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 家' 홍진경, 건축가 다 됐네…유현준 놀란 '찐천재' 면모 (이유 있는 건축)[종합] 작성일 07-23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mynubLKG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2ccbdacf3ee95756b3a02d12962dd1c31ab6ef03a484a37d9db4b52adc99dff" dmcf-pid="psWL7Ko9X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xportsnews/20250723080257640esqn.jpg" data-org-width="632" dmcf-mid="P3QFDO3IX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xportsnews/20250723080257640esqn.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7f7bab3471b623d50b19ff2e05511ee4a76af8810147125429081065541f8275" dmcf-pid="UOYoz9g2Hu" dmcf-ptype="general">(엑스포츠뉴스 김수아 기자)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 홍진경이 첫 건축 여행부터 간헐적 ‘건축 찐천재’ 면모를 드러냈다.</p> <p contents-hash="b802241aaf4f63ba367c8bfe827b9ab76bd8d89be154caea99c99ec40470b899" dmcf-pid="uIGgq2aVGU" dmcf-ptype="general">22일 첫 방송된 MBC 교양프로그램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이하 ‘이유 있는 건축’)는 ‘한국을 설계한 두 남자, 김중업과 김수근’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건축 여행의 포문을 열었다.</p> <p contents-hash="6691757bad220361a5532cd331b9746a2400d721cd730995fb82857faa70c913" dmcf-pid="7DSd0zJq5p" dmcf-ptype="general">김중업과 김수근은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리나라에 굵직한 건물들을 지으며 한국 도시 개발사에 큰 영향을 미친, 한국 현대 건축을 대표하는 1세대 건축가다.</p> <p contents-hash="41cb7977a2754e79e4cee3b392c61a45aca4ea1eb764c23fd50a40a1ca23e46e" dmcf-pid="zwvJpqiBG0" dmcf-ptype="general">1회에서는 MC 홍진경과 뮤지컬 배우 김호영이 서울 곳곳을 돌아다니며 ‘김중업 건축 투어’를 펼쳤다. 첫번째로 만나본 김중업의 명작은 ‘한국 현대 건축의 출발점’이라 평가받는 주한 프랑스 대사관이었다. 주한 프랑스 대사관은 1962년 완공 당시 김중업의 설계 원형을 살리는 리노베이션을 거쳐 2023년 복원이 완료됐으며, 전현무와 박선영은 “60년대에 이런 건축이?”라며 놀라워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30f94a71fd5dd94dc9737ff67570c011a2671daad4e67cf58138cef241388d6" dmcf-pid="qrTiUBnbY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xportsnews/20250723080258929ical.jpg" data-org-width="655" dmcf-mid="FG8GakHEX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xportsnews/20250723080258929ical.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8c267bac76904f3d385710288eabbc46dbde3fd37203124939bdf91cbe98ca5" dmcf-pid="BmynubLKZF" dmcf-ptype="general">홍진경과 김호영은 곡선을 강조한 김중업의 시그니처 Y계단과,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해 계단 아래 만든 연못, 그리고 하이라이트인 한옥 처마를 연상케 하는 지붕을 마주했다. 특히 60년대에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해 3차원 곡선 지붕을 시공한 김중업의 혁신적 시도는 감탄을 유발했다. 유현준 건축가는 2차 세계대전 후 파괴된 도시를 빠르게 재건하기 위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가 사용됐다는 배경을 설명하며, 20세기 건축의 특징인 재료의 변화를 짚었다.</p> <p contents-hash="11303c468411a5d11c869209b23c1357475a91304c31d8f40c509d034524940a" dmcf-pid="bsWL7Ko9Xt" dmcf-ptype="general">서울 동대문 DDP 근처에 있는 두 번째 작품은 1967년 지어진 과거 산부인과 건물로, 병원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동글동글 독특한 곡선 외관이 눈길을 끌었다. 