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리앗 이길 'AI 짱돌' 찾는 네카오…"韓 넘어 글로벌 시장 훑는다" [긱스] 작성일 07-22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네카오, 북미 스타트업 발굴<br>네이버, 美 의료 AI 기업에 투자<br>영상 검색 AI 스타트업도 낙점<br>작년 투자 5건 중 3건 미국<br>카카오도 美 스타트업 발굴 <br>반도체·위성·의료 기업 투자<br>국내 스타트업 '찬밥' 될까 우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Q4SWCphSb"> <p contents-hash="8bb56f8355d929306020d999c0a4aaae891f578923e15bcaff259ca94c7d1b49" dmcf-pid="Qx8vYhUlyB" dmcf-ptype="general">국내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스타트업 투자 전열을 가다듬고 있다. 키워드는 인공지능(AI)과 글로벌이다. 네이버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현지 투자를 위한 신규 법인 네이버벤처스를 세우고 성장 단계에 있는 다양한 국적의 기업을 살펴보고 있다. 카카오는 투자 전문 자회사 카카오벤처스를 통해 북미 초기 스타트업 발굴에 힘쓰고 있다. 일각에선 주요 IT 대기업이 글로벌 투자를 늘리면서 국내 스타트업이 설 자리가 줄어들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919bcabaab459aa11fefe1c8d4287017951259af010568207e742b3724603d4" dmcf-pid="xM6TGluST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전희성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ked/20250722171900568bioe.jpg" data-org-width="1200" dmcf-mid="WB3oWCphl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ked/20250722171900568bio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전희성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0b6e2801567f89d0c953f31ffb1af94697181d893196f06a1c6bec3deb57345" dmcf-pid="yWSQe8c6Cz" dmcf-ptype="general"><strong><span> ◇ AI 투자에 꽂힌 네카오</span></strong></p> <p contents-hash="3289d5eb2021ad04b68a73d2129e7e98c523d45a70a4192c6c9441abb258413e" dmcf-pid="WYvxd6kPT7" dmcf-ptype="general">22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클라우드는 최근 35억원 규모로 의료 AI 기업 어반데이터랩의 시리즈A 투자를 주도했다. 어반데이터랩은 디지털 병리 플랫폼 메디오토를 개발한 회사다. 네이버의 신설 투자법인인 네이버벤처스는 첫 투자 기업으로 AI 스타트업 트웰브랩스를 낙점했다. 트웰브랩스는 영상 검색 AI 모델 ‘마렝고’를 운영한다. 김성호 네이버 이머시브 미디어 플랫폼 리더는 트웰브랩스와의 협업에 대해 “당장은 아니지만 내년이나 그 이후 협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cf9d2c3e5f2218a635b6a511defdde09505385b9a9700d6602b9768e1013497" dmcf-pid="YGTMJPEQhu" dmcf-ptype="general">네이버가 AI 스타트업 투자를 통해 주요 사업과 시너지를 낼 기술을 발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지난달 네이버벤처스 설립을 기념해 실리콘밸리를 방문했을 때 네이버를 ‘다윗’에 비유했다. 그는 “다윗이 골리앗(글로벌 빅테크)을 이기려면 빨리 특정 분야에 집중해 돌멩이 하나를 잘 던져야 한다”며 “지금은 돌멩이를 잡는 과정“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13ac54124cbdca7a261e91badf8be08d39f3b99ab0510c037185de385b2266a" dmcf-pid="GHyRiQDxWU" dmcf-ptype="general">네이버의 사내 투자조직 D2SF도 AI 스타트업에 연달아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AI 물류 스타트업 테크타카, 게임 제작 AI 스타트업 앵커노드, AI 기반 자율주행 업체 웨어러블에이아이, 멀티모달 커머스 AI 개발사 스튜디오랩에 올해 돈을 넣었다.</p> <p contents-hash="4c9549588873c96a6da6566a845061bf59fce2c822e955f5bff99844d86ba8b9" dmcf-pid="HXWenxwMlp" dmcf-ptype="general">카카오도 카카오벤처스와 카카오인베스트먼트를 통해 AI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벤처투자 정보 플랫폼 더브이씨에 따르면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최근 AI 팹리스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에 30억원을 투자했다. 퓨리오사AI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직접 현장을 찾은 첫 AI 스타트업이다. 카카오벤처스도 AI 에이전트 스타트업 자폰,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사인 트릴리언랩스에 초기 투자했다.