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에 햇빛 비춰 ‘그린 암모니아’ 생산 작성일 07-23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UNIST, 광전기로 질산염 환원해 암모니아 합성</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P5BoAYcN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46ad041b301c7b0be3824edce15bc6ee34d1f83df718a64b5f2f48cfb09d226" dmcf-pid="QQ1bgcGkN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일러스트=챗GPT 달리3"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chosunbiz/20250723080149490bddw.jpg" data-org-width="1505" dmcf-mid="8cgs0zJqk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chosunbiz/20250723080149490bdd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일러스트=챗GPT 달리3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660ff47b59141dee646a49f5a05379b15a89400ea01fcbe6178e6df7ee91838" dmcf-pid="xxtKakHEN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chosunbiz/20250723080149799vzcb.png" data-org-width="1800" dmcf-mid="69nwtURuA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chosunbiz/20250723080149799vzcb.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acca9f456b01c425f892fbb734ba5f00ad60804565232351e7d808e51844f05" dmcf-pid="yyom37dzkA" dmcf-ptype="general">폐수 속 질산염을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로 바꾸는 기술이 나왔다.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그린 암모니아를 만들고, 폐수 속 오염물질도 정화할 수 있게 됐다.</p> <p contents-hash="bfc2d707c6515d9c9760d1312890b2e8a044dc897cebde6ce486ec4c25d068d5" dmcf-pid="WWgs0zJqgj" dmcf-ptype="general">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서관용·장지욱 교수팀이 햇빛을 이용해 폐수 속 질산염에서 암모니아를 얻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p> <p contents-hash="5a9da812f2465b4a3ad2a909cdac94b1c73da7f7de7c8531f0988fe3ec95eb11" dmcf-pid="YYaOpqiBjN" dmcf-ptype="general">암모니아는 연간 1억 5000만t 이상 소비되는 산업·농업 필수 화학물질이자, 수소 함량이 높아 차세대 에너지 저장·운송체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암모니아는 그 생산량의 90% 이상을 고온·고압 조건의 하버-보슈 공정에 의존하고 있어 막대한 온실가스가 나온다.</p> <p contents-hash="40a4607201fc983dcc66463257e7278fed8c7d7bde5e657fb0bcaf497b84b316" dmcf-pid="GGNIUBnbja"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태양광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암모니아를 만드는 광전기화학(PEC) 시스템을 개발했다. 폐수 속 질산염을 원료로 하는 기술이다. 질산염은 고농도일 경우 청색증, 위장암 등을 유발하는데, 이 시스템은 질산염을 선택적으로 환원시켜 암모니아로 바꾼다.</p> <p contents-hash="27563cb323ea1f9efa99a7383dd34fa7ce8ebed146694cc5284dcb3c39671a4e" dmcf-pid="HHjCubLKog" dmcf-ptype="general">이 시스템은 실리콘 광전극과 니켈포일촉매로 구성돼 있다. 실리콘 광전극이 햇빛을 받아 전자를 만들면, 이 전자가 니켈 촉매를 통해 질산염 환원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p> <p contents-hash="91b391852dc89a363e36f2586292b43ccad1c7e37794d9dfc943b2ead1012790" dmcf-pid="XXAh7Ko9oo" dmcf-ptype="general">니켈 촉매 표면에 얇게 생기는 니켈 하이록사이드가 수소 발생 같은 경쟁 반응을 억제하고 암모니아 선택성을 높이는 데 주효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수 UNIST 물리학과 교수는 니켈과 니켈 하이록사이드 표면에서의 질산염 환원 경로와 에너지 장벽을 비교 분석해, 니켈 하이록사이드가 암모니아 생성에 유리한 활성점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b731cdfdae152ac2fb9ba7c0894201eb98d05b772817b50f5dab162afb00ffce" dmcf-pid="ZZclz9g2gL" dmcf-ptype="general">실험 결과, 이 시스템은 외부 전원 없이도 시간당 1㎝²에서 554μg(마이크로그램·1μg는 100만분의 1g)의 암모니아를 생산해, 광전기화학(PEC) 기반 기술 중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기록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는 기존 최고 성과(353㎍)보다 57% 이상 향상된 수치다. 또 25㎝² 규모의 대면적 장치에서도 동일한 성능이 유지돼, 실제 응용 가능성도 입증됐다.</p> <p contents-hash="43aec6050d32c3d664fb5466e0d72022b81a4bb96c4d3f4f8dcfdd98e823b8a6" dmcf-pid="55kSq2aVan" dmcf-ptype="general">서관용 교수는 “오염물질인 질산염을 차세대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로 바꾸면 수질 정화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며 “향후 실리콘 기반 광전기화학 장치를 실제 야외에서도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는 대면적 장치로 제작해 실증하는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4cc0c90cf8723ed2f1991cfbb7f4ca840291385259de1bee051a3cfd09c6c2a" dmcf-pid="1BStQdOJji"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 결과는 6월 22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에 온라인 공개됐다.</p> <p contents-hash="06aed753b8191bd97263962173164859d39e47d76f7725f3b74cf0a91ec3bbe6" dmcf-pid="tbvFxJIioJ"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0b5f96fe23184e0b0a16861fedb5111a57e2935d613b6868813d18688118193a" dmcf-pid="FKT3MiCnkd" dmcf-ptype="general">Advanced Materials(2025), DOI: <span>https://doi.org/10.1002/adma.202506567</span></p> <p contents-hash="2bd40b294badf9e2da4e3b3c9784204797b3e535f7d2cb059edfea68c9105cd2" dmcf-pid="39y0RnhLNe"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T 김영섭 ‘연임 분수령’ 8월 앞두고 막판 스퍼트…숫자는 완성, AI가 관건 07-23 다음 [IT썰]아마존, '음소거 안 하면 모든 소리 녹음하는' 스타트업 인수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