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유일 달 탐사로봇 제작 … 로봇 끝판왕의 꿈, 곧 현실로" [인터뷰] 작성일 07-21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조남석 무인탐사연구소 대표<br>어린시절 망원경으로 달 보며<br>로봇 보내야겠다는 다짐 했죠<br>자율판단·데이터 송신에 필요<br>최근엔 AI기술 활발하게 연구<br>2027년 달 착륙시키는게 목표<br>역사에 회자될 인생 살고싶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Su0fTqyS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5fc5871271ba1081aaaa9b531867ad12f1bf95faaeb20f9cac6d576f2f5c618" dmcf-pid="0xDcSRmeh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조남석 무인탐사연구소 대표는 "지금 우리나라가 우주 개발에 뒤처지면 다음 세대가 잘 대비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승환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mk/20250721160920940cioa.jpg" data-org-width="500" dmcf-mid="tINos8c6y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mk/20250721160920940cio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조남석 무인탐사연구소 대표는 "지금 우리나라가 우주 개발에 뒤처지면 다음 세대가 잘 대비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승환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cf5ea5d554be6b25a901d03a5069ecc13dc258593a7dbf4c7165047c83560b5" dmcf-pid="pMwkvesdyp" dmcf-ptype="general">어릴 적부터 로봇을 좋아했다. 만화에서 보던 '마징가제트'처럼 엄청난 로봇을 만들고 싶었다. 어느 날 경품으로 받은 자그마한 천체망원경으로 달을 봤다. 어른들이 달은 너무 멀고 가기 어렵다고 했다. 아이는 로봇을 만들어 달로 보내야겠다고 다짐한다. 달에 가는 로봇이야말로 '로봇 중의 끝판왕'이라고 생각했다.</p> <p contents-hash="62e1b3fd9e2820529416d78d659d0fc2939927b0f56e363bb7b6b5eb04d9a4c7" dmcf-pid="URrETdOJy0" dmcf-ptype="general">조남석 무인탐사연구소 대표는 최근 유튜브 지식전파사에 출연해 "달 탐사는 역사적으로 인류 부흥의 기회였다"면서 "지금 우리나라가 우주 개발에 뒤처지면 다음 세대가 잘 대비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올해 서른 살 청춘인 그는 '다음 세대'이면서 동시에 오늘날 한국의 우주 개발을 가장 선봉에서 이끄는 인물로 꼽힌다. 조 대표가 설립한 무인탐사연구소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월면탐사로봇을 만드는 기업이다. 월면탐사로봇은 달에 착륙해 직접 다니면서 달의 토양이나 물질을 채취하는 로봇이다. 화성에 착륙했던 큐리오시티, 오퍼튜니티 등이 모두 비슷한 종류의 탐사 로봇이다. 미국은 화성까지 탐사로봇을 보냈지만, 아직 한국은 달에도 보내지 못했다.</p> <p contents-hash="e9626ad83af885c43d011c0bb8c7b5b316dd3ef232fa4436d144baa31f1701dd" dmcf-pid="uemDyJIil3"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거의 바로 창업에 도전했다. 회사 이름이 '무인탐사연구소'인 것도 원래는 작은 실험실 수준으로 시작했기 때문이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995c02f0daa4d06af9d8869ff6750a144bd8cd1481066f7b02d920153f0acd" dmcf-pid="7dswWiCnh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mk/20250721160922212uqau.jpg" data-org-width="500" dmcf-mid="FKDcSRmeT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mk/20250721160922212uqau.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4e94f307eb568a512fd15bc28b41a40fe0fe5015cb17e42e09e91d352d041fb" dmcf-pid="zJOrYnhLWt" dmcf-ptype="general">친한 친구 몇 명과 함께 시작했던 무인탐사연구소는 벌써 내년이면 창립 10년을 맞는다. 10년 동안 우주를 둘러싼 많은 것이 바뀌었다. 