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들으면 프리"…스포티파이·구글 '공짜 음원'에 韓시장 잠식 작성일 07-21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스포티파이 프리' 출시 직후 이용자 2~3배로…단숨에 3위<br>구글도 '오디오 광고' 도입…무료로 점유율 높인 후 유료 전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dE9ot6F54">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278803ac1563df9bc3253c9421ab1fe8abe781d21f828270f573a59ea4e3e3" dmcf-pid="bJD2gFP3X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포티파이 앱 2022년 5월~2025년 5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추이(와이즈앱·리테일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4218vmcw.jpg" data-org-width="860" dmcf-mid="um8SucGk1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4218vmc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포티파이 앱 2022년 5월~2025년 5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추이(와이즈앱·리테일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b7cfdf385e34b90e777ba74347851e44db48c1a51dcfdacef586149743a9026" dmcf-pid="KiwVa3Q05V"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스포티파이(글로벌 음원 스트리밍 1위)와 유튜브뮤직(한국 1위) 등 해외 스트리밍 기업들이 광고 기반 무료 요금제를 앞세워 한국 음원 시장을 점차 잠식하고 있다.</p> <p contents-hash="7ed96d8a527a7200afb12fa258a77473002913d87a7dc6b975446af3e9f0e8f0" dmcf-pid="9nrfN0xpZ2" dmcf-ptype="general">21일 와이즈앱·리테일과 업계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무료 멤버십 '스포티파이 프리'를 출시하자마자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치솟으며 지니(KT)·플로 등 토종 브랜드를 제치고 단숨에 3위에 올랐다.</p> <p contents-hash="7fec3cf677178af154202a83b4de28b8312eee750ef49df599c032d842e1e551" dmcf-pid="2Lm4jpMUG9" dmcf-ptype="general">스포티파이는 한국시장 진출 4년 만인 지난해 10월 광고를 청취하면 음원을 무료로 스트리밍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한국 시장에 출시했다. 무료 스트리밍 시 약 15분마다 광고가 삽입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73470fde7f39b04c1d727b064df2109042fffb480cdcbfed6294fd99f1c9e71" dmcf-pid="Vos8AURu5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 5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추이(와이즈앱·리테일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5609chuu.jpg" data-org-width="860" dmcf-mid="7WYemKo91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5609chu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 5월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추이(와이즈앱·리테일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88a03967e9dab23f1965029c0135ac1b1912b7616d8e033e0586fdff698af87" dmcf-pid="fgO6cue7tb" dmcf-ptype="general">스포티파이의 MAU는 100만~150만 명대에 머물다 프리 요금제 출시 직후 2배 이상 급증하며 올해 5월 기준 359만 명을 기록했다.</p> <p contents-hash="5b3f475ed6f65cbe8095f4790eced6cd52ef68f4b43c638adb22905e061e1a8f" dmcf-pid="4HzstoSgXB" dmcf-ptype="general">5월 한국 음원 스트리밍 시장 전체 MAU는 △유튜브 뮤직 982만 명(점유율 42%) △멜론 654만 명(26%) △스포티파이 359만 명(14%) △지니뮤직 263만 명(11%) △플로 175만 명(8%) 등으로 스포티파이가 멜론(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2위 자리까지 노리게 된 양상이다.</p> <p contents-hash="3811c6396e661ae502b8a59a0132458c46068ba2ab68a75c26520b97b6636aaa" dmcf-pid="8XqOFgva5q" dmcf-ptype="general">스포티파이는 무료 서비스로 확보한 이용자 대상으로 유료 구독(프리미엄 요금제 등) 전환에 나설 전망이다. 스포티파이는 △광고 삽입 빈도 △제한된 건너뛰기 △낮은 음질 등의 제약으로 자연스럽게 유료 구독을 유도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beab68080ee322c339327a0b1692445139bb76ea22f7310dc4778faceea59d3" dmcf-pid="6ZBI3aTNX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글 유튜브 ⓒ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6980cmjl.jpg" data-org-width="860" dmcf-mid="zqn14hUlt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6980cmj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글 유튜브 ⓒ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6a2b447bc1bf72e7248c2ca88ba5fbb35c0cc41c8dd64be0aeaa781c25a3972" dmcf-pid="P5bC0NyjZ7" dmcf-ptype="general">구글은 '끼워팔기' 2년 만에 한국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다.</p> <p contents-hash="cd555a563245f4fdc4738cb2b55cf9b604ba282831ab8958347147b862df5d20" dmcf-pid="Q1KhpjWAHu" dmcf-ptype="general">구글은 2018년 6월부터 지금까지 유튜브 뮤직 서비스를 포함한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제'(월 1만 4900원)를 유지하며 동영상 시장 지배력을 남용해 소비자 선택권을 제한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p> <p contents-hash="dd38c3aec71d72146815e65b303b17d42e73f7e680bf4a0dee030155c58f2c2d" dmcf-pid="xt9lUAYcZU" dmcf-ptype="general">공정위는 영상 시청만을 원하는 이용자에게도 유튜브 뮤직을 끼워 판매한 행위는 산업적 측면에선 음원시장 점유율을 부당하게 높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진 시정안을 요구했다.</p> <p contents-hash="60525dd7462a0bb7eb2d8df872d26397b0e0035c737df6712f1417f4f650adfc" dmcf-pid="yos8AURuZp" dmcf-ptype="general">이에 구글은 광고 없는 동영상 시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월 8500원)를 조만간 출시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d103f5b6441713822365ed3bccf92d0257e620e96d0461f96068fb55a30b5ae" dmcf-pid="WgO6cue71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글 오디오 광고 캠페인 관련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8339jnzw.jpg" data-org-width="497" dmcf-mid="qK7m1Llot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70148339jnz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글 오디오 광고 캠페인 관련 이미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93bfccf3c6d9c2aec4527f73364e9e62ae383ebccd898dbdf018b22486d205e" dmcf-pid="YaIPk7dzZ3" dmcf-ptype="general">아울러 구글은 끼워팔기 제재에 대비해 유튜브 무료 이용자 대상으로 오디오 광고를 최적화해 광고 수익을 올리는 '오디오 애즈'(Audio Ads)를 새롭게 도입했다.</p> <p contents-hash="9e02cb4e082e147324b0bbef1416059b17ab136216cecdb12b6c6c55a6b91920" dmcf-pid="GJD2gFP35F" dmcf-ptype="general">오디오 애즈는 이용자가 유튜브 화면을 최소화하거나 다른 앱을 사용하는 등 '듣기 모드'로 콘텐츠를 소비할 때 인공지능(AI) 기반 기술로 이를 감지해 타깃 광고를 노출한다.</p> <p contents-hash="2312e4117d38c6a5f4b1f402a811e02b2a1a8ca01dbd2e4b6ca4d9107a3662dd" dmcf-pid="HiwVa3Q0Xt"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광고에 강한 반감을 표출하지만, 듣고 있으면 지나가는 오디오 광고에는 상대적으로 불만이 덜 한 것으로 전해진다"며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이 이런 자체 조사를 바탕으로 광고를 포함한 무료 전략을 내세워 각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5c2da79c84e0ade826cdc7d08b2041bd27db4ab8aba798dabda95acfb995d9c" dmcf-pid="XnrfN0xp51" dmcf-ptype="general">ideaed@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난해한 '위상수학', 첨단 소재 산업·의료 혁신 숨은 설계자로 부상 07-21 다음 민생쿠폰 사칭 스미싱 우려…KISA “전방위 대응” [D:로그인] 07-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