십(APEC PPSTI)이 올해 ‘APEC 아스파이어상’ 수상자로 백민경 서울대 교수를 선정했다. 한국인으로는 지난 2015년 ‘엘니뇨 예측모델 구축 연구’로 수상한 국종성 서울대 교수 이후 10년 만이다.</p> <p contents-hash="4705dea48905a78ed6d842ee5e1f36eea7df1d027184555de5d2b959f7680fd7" dmcf-pid="Uks30VNfDb" dmcf-ptype="general">아스파이어상은 국제 협력을 통해 연구성과를 낸 만 40세 미만의 젊은 과학자 1인에게 주는 상으로 △학술 논문기준의 연구성과 우수성 △APEC 역내 과학자와의 협력 △포용적 과학기술과 혁신을 통한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환경에의 기여를 기준으로 APEC 21개 회원국의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결정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9ca516647bc25506712450cc7e2cab44c67ee6f2d36b9cea3e0bc8214338468" dmcf-pid="uEO0pfj4w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Edaily/20250723102104932thqz.jpg" data-org-width="670" dmcf-mid="3Ml7zPEQm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Edaily/20250723102104932thqz.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4580853db772d78f16da4123de1f6373ca7085ce0a8978880181b4d466170747" dmcf-pid="7DIpU4A8Oq" dmcf-ptype="general"> 올해 수상자로 선정된 백민경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연구자이다.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 워싱턴대 교수와 AI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인 ‘로제타 폴드’를 개발했다. </div> <p contents-hash="73a95e652e53cb002e19dc57c3139f91069c5aa66ae1d27458ed88e7025d44f2" dmcf-pid="zwCUu8c6Ez" dmcf-ptype="general">단백질 구조 예측은 질병을 이해하고, 신약과 치료제를 개발하는 전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이다. 하지만 사람이 실험을 통해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에 최소 수개월, 최대 수십 년의 노력이 필요하다. 백 교수의 연구는 AI를 활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단일 단백질 구조를 해독함으로써 생명과학 연구와 신약개발에 전기를 마련했다. 최근 백교수는 AI 기업과 협업해 다중 단백질 구조 예측까지 연구범위를 넓히고 있다.</p> <p contents-hash="89aacd9b2e27d76b1e155f25be77d3ebdadf9fdeba0cc6c684a8cfaf34f91806" dmcf-pid="qrhu76kPr7" dmcf-ptype="general">백민경 교수는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연구가 재미있어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를 선택했는데 포용적 과학기술을 강조하는 APEC의 비전과 잘 맞았다”며 “과학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하고, 연결하는 작업으로 우리나라 젊은 연구자들이 APEC 역내의 연구자, 각 분야 전문가들과 소통하는 기회가 많아지면 좋겠다”고 소감을 전했다.</p> <p contents-hash="b83cb95195c2d90f1a7f44e2a4e26c4de95bc5cb0876599047a736a78c0eaec8" dmcf-pid="Bml7zPEQmu"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케데헌' 헌트릭스 vs. 사자보이즈 맞대결 현실화? 국내 시상식 후보 지명 07-23 다음 안보현·이주빈, 직진 vs 철벽…'스프링 피버', 코믹 로맨스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