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AI 휴머노이드 키는 160cm에 체중 55kg…브레인은 대·소뇌로 분리 작성일 07-22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한국기계연구원 마련 'K-AI 휴머노이드 비전전략 포럼'서 박찬훈 글로벌TOP 연구단장 밝혀…초당 4m, 양팔로 20kg까지 들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BfWkCpho6"> <p contents-hash="6d0ba6f986520035b6c93e3c328be2e0ec29d3716d65ebc098aad7807ad856de" dmcf-pid="U96HwS7va8"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AI 휴머노이드 표준 스펙이 처음 공개됐다. 키 1.6m에 무게(체중) 55kg, 브레인 탑재를 위한 개방형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진다.</span></p> <p contents-hash="3f9fb55ced37900d2834249ecab2e0d1f9564d3dfe340f588df92b15f6961962" dmcf-pid="u2PXrvzTo4" dmcf-ptype="general">22일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열린 'K-AI 휴머노이드 비전전략 포럼'에서 박찬훈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전략연구단장은 발제1에서 이 같은 'K-AI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718d4234f9273321999e35c8f7e67c124b2ee9a25730c0f8189e4ebc0f94c31" dmcf-pid="7VQZmTqyaf" dmcf-ptype="general">박 단장은 연구단 목표가 "산업현장과 일상을 함께하는 휴머노이드 동반자 실현"이라며 "산업현장에서 쓰는 휴머노이드 엔지니어는 자동차 검사 공정에서 작업 성공률 90%, 작업속도 70%(인간대비)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3ce6a2121645faf9aacdbdcaeca41bde7e064d2a6a2eabc1bec46fa859c270" dmcf-pid="zfx5syBWj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찬훈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전략연구단장이 22일 사업 내용을 설명 중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2167tcud.jpg" data-org-width="640" dmcf-mid="6M4ZmTqyA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2167tcu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찬훈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전략연구단장이 22일 사업 내용을 설명 중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4bc547321329de995e7165dd2deffd999e3ff16ef4ca7808d3a084602abc730" dmcf-pid="q4M1OWbYa2" dmcf-ptype="general">일반 가정에서 쓸 휴머노이드 하우스 키퍼는 가사관리 전문 로봇을 지향한다. 세탁이나 청소, 정리정돈이 가사관리전문가 2급 수준 실현이 목표다.</p> <p contents-hash="9711085508e082d620f5ea346b1ffb532be5b86a9b3cfc9c8e67e569ff6dca2c" dmcf-pid="B8RtIYKGN9" dmcf-ptype="general">이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5년간 총 2천194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주관 및 참여기관만 국내외에서 19개다.</p> <p contents-hash="be78b15f190eb2a68da86971febc726f80aaa02a269aa220bcc5d392d0ce6fb6" dmcf-pid="b6eFCG9HkK" dmcf-ptype="general">K-휴머노이드 표준 플랫폼 청사진도 공개했다. 운동성과 조작성이 동시에 확보된 하드웨어 플랫폼이다.</p> <p contents-hash="7c5c330f216b6672835635b08ee8f5a05e4690b47e8f17509815f190b51627d4" dmcf-pid="KPd3hH2Xob" dmcf-ptype="general">이 플랫폼에 따르면 키 1.6m에 무게는 55kg이다. 전신감각은 10mm 공간분해능을 갖춰 전신접촉 작업이 가능하다. 또 배터리 자율 탈착이 가능하고, 양팔로 20kg까지 들수 있다. 이동 속도는 초당 4m, 계단은 50cm까지 올라갈 수 있다.</p> <p contents-hash="21543bcb5890be581eeacd9471679dd7a33ac5347a11a2983ebc9187b5c21760" dmcf-pid="9QJ0lXVZgB" dmcf-ptype="general">박 단장은 또 휴머노이드 특화 브레인도 개발한다. 사람에 대뇌와 소뇌가 있듯, 이 휴머노이드도 대뇌와 소뇌를 분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뇌는 클라우드, 소뇌는 온디바이스 형태로 개발한다.</p> <p contents-hash="b225d0c0e04d3c3e59ad10cadb74f3720e85a4683fabd8556e83514899554ed9" dmcf-pid="2xipSZf5gq" dmcf-ptype="general">연구단은 이 사업을 피지컬 AI 레벨로 따져봤을 때 사업 1단계(~2027년)에서는 레벨1, 2단계(~2030년)에서는 레벨 2를 구현할 계획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a79da013a519aefbf9a5de840bf600ce5e6dbd44adde1e2f386276b1a53f4fb" dmcf-pid="VMnUv541A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영상으로 발표중인 UCLA 데니스홍 교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3439dywi.jpg" data-org-width="638" dmcf-mid="1zLBG0xpg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3439dyw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영상으로 발표중인 UCLA 데니스홍 교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86069aec895a1baec00ed47a43c95887be98cf7c9bb4a2e63ed3bc16dd8ceb" dmcf-pid="fRLuT18tk7" dmcf-ptype="general">박 단장은 사업 배경 설명에서 "피지컬 AI는 선진국도 시작단계다. 