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GPT 정예팀 3배수 압축…독자구축·서비스 이력 관건 작성일 07-23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오픈소스화는 기본 깔고 갈듯…기술력·실전성이 가중치 커"<br>"LG·네이버 양강구도 전망…업스테이지·SKT·NC도 무시못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CtuT3Q0GI">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8cb03ce168a3e4425aeec6e81517454356fcc557df492d7f75bbe635a5f662" dmcf-pid="WnsSNI0C1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NEWS1/20250723090142042foqd.jpg" data-org-width="1400" dmcf-mid="xyX3h541Y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NEWS1/20250723090142042foq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9d33968fe3071a4cd4edf51c4616bf472b296bb7d2658018e4e4a1a91443ee2" dmcf-pid="YLOvjCph5s"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리 독자 기술로 글로벌 수준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드는 정부 사업에 15개 컨소시엄이 몰렸다. 이들을 5곳으로 추릴 때 '프롬 스크래치'(첫 단계부터 직접 구축) 등 원천기술, 서비스 이력이 중점 평가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4af6d19524e483321464c0e58f353a0b598a8286cc043afff589f9fbe51f2d60" dmcf-pid="GoITAhUlZm" dmcf-ptype="general">23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 공모에 △네이버클라우드 △루닛 △모티프테크놀로지스 △바이오넥서스 △사이오닉AI △업스테이지(486550) △SK텔레콤(017670) △NC AI △LG AI연구원 △정션메드 △카카오(035720) △KT(030200) △코난테크놀로지(402030) △파이온코퍼레이션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컨소시엄이 지원했다.</p> <p contents-hash="e355a2c50db3fa69fc2204de52195f1c72f72dac8a657d6c7a954e7ea76044be" dmcf-pid="HgCycluS5r" dmcf-ptype="general">고품질 AI를 국내 보급하는 '모두의 AI' 구축을 목표로 한다. 컨소 대부분이 오픈소스화는 약속할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e4434a7cab1e42c2086d39a7ed41701ceb3c1b17e52ce49f82a8c6232a78a167" dmcf-pid="XahWkS7vZw" dmcf-ptype="general">더 중요한 건 기술력·개발경험이다. 공고에 따르면 평가 100점 중 40점으로 가장 비중이 크다.</p> <p contents-hash="a219753e1107dddd10ef37b5c33482e6251c662f85a37f6c4ac371e617416770" dmcf-pid="ZNlYEvzTZD" dmcf-ptype="general">특히 독자 구축력, 서비스 경험 등 실전성이 중점 평가될 예정이다. 모두의 AI는 원천기술 국산화, 산업 AI전환(AX)을 아우르는 개념이다.</p> <p contents-hash="294e6ed8d34ab22d5af19440de1ddfc9788bd7b43c9d171a4917d030ec425f7e" dmcf-pid="5jSGDTqyYE" dmcf-ptype="general">이를 유의미하게 충족한 곳은 네이버클라우드, LG AI연구원이다.</p> <p contents-hash="762087fea4d00b5d0405a7a9c69378607e088f12eca661490989d683b3f345a1" dmcf-pid="1AvHwyBWXk" dmcf-ptype="general">네이버(035420)가 2021년부터 선보인 하이퍼클로바 시리즈는 프롬스크래치로 개발됐다. 상업용 오픈소스로 풀린 '하이퍼클로바 X SEED' 30억 매개변수(3B) 모델은 중국 큐웬 2.5-VL 3B보다 비전 성능도 뛰어나다.</p> <p contents-hash="2d7816724f5203bacdae1ae24ceb8f1c863cb143a5021ccdee1afcefa1a35f0e" dmcf-pid="tXb4F9g2Zc" dmcf-ptype="general">또 회사는 한국은행·한수원 등 국내뿐 아니라 동남아·중동까지 사업을 넓혔다.</p> <p contents-hash="a37fbba3214171729e66879cc757e5ebc1513e69665ade5629519ef376973996" dmcf-pid="FZK832aVYA" dmcf-ptype="general">LG AI 연구원 엑사원 시리즈도 독자 구축으로 알려졌다. 최근 연구·교육용으로 공개된 '엑사원 4.0'은 문제해결·코딩·과학·수학 등 벤치마크에서 주요국 모델을 제쳤다.</p> <p contents-hash="8e71218dfd2022e3b36798fe71c6f4bcef05b136729873d4e61ce186090db39e" dmcf-pid="35960VNftj" dmcf-ptype="general">제조 등 계열사 업무 혁신, LG유플러스(032640)·LG CNS(064400)가 전개한 엑사원 기반 사업 등 이력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491e7f55d5253126475d049a2a2254d7fdcd228ca53e9d45c2e8d5a2e91f4172" dmcf-pid="012Ppfj4tN" dmcf-ptype="general">이외 주목할 컨소로는 업스테이지·SKT·NC AI 등이 꼽힌다.</p> <p contents-hash="cf23e85cb6ed26f1ef458fa9f55dd214f87d2ba5ccca1952c58ce38e0ee6cfea" dmcf-pid="ptVQU4A8Ya" dmcf-ptype="general">일찍부터 글로벌 서비스를 한 업스테이지는 국내외 보험업계 등 납품 성과가 있다. '솔라 프로 2'는 고난도 추론 벤치마크에서 'GPT-4o'·'딥시크 R1'·'미스트랄 스몰 3.2'·'큐원 3'에 필적했다.</p> <p contents-hash="430c3be8635feb4430fafa18d303e545e5efabbb17025d8b5d54e0cab49a81d1" dmcf-pid="UFfxu8c6tg" dmcf-ptype="general">다만 시중 공개모델의 아키텍처를 응용했기 때문에 독자 구축력이 아쉽다는 일각의 지적도 있다.</p> <p contents-hash="e80610ba9a175f455fd7d38e09b44f2ed96629a636767de0d7c2c21d80c16658" dmcf-pid="u34M76kPXo" dmcf-ptype="general">SKT는 에이닷을 통한 풍부한 국내 서비스 이력이 강점이다. 최근엔 7B 규모 '에이닷엑스 3.1 라이트'를 프롬스크래치로 내놓기도 했다.</p> <p contents-hash="e3599b7d9b65f0a1b4676da049a7e32fe2c8f1086e76b3403f4c1398b6b68cbd" dmcf-pid="708RzPEQHL" dmcf-ptype="general">NC AI는 모회사 NC소프트(036570)가 2011년부터 쌓은 AI 역량을 보여주겠다고 했다. 독자 멀티모달 AI '바르코 비전 2.0'은 알리바바·큐웬 등의 비전 언어모델을 능가했다.</p> <p contents-hash="debbaa6c41933c06868a9cc9bf1a4620bd959d74ad507f551591b7d68da65d7a" dmcf-pid="zW79ZqiBHn"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멀티모달 AI<br>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모달리티)을 동시에 처리하고 통합하는 인공지능 기술<br><br>■ 파운데이션 모델<br>광범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된 AI 신경망이다. 광범위한 작업에 응용이 가능하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Gemini)가 대표적이다. 이 모델들은 텍스트 생성, 이미지 분석, 코드 작성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영탁, 아낌없이 다 ‘주시고’! 07-23 다음 ‘PBA 막내구단’ 하림, 팀리그 첫 경기서 에스와이에 무릎… 호된 신고식 치렀다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