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도 공룡도 못 살린 극장...'전독시' '판타스틱4'는 가능할까 [M-scope] 작성일 07-23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극장 산업 침체 가속화...'극장용' 할리우드 대작도 외면<br>한국형 판타지 '전지적 독자 시점'에 쏠리는 기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AGFoDZwL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b5bdd2335dc63fada02c95866de0d3d51e092e390bc3f7f4ba52a4bbbca1cec" data-idxno="536397" data-type="photo" dmcf-pid="PkX0ar1mi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27956bwwk.jpg" data-org-width="720" dmcf-mid="BTSWxoSgL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27956bwwk.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d3e6ca9390ae3f4a06a8432015f0580f5055f01ce0ba619750fbb205a6a3794e" dmcf-pid="xD5UjsFOn4" dmcf-ptype="general">(MHN 장민수 기자) 도저히 극장이 살아날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여름 성수기를 맞았지만 한국 영화는 물론, 할리우드 대작들도 철저히 외면받고 있다. 그런 가운데 '전지적 독자 시점'과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이 도전장을 내민다.</p> <p contents-hash="8f4a02ad58f81796e3d3a6d25f5c27358ac48d4e60dec78d1863f666640f6d1a" dmcf-pid="yqnAp9g2Rf" dmcf-ptype="general">코로나 팬데믹과 OTT 시장 성장에 맞물려 국내 극장 산업이 죽어가는 것이 벌써 수년째다. 계속해서 극장을 찾는 발걸음이 줄어들고 있지만, 그래도 매년 한두 편의 천만 영화가 나오며 희망을 이어갔다.</p> <p contents-hash="95267d5c4136c8ced20833c048256ec8ef371a01dc854aeeadd14c3e741ccd67" dmcf-pid="WBLcU2aVJV" dmcf-ptype="general">올해는 상황이 너무 좋지 않다. 한국 영화 중에는 '야당'이 최다 관객수를 기록 중인데, 수치는 337만 명. 외국 작품까지 포함해도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이 338만 명으로 전체 1위다. 1000만은커녕 500만을 넘긴 작품도 없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a9f09ec42287376ac7b1d8fa76940d69a3554328dfba39c54d844ea7a4f958" data-idxno="536398" data-type="photo" dmcf-pid="GKgE7fj4n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29191ofna.jpg" data-org-width="720" dmcf-mid="bZq9mTqyL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29191ofna.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6a12389131cb8c1842ff8d8d5d3d5b77e8c8ba73193d0d7c5593751b0af3cf9" dmcf-pid="XHVxT18tRb" dmcf-ptype="general">극장을 찾는 관객이 줄어든 이유는 복합적이다. 높아진 물가에 동반한 티켓 가격 상승, 비용 대비 줄어든 만족도, OTT를 통한 접근성 변화 등. 물론 이 모든 요인은 OTT로 향한다. 극장 상영 이후 생각보다 빠르게 OTT 서비스가 시작되다 보니, 관객 입장에서는 '굳이' '급하게' 극장을 찾을 이유가 사라졌다. </p> <p contents-hash="a6195fd227a32972b75f865155c1748fdc0d882fbf24be1871e32ed5ad84d008" dmcf-pid="ZXfMyt6FMB" dmcf-ptype="general">반대로 극장을 찾을 이유라고 한다면 OTT와는 다른 극장만의 재미다. 큰 스크린과 풍부한 사운드로 얻을 몰입감과 재미. 이에 SF, 판타지, 액션 블록버스터 등 장르 영화에 매번 기대가 쏠렸다.</p> <p contents-hash="9b27578a970fc2808233f81b4c7300400a2607751f596b03558d233bc9c8c480" dmcf-pid="5Z4RWFP3iq" dmcf-ptype="general">그러나 성과는 미미했다. 평이 좋지 않았던 작품은 논외로 하더라도,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하이파이브' 'F1 더 무비' '미키 17' 등은 실관람객 평이 나쁘지 않았으나 관객수는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4f65074eda6c7e6f4d05ae0329e0601e87da7c07d051551355b3b74255415b3" data-idxno="536400" data-type="photo" dmcf-pid="t16dG0xpR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0489fwsd.jpg" data-org-width="720" dmcf-mid="K35l4dOJi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0489fwsd.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0bc6f5d996cf058ffb5bfaf724e9fde03da633401680dc329523ed99c109d46" data-idxno="536401" data-type="photo" dmcf-pid="03xnZue7L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1825mats.jpg" data-org-width="720" dmcf-mid="9rDnZue7R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1825mats.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863a7b5b771939e4a55d600e4f4dffc737efc274692df9aa705af954ae556b0" dmcf-pid="UpRo1zJqn3" dmcf-ptype="general">그런 가운데 또 다른 '극장용' 영화 두 편이 개봉한다. </p> <p contents-hash="f7c896dd37983440f6c40c5caa8e93b46f29caf811e99e41db951f9fe11c61a9" dmcf-pid="uUegtqiBJF" dmcf-ptype="general">먼저 제작비 300억 원을 투자한 판타지 대작 '전지적 독자 시점'(이하 전독시)이 23일 개봉한다.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된 상황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다. 싱숑 작가의 동명 인기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김병우 감독이 연출했으며,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신승호, 나나, 지수, 권은성 등이 출연한다.</p> <p contents-hash="1987be2673cfc958b982462c98f9729ed2b24f3f24e74c8f047d0d91b8096266" dmcf-pid="7udaFBnbdt" dmcf-ptype="general">시사회를 통해 본 바로는 극장에서 한 번쯤 볼만한 작품이지 않나 싶다. 