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경정 배당에 대한 오해와 진실…어디까지따봤니? 작성일 07-22 3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경륜·경정은 고정환급방식(패리뮤추얼) 방식, 매출액 72% 고객에 환급<br>16%는 레저세, 지방교육세 등 제세로 사회 환원 지난해 3279억원 납부<br>발매 수득금(12%) 중 일부 경주개최 비용 제외한 수익금 540억 사회 환원</strong>경륜과 경정 배당이 1000배일 때와 10배일 때, 경륜과 경정의 시행체인 경륜경정총괄본부는 어느 경우에 더 이득일까?<br><br>경륜과 경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배당이 낮아야 이득을 본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경륜경정총괄본부가 고객의 경주권 구매 금액을 모아 배당금으로 나눠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144/2025/07/22/0001055258_001_20250722130615403.jpg" alt="" /><em class="img_desc">광명스피돔에서 열리는 경륜 경주 장면</em></span><br><br>그러나 이것은 오해다. 배당률이나 경주 결과와 경륜경정총괄본부의 손익은 관계가 없다. 경륜과 경정은 매출액의 72%를 고객에게 환급하는 고정환급방식(패리뮤추얼)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br><br>고정환급방식(패리뮤추얼) 방식은 고객과 고객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배당률이 결정된다. 특정 선수가 우승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많은 이들이 그 선수를 선택한다면 배당률은 낮아지고, 반대로 우승할 확률이 낮다고 생각해 그 선수를 택한 이들이 적다면 배당률이 높아진다. 그래서 발매 마감 전까지 고객이 어떤 선수를 고르냐에 따라서 배당률은 끊임없이 변한다. 이후 경주가 확정되면 최종 배당률에 따라 적중 고객들에게 전체 환급금(72%)을 나누게 된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144/2025/07/22/0001055258_002_20250722130615461.jpg" alt="" /><em class="img_desc">미사경정장에서 열리는 경정 경주 장면</em></span><br><br>그렇다면 매출액의 28%는 어떻게 쓰일까? 먼저 16%는 제세다. 레저세 10%, 지방교육세, 4%, 농어촌특별세가 2%다. 경륜경정총괄본부는 지난해 3279억 원을 세금으로 납부하여 사회로 환원했다.<br><br>나머지 12%가 발매 수득금이다. 그러나 발매 수득금 전액을 경륜경정총괄본부에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경륜과 경정은 공익사업으로 선수 상금 등 경주개최 비용 일부를 제외하고 나머지(수익금) 전액을 사회로 환원한다. 그 규모는 지난해 총 540억원 이었다.<br><br>이 배분 비율도 법령으로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 국민체육진흥기금 279억(42%), 문화예술진흥기금에 110억(24.5%), 청소년육성기금에 88억(19.5%), 중소벤처기업창업 및 진흥기금 18억(4%), 지방재정지원 45억 원이 각각 배분되어 사회 곳곳 필요한 곳에 요긴하게 쓰였다.<br><br>강석봉 기자 ksb@kyunghyang.com 관련자료 이전 김연경 없는 한국 배구 미래 다시 그린다… "생활체육에서 전문체육으로 전환" 07-22 다음 보아 노래에 춤추는 ‘좀비딸?’…K-좀비 신드롬 새판 짠다 [리뷰]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