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폐지 D-1]③신형 폰도 공짜될까…위약금은 주의 작성일 07-21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단말기 출고가 기준으로 보조금 정해질듯<br>선택약정에도 추가지원금 신설…위약금 범위는 확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U2Za3Q01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9f39b62d45197ae39e509d0aec84f5445aaa018b4ac3da003dcce64e8a48314" dmcf-pid="u4dqO2aVH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의 한 휴대폰 판매 대리점의 모습. 2024.9.6/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53148827kofg.jpg" data-org-width="1400" dmcf-mid="01yABw5r1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53148827kof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의 한 휴대폰 판매 대리점의 모습. 2024.9.6/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9d813c186e21922f25139d953fa9592f1b10eee32cd9776ac8b8ccd1729efa4" dmcf-pid="78JBIVNfXL"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22일 폐지된다. 기존 '불법 지원금'들이 합법화되면서 보조금이 이동통신사들 경쟁에 따라 큰 폭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위약금 제도 역시 바뀌게 돼 소비자들 주의가 필요하다.</p> <p contents-hash="4c44a75d835beb5beaceeff03f142f65b1351ff56192f9d4eeccc8ebcb3fd234" dmcf-pid="z6ibCfj4Gn" dmcf-ptype="general">그간 정부는 단통법에 따라 유통점의 추가지원금 상한을 공시지원금 15% 이내로 규제해 왔다. 이통사들은 가입자 모객이 필요할 때 '성지'라 불리는 판매점 등 일부 유통망을 통해 이를 초과하는 불법 지원금을 지급해 왔다. 이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 방식은 계약서와 별도의 이면 계약을 통해 가입자에게 현금을 돌려주는 '페이백'이다.</p> <p contents-hash="9a5fd4c9b671298748e8337ecc63d214a50955ce96381248b01d90d3c5991280" dmcf-pid="qPnKh4A8Hi" dmcf-ptype="general">이번에 단통법 폐지를 계기로 규제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페이백을 비롯해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자에게 더 많은 지원금을 주는 행위는 별도로 규제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황에 따라 그만큼 돌려받을 수 있는 혜택이 커진다.</p> <p contents-hash="43ff8d06a51c49c97bb9dddf36d5694d4fb5c588312a0ea289c1b62ee88d1d78" dmcf-pid="BQL9l8c61J" dmcf-ptype="general">추가지원금을 많이 준다고 해도 문제가 없다. 따라서 새로 출시된 휴대전화 출고가 전액까지도 보조금이 지원될 수 있다. 정부도 단말기 구매비용이 가계통신비 부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보고 단통법 폐지를 결정했다.</p> <p contents-hash="ca89371a5b6b4aff854ff0c9d83ce450fa3949975d247f49ec8c38817e610891" dmcf-pid="bxo2S6kPZd" dmcf-ptype="general">방통위 관계자는 "지원금 관련 사항이 계약서상에 명시되고, 이용자에게 명확하게 정보가 제공되면 페이백도 법적으로 불가능지 않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d23eccad3e4b71cffefc72fb55227c6b46dfef762af66fa02374fe9a093d8d" dmcf-pid="KMgVvPEQY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22일 시행이 예정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에 따라 단통법이 11년 만에 폐지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의 휴대전화 지원금 공시 의무'와 '대리점과 판매점 등 유통점의 추가 지원금 상한'이 사라진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53149349dctr.jpg" data-org-width="1400" dmcf-mid="pDre1LloZ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1/20250721053149349dct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22일 시행이 예정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에 따라 단통법이 11년 만에 폐지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의 휴대전화 지원금 공시 의무'와 '대리점과 판매점 등 유통점의 추가 지원금 상한'이 사라진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a186e652a60389e331a4c89c55d2f285373a7a767d042ab73e0693f361d20e9" dmcf-pid="9RafTQDxZR" dmcf-ptype="general">결과적으로 이동통신사간 보조금 지원 규모에 따라 충분한 가계 통신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통지원금(기존 공시지원금)뿐 아니라 요금의 25%를 할인받는 '선택약정 할인제도'에도 추가지원금이 신설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05fe062beff9faa90a85001c8442320ff74075cf8c70226a7292ca5cd5c018b9" dmcf-pid="2AOi3aTN5M" dmcf-ptype="general">다만 혜택이 늘어난 만큼 약정 관련 위약금 조건이 깐깐해진다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p> <p contents-hash="57142d291430d2a410da39d19b4ead1147e43201f05b495b31decce109c3ef33" dmcf-pid="VcIn0Nyj1x" dmcf-ptype="general">단통법 폐지로 음성적으로 제공되던 지원금은 물론, 그동안 혜택으로 분류된 제휴 카드 할인 및 쿠폰 할인까지 추가지원금으로 묶였다. 이용자가 약정 기간 내에 요금제를 변경하거나 회선을 해지할 시 물어야 할 위약금 액수도 이에 비례해 커진다.</p> <p contents-hash="dd1d3ebb168ae825403342e680332376aea1d081a342b1ba3e4506fc4a861018" dmcf-pid="fkCLpjWAYQ" dmcf-ptype="general">한편 이통사들이 보조금을 큰 폭으로 상향 조정하지 않으면 기대한 가계 통신비 절감 효과가 반감될 우려도 있다. 이통사들은 단통법 폐지 이후 당분간 과열 경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시장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b5e221dd787618b99d2455d5aa700b33f8b39000448ecee49db0ae60955bc7f1" dmcf-pid="4EhoUAYcXP" dmcf-ptype="general">한 이통사 관계자는 "시장이 단기적으로 과열될 가능성은 있지만 과도한 보조금 경쟁은 장기적으로는 결국 소모전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가격보다는 고객 편의를 높인 서비스 등을 통해 경쟁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c10fdfabe812ad35e0425167088d75522f3001dc61a1d8cb58522db20f3c566" dmcf-pid="8DlgucGkZ6" dmcf-ptype="general">Kris@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로이킴 “BTS와 신인상 동기, 지금은 위치 달라”(전참시)[결정적장면] 07-21 다음 중고차 호황·전기차 반등에 힘입어…LG전자, 전장사업 '순항' 07-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