홍진경은 가우디의 카사 바트요 기둥과 비슷한 느낌을 포착해 간헐적 ‘건축 찐천재’ 면모를 드러냈고, 유현준은 “확실히 건축에 관심 많으신 것 같다”라고 놀라워했다.</p> <p contents-hash="65bb1fee839c7858b6ffad956e1e6c2c848df47030364c1ff2c19965b421e11a" dmcf-pid="KOYoz9g211" dmcf-ptype="general">위에서 내려다보면 알 수 있는 이 건물의 반전 비밀은 스튜디오를 술렁이게 했다. 태아가 웅크린 형태, 여성과 남성의 신체기관을 표현한 건물 곳곳의 공간은 생명의 탄생 과정을 담아내 눈길을 끌었다. 유현준은 실제 김중업이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다며, 시청자들에게 상상의 여지를 남겼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d915191ba895f6ba4f7ec09f84cbe552742741777749cf1a84f858261455182" dmcf-pid="9IGgq2aVH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xportsnews/20250723080300268nssm.jpg" data-org-width="645" dmcf-mid="3kzIMiCnX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xportsnews/20250723080300268nssm.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660311779700f749b0e1dd2f6607adafa31c5ae0d46637e3803119e6b48b4c5" dmcf-pid="2CHaBVNf1Z" dmcf-ptype="general">세 번째 작품은 김중업 후기 작품 중 하나인 1982년 준공된 ‘태양의 집’이었다. 박정희 군사독재 정권 시기 ‘와우 아파트 사건’, ‘8.10 성남(광주대단지) 항쟁’과 관련해 정부를 비판했던 김중업은 한국에서 추방을 당했고, ‘태양의 집’은 그가 귀국 후 설계한 작품이라는 근현대사적 설명이 배경 지식을 더 풍부하게 했다. 이 건물은 원래 영등포 최초의 백화점으로 지어졌지만, 현재는 마트로 이용되고 있었다.</p> <p contents-hash="b4a336a960dee1c47d54d32dacccec06e11d38029159d9521e0fa7b1579c4da7" dmcf-pid="VhXNbfj4GX" dmcf-ptype="general">‘태양의 집’에는 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즐거움을 최우선으로 생각했던 김중업의 의도가 담겨 있었다. 홍진경은 태양의 빛을 담는 공간이었던 옥상 유리 돔의 의미를 추측했고, 유현준은 “와! 건축가야”라며 특급 칭찬했다.</p> <p contents-hash="85ca1083da33293e4c6c8806967ea5e3085313557273cee6f32f509c517ce044" dmcf-pid="flZjK4A8YH" dmcf-ptype="general">유현준은 최근 백화점 옥상에 자연을 활용한 휴식공간을 만든 것이 트렌드라면서, “대형 백화점보다 ‘태양의 집’이 더 훌륭하다고 생각하는데, 돈을 내지 않은 사람도 와서 공간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그 이유다. 외부에 개방된 경사로를 만들었다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전현무는 “요즘 사람들이 힙한 공간을 많이 찾는데, 연예인들 바자회 여기서 하면 되겠다”라고 아이디어를 내며,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 왔으면 하는 바람을 드러냈다.</p> <p contents-hash="2a06c1612785bf2e70f05c818a90dcffe66634e1c81afc5b78ceae314080dd63" dmcf-pid="4S5A98c6HG" dmcf-ptype="general">정규 편성된 ‘이유 있는 건축’은 다양한 시각에서 건축물을 감상하는 색다른 재미와 인문학적 지식을 함께 선사했다. 보다 풍부해진 설명과 친근감과 이해도를 넓히는 출연진들의 토크 호흡은 더 막강해졌으며, 건축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췄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고 말했던 홍진경과 김호영처럼, 시청자들도 함께 김중업 건축가의 의도를 추측하며 그 공간에 빠져들 수 있었다. </p> <p contents-hash="77983c49a465a9d80b6e775078977c94d8e20359c3abaadec64723af47ba1310" dmcf-pid="8TtkVPEQXY" dmcf-ptype="general">사진 = MBC</p> <p contents-hash="0726a96603458513f484c4392c908cdf45c0946d948db42179c3d595904325bb" dmcf-pid="6yFEfQDxXW" dmcf-ptype="general">김수아 기자 sakim4242@xportsnew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엑스포츠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H.O.T., 6년 만에 다시 뭉친다…9월 한음페 헤드라이너 07-23 다음 “권력의 뿌리 해부”…‘망국전쟁’도 신명날까[MK무비]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