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쿠폰 사칭 스미싱 우려…KISA “전방위 대응” [D:로그인] 작성일 07-21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전 국민 대상 온라인 신청 노려 문자·전화·가짜사이트 동원<br>KISA, 악성 URL 차단·상담 강화 등 24시간 감시체계 가동</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hlMwBnb5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2fc5f78d99287e5e74bc88e5c8b5d3fdcfcf04718cbf9ee278a0d64f6aec87c" dmcf-pid="7lSRrbLKY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이미지는 스미싱, 피싱, 큐싱 확인서비스 이용방법 내용. ⓒ한국인터넷진흥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dailian/20250721070146662ifmu.jpg" data-org-width="645" dmcf-mid="Fs7EHdOJt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dailian/20250721070146662ifm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이미지는 스미싱, 피싱, 큐싱 확인서비스 이용방법 내용. ⓒ한국인터넷진흥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2d290965c85461eedda0d2aa6e945fe8dda342f1619a911c1a75ab33777beb" dmcf-pid="zSvemKo9YH" dmcf-ptype="general"><strong>최근 세계는 급변하는 물결 속에 다양한 생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등 자연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 중립, 디지털 첨단 기술을 접목한 4차 산업혁명 등 저마다 시장 선점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정부와 공공기관 역시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 중입니다.</strong></p> <p contents-hash="3c440c81ec819ae9b05853d56b77e579715a8485e1cc45e42be0c16206d8a409" dmcf-pid="qvTds9g2GG" dmcf-ptype="general"><strong>데일리안이 기획한 [D:로그인]은 정부와 공공기관 신사업을 조명하고 이를 통한 한국경제 선순환을 끌어내고자 마련했습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거치는 [로그인]처럼 정부·공공기관이 다시 한국경제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조명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strong></p> <p contents-hash="97c08debe2a5a47d655e7cae5e423cae353517de535174bdef8d439595fad74c" dmcf-pid="BTyJO2aV1Y" dmcf-ptype="general">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소비쿠폰을 미끼로 한 스미싱, 피싱, 보이스피싱이 우려되면서 관계기관과 협력해 범정부 차원의 공동 대응에 나섰다.</p> <p contents-hash="7cb9c19e27c221fdcb6aa6fe10f2b8b60ae507d41f0cbed4659057ac2db6205d" dmcf-pid="blSRrbLKHW" dmcf-ptype="general">KISA는 실제 소비쿠폰 지급 시점을 전후해 정부24, 지역화폐 앱, 카드사 등을 사칭한 문자 메시지를 통한 스미싱 시도가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p> <p contents-hash="5c061c7c2d2f77882b11186371e990afbd8b69704467c1e8f293a60e615e189c" dmcf-pid="KSvemKo9Zy" dmcf-ptype="general">‘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정부가 7월 21일부터 전 국민에게 순차 지급하는 지원금 정책으로, 기본 15만 원에서 최대 45만 원까지 개인별 여건에 따라 차등 지원된다. 신청은 첫 주(7월 21~25일) 동안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른 요일제로 진행되며, 이후에는 자유롭게 신청 가능하다. 지급 수단은 신용·체크카드 충전,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할 수 있으며, 모든 쿠폰은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한다.</p> <p contents-hash="aec89b665304eca42b0dbe1c22785b2f6fb4e06edbd6dce319eccf26655cd373" dmcf-pid="9vTds9g2tT" dmcf-ptype="general">전 국민 대상 대규모 현금성 정책이자, 신청과 지급 절차가 온라인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디지털 범죄 조직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6c287f40e7f989c0bae9a792220a2a618881a2d1032afc215455a32065fb92" dmcf-pid="2TyJO2aVY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데일리안 AI 이미지 삽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dailian/20250721070147989lkga.jpg" data-org-width="700" dmcf-mid="0Icbn5415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dailian/20250721070147989lkg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데일리안 AI 이미지 삽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0e6708eb28de6f086fd4ec3587d8d3d39a619b148b6287e520fece1b5badac" dmcf-pid="VyWiIVNfXS" dmcf-ptype="general"><strong>디지털 사기 수법 정교화…문자·검색·전화까지 악용</strong></p> <p contents-hash="fe8624666db29129b42706c5737efe80c99eb18015133cfab0069074db28e0f8" dmcf-pid="fWYnCfj4tl" dmcf-ptype="general">사칭 문자를 통한 스미싱은 문자를 수신한 이들이 ‘대상자’, ‘쿠폰 발급처’, ‘지원금’ 등의 단어에 현혹돼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 앱이 설치되거나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는 방식이다.