원작과의 비교 여부를 떠나, 만듦새가 나쁘지 않다. 설정에 다소 진입 장벽이 있고 서사나 캐릭터가 조금 아쉬운 감은 있지만, 스펙터클한 비주얼과 액션, 긴장감 등 충분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511029a05520a3ac389ba1479dee96a5a96bae6f18e271e15baab5b0e3227b8" data-idxno="536402" data-type="photo" dmcf-pid="qzij0Ko9n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3066elfz.jpg" data-org-width="720" dmcf-mid="2uQBDluSM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3066elfz.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3f3355008d63b4ed9960df0214bad0849b92f049175e3a10cd8a1964f2c19df" data-idxno="536403" data-type="photo" dmcf-pid="Krt7cI0CJ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4315owbm.jpg" data-org-width="720" dmcf-mid="VwjrB6kPL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4315owbm.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145c741c0b24625a50fee346aca26810e19691b5acdb6b9be0afb7e21e20344" dmcf-pid="2s3qEhUleY" dmcf-ptype="general">오는 24일 개봉하는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도 기대를 모은다. 예기치 못한 능력을 얻고 슈퍼 히어로가 된 4명의 우주 비행사가 행성을 집어삼키는 빌런 갤럭투스로부터 세상을 지키기 위해 나서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맷 샤크먼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페드로 파스칼, 바네사 커비, 조셉 퀸, 에본 모스-바크라크, 랄프 이네슨, 줄리아 가너 등이 연기했다.</p> <p contents-hash="3c11101b46abc93a47f9601441ff476c5464a49679acf8e27e9437abd786cf33" dmcf-pid="VO0BDluSLW" dmcf-ptype="general">다만 최근 개봉한 마블 작품들의 성적을 고려하면 우려가 따른다.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는 165만 명, '썬더볼츠*'는 고작 92만 명만을 기록했다. '마블 공화국'은 옛말이 돼버린 상황에서 얼마나 많은 국내 관객에게 어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p> <p contents-hash="ea5b1a203621fb9ea8749cd0878e15e9ce06665a76be1010c99d0228d2f10eec" dmcf-pid="fIpbwS7vJy" dmcf-ptype="general">그 외 또 다른 한국 영화 '좀비딸' 역시 가족 관객을 사로잡을 콘텐츠로 여름 극장가를 노린다. 세상 마지막 남은 좀비가 된 딸을 지키기 위해 극비 훈련에 돌입한 딸바보 아빠의 이야기다. 이윤창 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필감성 감독이 연출했다. 조정석, 이정은, 조여정, 윤경호, 최유리 등이 출연한다. 개봉은 오는 30일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1d848068a64ed80840c110415530768b6366a87f9087ae44e7759b6f2ab8776" data-idxno="536404" data-type="photo" dmcf-pid="8hu9mTqyi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5576udjx.jpg" data-org-width="720" dmcf-mid="fYVxT18tM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5576udjx.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d726b0b55a9a12d32a48db04121bcb2f906cca1fe89f03fc12de4be5c9a2b9a" data-idxno="536406" data-type="photo" dmcf-pid="QvqfIYKGL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6867iowh.jpg" data-org-width="720" dmcf-mid="4bcsKQDxM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3/HockeyNewsKorea/20250723001136867iowh.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ea1bfe7ada298a4e3a815603a083b5de34747743ed8c45377038e6c9cf99b434" dmcf-pid="yQwhfesdRI" dmcf-ptype="general">특히 극장용 영화 생존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전독시'의 흥행 여부에 더욱 관심이 쏠린다. 최근 영화계는 제작이 위축된 상황이다. 연이은 흥행 실패로 수백억씩 들어가는 대작보다는 100억 원 미만, 내지는 안팎의 중간급 영화 제작이 더욱 선호되고 있다. 100~200만 명 수준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기면 대박은 못 쳐도 큰 손해는 면할 수 있으니. </p> <p contents-hash="c1e1798e290b2451f55300cf4d8be919cd9cdb130c8c0333a7868b9c8c6ebdfd" dmcf-pid="Wxrl4dOJeO" dmcf-ptype="general">그러나 제작비가 줄면 당연히 제작 방향에 한계가 생긴다. 특히 SF, 판타지 등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장르물은 더욱 탄생이 어려워진다. 새로운 장르, 신선한 작품을 만날 기회가 그만큼 줄어들 우려가 있다. </p> <p contents-hash="e60d95f15ab0d88921111f4da47965dc2887287242b3fcd5f85b94ca73e85c01" dmcf-pid="YD5UjsFORs" dmcf-ptype="general">'전독시'의 손익분기점은 약 600만 명 수준이다. 지난 22일 오후 기준 30% 안팎의 예매율을 기록하며 초반 관심을 얻고 있기는 하다. 과연 최종적으로 얼마나 많은 관객을 모으게 될지, '전독시'의 성패가 향후 한국 영화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주목된다.</p> <p contents-hash="9fac3ae6d71025d8e90b9c59107c5ce1adbf2393f370cdea9915c2efc6c1f6fd" dmcf-pid="Gw1uAO3Idm" dmcf-ptype="general"> 사진=MHN DB, 롯데엔터테인먼트,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NEW</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프로당구 10구단 시대' 우승컵 향해 도전…'웰컴저축은행 PBA 팀리그' 개막 07-23 다음 베복 이희진, 납치 당할 뻔한 과거…"뒷덜미 잡혀 봉고차 실려갈 뻔" (모던인물사) 07-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