개념검증(POC) 단계로 우리도 즉시, 집중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4da156d9a9c9edcacba3b4bd7e766355431c9daff549563be74ebc7b20943e" dmcf-pid="45prdjWAo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 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에서 패널들의 토론 모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4689sgjx.jpg" data-org-width="640" dmcf-mid="tz9YEhUlg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4689sgj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 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에서 패널들의 토론 모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2d07b6a781721bba40f501b240e3cfa0fe7d8f14c7dcb844f37257d687b7633" dmcf-pid="81UmJAYcoU" dmcf-ptype="general">발제2는 데니스홍 미국 UCLA 교수가 개발한 로봇 일부를 영상을 통해 공개했다.</p> <p contents-hash="738ba7d545021ad091425af3a2950e296df88b94862acf8e0c7913bc1e919f67" dmcf-pid="6tusicGkcp" dmcf-ptype="general">또 황보제민 KAIST 교수(라이온로보틱스 대표)는 휴머노이드를 위해 풀어야할 숙제를 발제, 관심을 끌었다.</p> <p contents-hash="89a8d14097e7aae7809f3fb969d839545d580935619fb8b30dbf04b1d01c9135" dmcf-pid="PF7OnkHEk0" dmcf-ptype="general">황보 교수는 "모든 환경에 적응 가능한 범용 로봇은 꿈"이라며 "현실은 불안정한 보행이나 천문학적 개발비, 고비용에 따른 시장 부재 상황"이라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6738825225ac1cf01eb793772ac7f0aa59a62651b5a9ba159601e0a301a01cf1" dmcf-pid="Q3zILEXDa3" dmcf-ptype="general">황보 교수는 오작동 개발 고비용 안전성 사회적 수용성 배터리 사용시간 범용성 등을 거론했다.</p> <p contents-hash="e0117c38efbba2ebef35c8965bb5ffc348fa0ff189d44a83265688d1bca617de" dmcf-pid="x0qCoDZwcF" dmcf-ptype="general">이외에 이영운 연세대 교수가 AI로봇 연구 및 시장 동향, 강기훈 에이로봇 팀장이 자체 개발한 로봇을 소개했다.</p> <p contents-hash="3ce2f229c9fb5e0af4074f80ad5ac6f26f8aa45c29f08e2dce0136cfa90743e5" dmcf-pid="yNDftqiBat" dmcf-ptype="general">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박찬훈 전략연구단장을 좌장으로 열띤 논의가 진행됐다.</p> <p contents-hash="2860ae743a78607404bb8ae3904c408aa301845a97534f719fe1cb7e8a21fd85" dmcf-pid="Wjw4FBnbj1" dmcf-ptype="general">2050년 휴머노이드 미래상에 대해 강기훈 에이로봇 팀장은 "2050년이 되면 휴머노이드는 휴대폰처럼 우리 일상에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3b13c0ac3c56df919e7017844493078095e1aa70e1630227be44f154f7f55d0" dmcf-pid="YAr83bLKc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왼쪽부터 개회사를 맡은류석현 한국기계연구원장,과 축사자인 온정성 과기정통부 팀장, 방승찬 ETRI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5949urpt.jpg" data-org-width="638" dmcf-mid="FwPXrvzTk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5949urp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왼쪽부터 개회사를 맡은류석현 한국기계연구원장,과 축사자인 온정성 과기정통부 팀장, 방승찬 ETRI 원장.