</p> <p contents-hash="8282ecd8047c368fd2e87377324ed1515400708473f1d323f45cd430a18201ba" dmcf-pid="4YGLh4A85h" dmcf-ptype="general">또한 포털 사이트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나 ‘사용 방법’ 등의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는 광고나 피싱 사이트를 통해 접근을 유도하는 방식도 확인됐다.</p> <p contents-hash="64f81660ed142a818788a563ba44ce85ecfbf38b135bf92f680fce7b8f5c5f01" dmcf-pid="6HXgS6kPtI" dmcf-ptype="general">일부 사례에서는 전화로 소비쿠폰 지급 방법을 안내하는 척하며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고,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해 피해로 이어지는 보이스피싱 수법도 등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67c0ea79c4c7aa914ddf457683dc1b2d500b7fa511542113a86b4015088eaa7" dmcf-pid="PXZavPEQ5O" dmcf-ptype="general">이에 KISA는 국민에게 세 가지 핵심 행동 수칙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64be8c672ffc13ea3616a1d357144022e33fe9ef1861bf6d98477430b272a091" dmcf-pid="QZ5NTQDxYs" dmcf-ptype="general">먼저 의심 문자 수신 시 KISA의 확인 서비스를 활용해 메시지 진위를 판단하고,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주소는 절대 클릭하지 않아야 한다.</p> <p contents-hash="6195d79dfd67e6976198d3b8c3624c808903d1d1fcb46f8e3d2312b55e2b39f1" dmcf-pid="x51jyxwMZm" dmcf-ptype="general">또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문자는 즉시 신고해야 한다.</p> <p contents-hash="84927eb8408e3143f71ef65313750df571b71d69760826f6257d032500218c43" dmcf-pid="ynLpxyBWHr"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실제 피해가 발생하거나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신속히 관계기관에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421dc89b49afb0b58454d63121770f79bc76a75584cb9f19a8fc2f34b9b949e" dmcf-pid="WLoUMWbY5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데일리안 AI 이미지 삽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dailian/20250721070149345jbbq.jpg" data-org-width="700" dmcf-mid="UWvemKo9Z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dailian/20250721070149345jbb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시행 시기를 악용한 디지털 사기 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적인 감시 체계를 가동했다. ⓒ데일리안 AI 이미지 삽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fb8e9dff5fffb0aef4ab23aeb18dfab3b0601f0973a4ccf47e962e848bc144e" dmcf-pid="YoguRYKGHD" dmcf-ptype="general"><strong>“공식 안내 문자에 URL 없다…의심 시 반드시 확인”</strong></p> <p contents-hash="242f9f556efe16bcccb2e16e1dfe39fb3127bd8fef69fac198955f12f0ec6813" dmcf-pid="GChxDqiB5E" dmcf-ptype="general">스미싱 사전 예방을 위한 안내도 함께 제시됐다.</p> <p contents-hash="71caaf39a429a72f6dd5cdb4d3deeb10ea83c3cfcfcd227c0d95fc8f9b3c2d20" dmcf-pid="HhlMwBnbXk" dmcf-ptype="general">공식 소비쿠폰 안내 문자에는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문자 내 URL이 있는 경우 사칭 가능성이 높다. 정부24, 지자체, 카드사 등 공식 채널 이외의 경로를 통해 접속할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KISA의 설명이다.</p> <p contents-hash="a57279b81ec7c6a65a613c7ae22ab4308a3e0c77f2df1a3a5b78f199fd1377dc" dmcf-pid="ZSvemKo9YA" dmcf-ptype="general">KISA는 현재 소비쿠폰 신청 관련 홈페이지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스팸·스미싱 감시 활동 강화, 악성 URL 긴급 차단 체계 운영, 상담 전화 상시 대응 등 다양한 선제적 대응책을 가동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e1bb582a1a1b79add620f235c14d767b6fd30e44968bb8c9264d2b05a81ee06" dmcf-pid="5vTds9g2Xj" dmcf-ptype="general">앞서 KIS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금융감독원과 함께 합동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국민들에게 관련 범죄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이러한 범정부 공동 대응은 디지털 민생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유사 범죄의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6ea02672234a0f129c2cbba92443d3bda147b6f45406d6c6d1f9a8f060d296b5" dmcf-pid="1TyJO2aVHN" dmcf-ptype="general">이상중 KISA 원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정책인 만큼 이를 노린 범죄 시도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며 “KISA는 관계기관과 협력해 24시간 감시 체계를 유지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쿠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광고 들으면 프리"…스포티파이·구글 '공짜 음원'에 韓시장 잠식 07-21 다음 "톱 스타는 3개월, 나는 4년 출전금지"...영국 테니스 선수, 반도핑 차별에 분노 폭발 "시스템 망가졌다!" [춘추 테니스] 07-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