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구 1로봇 시대' 대비…한국형 AI휴머노이드 개발 본격 추진 작성일 07-22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RXSZ18td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ff7db7af4f948e68ea8903d9a167c8b5a60ee279e35830a1956442ccb601e7" dmcf-pid="ZVlwSTqye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기계연구원이 주관하는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개요.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dongascience/20250722144810836ndbu.png" data-org-width="680" dmcf-mid="HwKp9VNfM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dongascience/20250722144810836ndbu.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기계연구원이 주관하는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개요.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427e5e4fbb62b950b4ad32f7655004283d057ca08b4f73a2fcdb85bb4e0fe28" dmcf-pid="5fSrvyBWMI" dmcf-ptype="general">인간 신체 능력을 뛰어넘고 범용 작업 지능을 갖춘 한국형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AI휴머노이드 개발 생태계와 대량의 휴머노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팩토리 구축 등이 중점 목표다.</p> <p contents-hash="3f6d4552aab61de33ed66de16322221b08b972b675970641452f9ca302777009" dmcf-pid="14vmTWbYeO" dmcf-ptype="general">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은 기계연이 주관하는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이 22일 대전 기계연 본원에서 'K-AI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에서는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개발 계획, AI휴머노이드 관련 기술 개발 현황과 이슈 발표, K-AI휴머노이드 발전 전략에 대한 토론회 등이 진행됐다.</p> <p contents-hash="8dc6a99ac20b9cb2521e426bc95640681ce1b09f0a282901e901562880f51046" dmcf-pid="t8TsyYKGds" dmcf-ptype="general"> 연구단은 '산업현장과 일상생활에서 인간과 함께 할 휴머노이드 동반자 실현'을 목표로 기계연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KAIST, 서울대 등 9개 대학, LG전자·라이온로보틱스 등 국내 3개 기업과 5개 해외 연구소가 협력한다. 휴머노이드 표준화와 성능평가 체계 수립을 위해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산업기술시험원도 참여한다.</p> <p contents-hash="026831df9fb3d78121cabf31646c8a6010748c54c2266742eb0965833c6cfb95" dmcf-pid="F6yOWG9Him" dmcf-ptype="general"> 연구단은 운동성·작업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개발한다. AI 시스템을 높은 수준의 사고력을 갖춘 대뇌와 실시간 운동능력을 구현하는 소뇌 개념으로 분리 적용해 성능을 최적화한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4b068fa76c5ab33b456dd4d0c4722eea7518235116f869a43991bc8065bc3b87" dmcf-pid="3PWIYH2XRr" dmcf-ptype="general"> 총괄이자 세부 1분야를 주관하는 기계연은 휴머노이드 전용 구동기와 피부형·전신 감각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 수준의 동작성과 감각능력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생기원은 인간처럼 정교한 손동작이 가능한 '인핸드매니퓰레이션' 개발에 집중한다.</p> <p contents-hash="ce1deba425542d0ae0de3019a4c79fbe8a1b98425a9d0a27a41cd77833b440b1" dmcf-pid="0QYCGXVZRw" dmcf-ptype="general"> ETRI는 언어 기반의 로봇 조작과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임무를 수행하는 절차 생성 등 로봇 AI 핵심기술을 휴머노이드에 입힌다. 로봇이 데이터를 모으고 지능이 성장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브레인'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 구현이 목표다. </p> <p contents-hash="08babccaf3239a717b345c2eaf1e696685cfef46bf5cc4d932dec8fc61747970" dmcf-pid="pxGhHZf5eD" dmcf-ptype="general"> 휴머노이드의 지능을 충분히 높이려면 휴머노이드 로봇이 다양한 환경에서 얻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연구단은 수십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동시에 운영해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실증까지 가능한 휴머노이드 데이터 팩토리를 구축할 예정이다. 팩토리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연구단 밖의 연구자들과도 공유해 'K-휴머노이드 오픈 생태계'를 조성한다.</p> <p contents-hash="b1b4f743afb5fcfdc1e117a717c6cdb9263edfdfda3a4d4935f8321d884f5401" dmcf-pid="UMHlX541dE" dmcf-ptype="general"> 연구단장을 맡은 박찬훈 기계연 AI로봇연구소장은 "향후 자동차와 휴대폰 시장의 규모를 넘어 1가구 1로봇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AI휴머노이드 로봇은 선진국에서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의 게임체인저"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1e90b705d36f2ae2ceda6b8a5cac31fea666e6fcccb1109513789477239931e" dmcf-pid="uRXSZ18tJk" dmcf-ptype="general"> 이어 "기계연은 세계 최고 수준의 휴머노이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검증해 기업 주도로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K-AI휴머노이드 기술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f6ab8de19371480a32758ebbb33e0b088cf528cca04f7c33c1a9804fec903567" dmcf-pid="7eZv5t6Fec"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K AX, ASEIC와 51개국 중소·중견기업 대상 탄소중립 전환 지원 07-22 다음 에타일렉트로닉스 "스페이스앤빈 통한 소재 혁신, 무선충전 효율 더 높인다"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