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방향 따라 변하는 파동 현상 세계 첫 실험 입증 작성일 07-21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POSTECH·전북대, 단일 시스템 상·하향 주파수 변환 동시 구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bK1RZf5j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a0410bb4462291d2a3f27305b76e01fb0292dbde163488a3b059515d27bb2b" dmcf-pid="fK9te541A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양방향 비대칭 파동 현상 규명하기 위한 실험 개략도 . /POSTECH"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chosunbiz/20250721100658146yzet.jpg" data-org-width="1254" dmcf-mid="9q9te541N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chosunbiz/20250721100658146yze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양방향 비대칭 파동 현상 규명하기 위한 실험 개략도 . /POSTECH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fecdca8c27ea04a57b411f1cb5ebaac6f1f577226ed265cd347ee53b3e40704" dmcf-pid="492Fd18tc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chosunbiz/20250721100658474dbai.png" data-org-width="1800" dmcf-mid="2P4pn3Q0o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chosunbiz/20250721100658474dbai.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91cef6912c47573b792c1aa76cba8bf2916c434c23ed7f5e6b5a4ce128c324da" dmcf-pid="82V3Jt6Fc4"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진이 소리가 어느 방향에서 오느냐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파동 현상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이번 연구가 향후 의료용 초음파 장비부터 소음 차단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어 기대된다.</p> <p contents-hash="57f1ce8863528e99287ea25c1c0fc5fdcc2d77093a13644aef38fba2284890b8" dmcf-pid="6Vf0iFP3cf" dmcf-ptype="general">포항공과대학교(POSTECH)는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김은호 전북대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단일 시스템 내에서 파동 방향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증명했다고 21일 밝혔다.</p> <p contents-hash="bdb6e65880589b15c1d8c6c0bac2fdd3b709410b3291a54d9b94b3cfe5538d01" dmcf-pid="Pf4pn3Q0AV"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는 물리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지난 15일 게재됐다.</p> <p contents-hash="3f545926c497d8c1292f1d99fdcff84a9b59f0b0d73da3b02a2dafb0d68f18b2" dmcf-pid="Q48UL0xpk2" dmcf-ptype="general">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기술은 파동의 주파수를 바꾸는 원리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녹색 레이저 포인터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의 주파수를 두 배로 높여(상향 변환) 녹색 빛을 만든다. 초지향성 스피커는 두 개의 초음파를 섞어 주파수를 낮춰(하향 변환)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낸다.</p> <p contents-hash="23b33502808aa4a238b84e3dfe7c1f29028ca522f098740349bf8a024952cddb" dmcf-pid="x86uopMUj9" dmcf-ptype="general">이들은 파동 세기가 커질수록 반응이 단순히 비례하지 않고 복잡하게 달라지는 ‘비선형성’을 이용하는데, 보통 파동 방향이 고정돼 있거나 복잡한 구조와 외부 조작이 필요했다.</p> <p contents-hash="aa6cba0af23287d53bec84d66c7410e831ca94447e11280da11d64f39bf093da" dmcf-pid="ylSctjWAjK" dmcf-ptype="general">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작은 구슬들을 연결한 과립형 ‘포논 결정(phononic crystal)’ 구조를 설계했다. 이 구조물은 각 구슬의 연결 강도를 조금씩 다르게 조절할 수 있어 같은 파동이라도 방향에 따라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인다.</p> <p contents-hash="7f2ec577d872df732d0e39ada5456522f8437df3980f9c68b9561cc3fd97a396" dmcf-pid="WSvkFAYcab" dmcf-ptype="general">이 시스템은 평소에는 에너지가 약한 파동을 거의 모두 차단하지만, 파동 세기가 강해지면 달라진다. 한쪽에서 들어온 파동은 주파수가 높아져 더 날카로운 소리가 되고, 반대쪽에서는 주파수가 낮아져 둔한 소리가 된다. 마치 같은 문이라도 앞에서 들어올 때와 뒤에서 들어올 때 다른 소리를 내는 것과 같다.</p> <p contents-hash="9ef45d71c70f87b42c41f1a136697ce542542900e8862ce5a881e9ae70487bd9" dmcf-pid="YvTE3cGkoB" dmcf-ptype="general">특히 연구팀은 특정 진동수에서 구슬이 유독 크게 흔들리는 ‘국소 공명’ 특성을 더해 ‘비선형성’과 방향에 따른 ‘공간 비대칭성’을 동시에 구현하고 상향 변환과 하향 변환이 한 시스템 안에서 자유롭게 일으킬 수 있도록 했다.</p> <p contents-hash="d08cd3c1efb08b788f856eb38844ea50f7ff28539c59c45b107f29413b3800c7" dmcf-pid="GTyD0kHEkq" dmcf-ptype="general">이 기술은 지진이나 공사 현장에서 특정 진동만 선택적으로 줄이거나 의료용 초음파 진단 장비의 해상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 향후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소리를 특정한 방향에서 감지하는 음향 기기나 아날로그 신호 처리 기술에도 활용될 수 있다.</p> <p contents-hash="61d9715fa5744668001909b4c666d51a80431b02338c25d93e121a7d8c639899" dmcf-pid="HwrnWJIigz" dmcf-ptype="general">연구를 이끈 노준석 교수와 김은호 교수는 “이론적인 가능성으로만 제시되던 개념을 실제 실험으로 입증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차세대 주파수 변환, 신호처리 기술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p> <p contents-hash="9a5b5ade88b40ed3604b037bb7a9dc5ab6d5f9e5b052da7aa5dfd6d9164d1998" dmcf-pid="XrmLYiCno7" dmcf-ptype="general">한편, 이 연구는 POSCO홀딩스 N.EX.T Impact 사업,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p> <p contents-hash="4074e0c752232719d9af5f38cfd507b1e4a1593948b1362ac1f361b7149a0cad" dmcf-pid="ZmsoGnhLAu" dmcf-ptype="general">참고자료</p> <p contents-hash="cb9467ff5692dbbe3162d60a66091c871e5f825e69f62fc9277f822d4028da80" dmcf-pid="5sOgHLlokU" dmcf-ptype="general">Physical Review Letters(2025), DOI: <span>https://doi.org/10.1103/3n97-7kmd</span></p> <p contents-hash="0f672d48e820183361313dc5968029d7e968e0609ca10c39f2d1e70c652b8557" dmcf-pid="1OIaXoSgcp"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아이브 레이, '사나의 냉터뷰' 출격.. 여신 비주얼→냉장고 꿀템 자랑 07-21 다음 프랑스오픈 테니스 4강 보아송, WTA 투어 단식 첫 우승 07-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