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4f910600271de11297b74df17f78e7fc7f9be8a7645e289b995f4059401d36" dmcf-pid="Gcm60Ko9k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 휴머노이드 전략포럼 에서 축사한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과 김정 한국로봇학회장,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왼쪽부터)"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7213gahz.jpg" data-org-width="640" dmcf-mid="3KM1OWbYg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7213gah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 휴머노이드 전략포럼 에서 축사한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과 김정 한국로봇학회장,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왼쪽부터)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a182dbc4e4356368ada0bf79c100066a3352e82a0c79f0da59570ac840b7380" dmcf-pid="HksPp9g2aX" dmcf-ptype="general">또 이동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25년 전인 2000년 공개된 일본 아시모가 현재 진화하긴 했다"면서도 "영화 속 같은 휴머노이드가 오긴 오겠지만, 2070년은 돼야할 것"으로 전망했다.</p> <p contents-hash="0befa32c141cc486d4b566970f95c9b3e5843648e0a617475b082a39eb0769df" dmcf-pid="XEOQU2aVNH" dmcf-ptype="general">황보제민 교수도 2050년 인간같은 휴머노이드 도래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고,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도 범용성 보다는 특수 목적용 관점에서 사업화를 언급했다.</p> <p contents-hash="21d12e058361b6c1a86fde501c47eae74b77016d8cb4c423e4d8e35def890fcc" dmcf-pid="ZDIxuVNfoG" dmcf-ptype="general">이외에 박동일 한국기계연구원 첨단로봇연구센터장은 "미국이나 중국이 워낙 앞서 있어 우리는 현재 추격 전략이 맞는 것 같다"고 말했고, 최정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은 "선진 기술 따라 잡기 위해선 기술 공동 개발 및 공유,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ee260c639497e68c28f5df165698badbac9e8ad0c7ca3c70d75c8a2424aea22c" dmcf-pid="5wCM7fj4AY" dmcf-ptype="general">청중 질문에서는 앞줄에 앉아있던 방승찬 ETRI 원장이 "유튜브 등에서는 유려한 옵티머스 동작 등이 눈길을 잡는데, 현실에서는 잘 걷지 못하는 것 같다"며 실제 차이가 어느정도인지, 이의 극복방안과 생태계 조성 방안이 무엇인지 등에 대해 질문을 던져 관심을 끌었다.</p> <p contents-hash="4990a482a3b148128fe9a8450b4d2efa89b575fb951c4d792ef15cfaa32d1333" dmcf-pid="1rhRz4A8oW" dmcf-ptype="general">한편 이날 개회사에 나선 류석현 한국기계연구원장은 "AI로봇이 블록버스터가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제조업을 위해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448323b598ec60cdb2e2bfac6a1b9b8c569af2b14fb35aafe5f4d313f947769" dmcf-pid="thWL2MrRay" dmcf-ptype="general">이어 축사에 나선 온정성 과기정통부 연구기관혁신지원팀장은 "AI로봇이 대한민국 진짜 성장을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감을 나타냈고,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은 온디바이스 휴머노이드를 강조했다.</p> <p contents-hash="356a3ebfc362b48879f4075b7ef10c3db601e19d763e070361bd47d3ce4bd7f4" dmcf-pid="FlYoVRmeNT" dmcf-ptype="general">또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은 "전세계 전통 제조업이 AI로인해 붕괴할 것"으로 예측하며 중국이 오는 2029년까지 제시한 중국 제조업 신품질 개발 전략을 소개했다.</p> <p contents-hash="256eb4cc120b4cde961003f90cb948622fb51e843980ee65b838a1309c547d32" dmcf-pid="3SGgfesdNv" dmcf-ptype="general">김정 한국로봇학회장(KAIST 기계공학과장)과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은 "이제 로봇은 시작이고, 여러 장벽을 넘어야 한다"고 개발과정의 험난함을 지적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2adf5afa29f8d4d82c5c89aaaf655ebef68fd4b2885acb4784eb6cd8061bf56" dmcf-pid="0vHa4dOJj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2일 열린 K-AI 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단체로 기념촬영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8677hjdq.jpg" data-org-width="638" dmcf-mid="0S2TAO3IA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ZDNetKorea/20250722203948677hjd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2일 열린 K-AI 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단체로 기념촬영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34e1f240533f20727daa31c5c3d17e3d58f146841a74935476fa7d4189fe53e" dmcf-pid="pTXN8JIiNl"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심형탁, 육아로 강제 1일 1식 돌입 “특식은 라면” (슈돌) 07-22 다음 피겨 김현겸, 2026 동계 올림픽 추가 예선전 출전…본선 티겟 획득 도전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