미국은 다시 달로 향하겠다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한국도 우주항공청을 출범했다. 그럼에도 한국에서 월면탐사로봇을 개발하는 건 여전히 무인탐사연구소뿐이다.</p> <p contents-hash="536d7821da94fb60ed07a58f47e3b12f6783b2a0dbae45052c6f64ee259ac89c" dmcf-pid="qiImGLloT1"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아직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는 탓인지 충분한 투자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10년을 버틴 이유는 그냥 좋아서다. 조 대표는 "예전에 시작할 때 친구들과 마음먹은 게 있다. 어릴 때는 컵라면 먹고 잠 못 자고 일해도 살 수 있으니까 10년만 해보자고 했다"고 회고했다. 그렇게 버텼고 지금은 조금씩 투자를 받으며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p> <p contents-hash="705c6f3d6db8728a53e246751a8e300710694a1a49b34c92b8ce6e092ee81682" dmcf-pid="BolIZaTNC5"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10년 동안 달을 보며 버텼다고 했다. 그는 "사람의 삶이 의미 있다고 하지만, DNA 관점에서 사람 한 명의 인생은 중요하지 않다"며 "삶의 의미를 찾고 싶었다"고 했다. 이어 "생각해 보니 인류의 수준을 끌어올린 사람들은 계속 회자된다"며 "나도 회자될 만한 인생을 살고 싶다"고 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것이 조 대표가 월면탐사로봇을 만드는 이유다.</p> <p contents-hash="b02c9f0c52d9e49e3ab71f53bca5840361030fa8e27503e86120a21d51a88d15" dmcf-pid="bgSC5NyjhZ" dmcf-ptype="general">무인탐사연구소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연구하기 때문에 항상 정신없이 돌아간다. 최근 뜨거운 건 역시 인공지능(AI)이다. 달은 지구와 멀기 때문에 지구에서 실시간으로 조작할 수 없다. 즉각적인 움직임을 위해서는 로봇에 탑재된 AI가 직접 판단할 수밖에 없다. </p> <p contents-hash="f21df760bae1404766472be06a666d34bd79ffe7653afd5ae0e2fb932ac68a5c" dmcf-pid="Kavh1jWAvX" dmcf-ptype="general">복잡한 시내 한복판을 다니는 자율주행차도 나왔는데, 아무것도 없는 척박한 달을 다니는 기술이 어려울까. 조 대표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어렵다"고 답했다. 지구상에는 지도와 GPS가 있고, 주변 가로수나 전봇대를 인식할 수 있지만, 달에는 기준으로 삼을 만한 게 없기 때문이다. 땅과 하늘의 색도 별로 차이나지 않아서 땅을 구분하는 것도 어렵다.</p> <p contents-hash="9f23ffbe1b04ffdae4738222313aa2024fe8003bf153e2d758b4faf048520f64" dmcf-pid="9NTltAYchH" dmcf-ptype="general">조 대표의 목표는 2027년에 스스로 만든 로봇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이다. 어릴 때 꿈꿨던 '로봇 중의 끝판왕'을 만들게 된다. 불과 2년밖에 남지 않았다. 그때가 되어도 불과 서른둘, 이후에는 뭘 하고 싶을까. </p> <p contents-hash="d19b14550401f8e7530e2ce0276b32f9267f187610ddf8c291d2af14fde7c4dd" dmcf-pid="2jySFcGkyG"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다른 행성을 조각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우리가 화성에 가서 사는 건 당연할 것"이라며 "로봇으로 할 수 있는 게 많기 때문에 앞으로 할 일은 걱정 없다"고 했다. </p> <p contents-hash="76f6da43f586bfd0e8494092b438abd1266c0c1c634d77d710ca7e02e153c068" dmcf-pid="VAWv3kHEhY" dmcf-ptype="general">[최원석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제조기업 맞춤ERP … 생산공정과 매끄럽게 연결" 07-21 다음 "10초만에 악보 만들고 연주 … AI 작곡가도 저작권 인정해줘야" 07-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