</p> <p contents-hash="3db15475961b7ef339dc26d49d67213056a4aae411c05fa1d51beb1dfd1c8850" dmcf-pid="XZYdLMrRC0" dmcf-ptype="general"><strong><span> ◇ 북미 스타트업 발굴 나서</span></strong></p> <p contents-hash="b9f5c0166d91978edc18847761e843a26d0f122be46c6fa8282228b54f248e60" dmcf-pid="ZRPyHS7vW3" dmcf-ptype="general">IT업계 형님 격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벤처 투자와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과거 국내 스타트업 투자와 회수 시장을 굴려온 기업이다. 스타트업들은 두 회사에 인수되는 걸 주요 엑시트 경로로 여겼다. 하지만 벤처투자 혹한기에 들어서면서 최근 2년 새 두 기업의 신규 벤처 투자가 급감했다. 더브이씨에 따르면 2022년 28곳에 투자한 네이버 D2SF는 지난해 단 4곳에만 돈을 넣었다. 카카오벤처스도 지난해 투자 기업이 12곳에 불과했다.</p> <p contents-hash="0b574f2cb6bdf7651b5d324baea3ad9cfbeafa3c51df1cf6c3ae39b8c386b4c3" dmcf-pid="5eQWXvzTvF" dmcf-ptype="general">올해 들어 다시 투자 기업 수를 늘리고 있지만 국내 플랫폼 투자에 집중한 과거와 달리 북미 스타트업 발굴에 신경 쓰고 있다. 지난해 D2SF가 진행한 스타트업 투자는 다섯 건이다. 이 가운데 세 건이 미국 스타트업 투자다. 3차원(3D) 콘텐츠 스타트업 클레이디스, 패션 특화 멀티모달 AI 스타트업 예스플리즈 등이다. 카카오벤처스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으로 구성된 반도체 기술 기업 에프에스투에 신규 투자금을 넣었다. 미국 위성 스타트업 올리고스페이스, 시카고 기반 메드테크 기업 컴파스에도 투자를 집행했다.</p> <p contents-hash="4c17e792b0b60bed0ce857f1b8c8495170c6f767ad9d30bc18230e04e29ca7f4" dmcf-pid="1dxYZTqyyt" dmcf-ptype="general">D2SF는 지난해 10월 아예 실리콘밸리에 사무소를 열었다. 투자자 및 창업자 100여 명을 초청해 오픈 행사도 했다. 초기 투자에 집중하는 D2SF를 보완하기 위해 성장 단계 기업 발굴에 주력하는 네이버벤처스까지 설립했다. 카카오벤처스도 심사역이 두세 달에 한 번씩 미국을 방문해 네트워크를 쌓으면서 투자할 만한 기업을 찾고 있다. 현지에 연구자 네트워크도 구축했다.</p> <p contents-hash="eea8973e787971edbf00f7794df24cb84935eea503d040b30cbe427d0bcacf35" dmcf-pid="tJMG5yBWT1" dmcf-ptype="general">투자사들은 한국보다는 미국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이 더 크고, 본사와 기술적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도 미국 회사와의 협업이 더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한 국내 초기투자사 관계자는 “미국은 기술 기반 스타트업 생태계가 발전했고 주요 대학에서 양질의 창업팀이 나와 초기에 투자하면 기회가 굉장히 많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1a21e927e0d7645b33aad54b9a2058ca79ca5779b07dfbb084dffb63cfc0e49" dmcf-pid="FiRH1WbYy5" dmcf-ptype="general"><strong><span> ◇ “韓 스타트업, 글로벌 경쟁력 갖춰야”</span></strong></p> <p contents-hash="163c065070bf59b4c7e1ffb2f5c9713ef152f76c44aa8aadb78317e5f148457f" dmcf-pid="3neXtYKGlZ" dmcf-ptype="general">최근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2023년 아이엠에스(IMS)모빌리티 투자 건으로 사법 리스크에 휘말리면서 주요 IT 기업이 국내 스타트업 대신 해외 기업을 들여다보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카카오모빌리티 등은 윤석열 정부 때 김건희 여사와 연결 고리가 있는 회사에 투자해 경영 리스크를 완화하려고 시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네이버, 카카오를 비롯한 대기업의 국내 투자가 조심스러워질 가능성이 있다”며 “그럴 경우 투자금을 해외로 돌릴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p> <p contents-hash="dadac1fb6dab18cd9105e75e9d13135c6b661eabc6f2db3a883fd4bc99e06f2b" dmcf-pid="0LdZFG9HCX" dmcf-ptype="general">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인수하는 과정에서 ‘문어발’ 지적을 받는 것도 대기업의 국내 투자 어려움을 키우는 요인 중 하나다. 반면 해외 투자는 상대적으로 문어발 논란에서 자유롭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스타트업 투자엔 국경이 없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1d6ed0443b506394038fc47c6edec36b6126f9b4701ffce8d4f2606701d5128" dmcf-pid="poJ53H2XlH" dmcf-ptype="general">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독시’, 벌써 글로벌 흥행 조짐…전 세계가 주목한다 07-22 다음 로봇끼리 코칭…'탁구 챔피언'도 노리는 딥마인드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