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공연장 인프라 글로벌화 시급"…문체부 "빠른 시일 내 움직일 것" 작성일 07-22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음공협, 대중음악 공연산업 발전 위한 세미나 개최<br>"서울시 공연장 부족 문제 해결 필요" 한 목소리<br>李 정부 '5만 석 규모 공연장 건립' 공약도 화두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Q78lr1mrT"> <p contents-hash="e51ac14ed7871edf3644b0bc2d1a9a4a4486306f684ac83c3ab5fbc0d8ecd97d" dmcf-pid="4xz6SmtsEv"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스타in 김현식 기자] “K팝은 글로벌화됐지만, 공연장 인프라는 전혀 글로벌화되지 못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29891d4e1b3f81010fe9093ecc2de89030f9351bc7944c3f33e8c6bbe6552fa" dmcf-pid="8LfJXvzTs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Edaily/20250722181412864vphi.jpg" data-org-width="670" dmcf-mid="2iwTQ2aVI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Edaily/20250722181412864vphi.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ffba60d9ec9dc50e694dbb53a3507d4635c191681451310f0f29e5cd1cb67d3f" dmcf-pid="6o4iZTqyEl" dmcf-ptype="general">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소마미술관에서 열린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음공협) 주최 ‘대중음악 공연산업 발전을 위한 세미나’ 참석자들은 K팝 공연장 인프라 확충을 대중음악 공연산업계 발전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꼽으며 이 같이 입을 모았다. </div> <p contents-hash="c667d3a6733a6962873bbb3bd30dc91369a118e6e2a03300eb373837359d69e9" dmcf-pid="Pg8n5yBWrh" dmcf-ptype="general">서울시 공연장 부족 문제는 한창 K팝 아티스트들의 글로벌 영향력이 커지던 때인 2023년 잠실 올림픽 주 경기장 리모델링 사업이 시작되면서 화두로 떠올랐다. 잠실 주 경기장이 2026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노후화에 따른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한 이후 서울에서는 3만 5000명 이상이 운집하는 대형 공연을 개최할 장소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 됐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존재하지만 잔디 훼손 등을 이유로 들며 콘서트 대관을 쉽게 내주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연쇄 작용으로 KSPO DOME(1만 5000석 규모), 고척 스카이돔(2만 5000석 규모) 등 다른 공연장들의 대관 경쟁이 이전보다 한층 더 치열해지면서 업계의 불만이 고조됐다.</p> <p contents-hash="f9e4f5ff338e544d5f4c0ea03e9f1ff698eb9455819134449e5c8a631e83dadf" dmcf-pid="Qa6L1WbYsC" dmcf-ptype="general">이 같은 상황 속 최근 들어 K팝 아티스트들의 콘서트가 서울이 아닌 고양과 인천에서 열리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고양종합운동장, 킨텍스, 인천 아시아드 주 경기장,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 등지가 주요 대체 공간이다. 이 중 약 4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고양종합운동장에서는 올해 세븐틴, 지드래곤, 방탄소년단 제이홉·진, 블랙핑크 등 톱 아티스트들의 콘서트가 잇따라 개최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4a2637f05162875cbd030c62a8b1f58f91789651057f856dc6611f3d8546d98" dmcf-pid="xNPotYKGr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Edaily/20250722181415348jclq.jpg" data-org-width="670" dmcf-mid="VFqPvsFOO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Edaily/20250722181415348jclq.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fd2e77957c1b7ec17d3444975c035934d72760a3ab8929fb4bfdd4d06db15ba3" dmcf-pid="y0vtoRmeDO" dmcf-ptype="general"> 이날 ‘서울시 공연장 부족, 수도권 대형 공연장은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주제로 발제를 맡은 최윤순 라이브네이션 코리아 이사는 “K팝이 전 세계 음악 시장과 문화 산업을 선도하고 있지만 서울에 공연장이 부족해 인기 K팝 아티스트들이 고양과 인천에서 콘서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대중음악 공연 시설 개발 가속화와 스타디움급 공연장 및 야외 광장 대관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div> <p contents-hash="5307a9c99d63d5f61ec844a013eb43c159cf77ed8d1db2324f7258e061e960d4" dmcf-pid="WpTFgesdws" dmcf-ptype="general">패널로 참석한 권민주 고양시 문화예술과 전문위원은 “대형 콘서트 유치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브랜드 가치 상승 효과를 봤다”고 말했다. 다만 권 위원은 “소음 문제 등을 거론하며 콘서트 개최에 반발하는 지역 주민들의 민원 강도가 거세지고 있다. 얼마나 더 긴 기간 동안 고양시가 서울시 공연장 부족 문제의 대안지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면서 장기적 대안 마련 필요성을 역설했다.</p> <p contents-hash="849fd17827253d1823bd016533347dc1150922b02cf4a1e6ba3932dae52dca66" dmcf-pid="YUy3adOJmm" dmcf-ptype="general">이종현 음공협 회장은 “현실적으로 새로운 공연장 건립이 언제 이뤄질지 알 수 없는 상황 속 더 많은 수도권 지자체에서 대중음악 공연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여주고 대관 수수료 인하 등 행정적 협조를 해준다면, 서울시 공연장 부족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소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p> <p contents-hash="28323a3786cbb9db50fd9547101b8c5462c166ee7e34977a1c4cef07e2a1f2da" dmcf-pid="GqHucLloIr" dmcf-ptype="general">이날 세미나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공약으로 내세운 ‘5만 석 규모 대형 복합 아레나형 공연장 조성’과 ‘국내외 K팝 꿈나무를 위한 중·소형 공연장 조성’에 관한 내용도 관심 있게 다뤄졌다. </p> <p contents-hash="163369a0d63ec8de0b5b606c64d01873b64917c1ad6677b888bd0958df6ded07" dmcf-pid="HBX7koSgEw" dmcf-ptype="general">이와 관련해 패널로 함께한 김현목 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산업과장은 “정부에서 공연장 부족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해결할 의지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요즘 제가 공연장을 지을 만한 땅도 보러 다니고 있다. 5만 석 규모 공연장의 경우 땅값을 제외한 순수 건립 비용만 6000억 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아직 명확히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아마 빠른 시일 내에 움직임을 보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a9a311bce266634da1e730fa206f401de31d977110e8a421e6bc62706e0b58ad" dmcf-pid="XbZzEgvaDD" dmcf-ptype="general">음공협은 콘서트, 페스티벌, 월드투어, 내한공연 등 다양한 대중음악 공연을 주최 및 주관하는 40여 개의 공연 기획사들로 구성된 문화체육관광부 등록 사단법인이다. 새 정부가 출범한 시점에서 대중음악 공연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주요 현안을 공유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 음공협은 이번 세미나에서 다뤄진 내용을 후속 세미나 개최와 관련 제도 개선 논의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74d2e92e293d4232b97e880ed2a9b825931c84059d1effe352568f420b8dc963" dmcf-pid="ZK5qDaTNmE" dmcf-ptype="general">김현식 (ssik@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월드 오브 스우파', 22일 파이널 생방송…사위티 심사로 참여 07-22 다음 박규리, '사기혐의' 전 연인에 금전 보상 받았나? "금품 수수 의혹"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