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첨단산업 성장 위해 '세제 혜택' 강화해야” 작성일 07-20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ABq9DZwmW"> <p contents-hash="d4bd321b2f487a97c6badbade8cd7f3eee329986773092d8658292d9d8d7d91f" dmcf-pid="5cbB2w5rmy" dmcf-ptype="general">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세제 혜택을 강화해야 한다고 요청했다.</p> <p contents-hash="2ad43ece1f194acabdc0c435bfa6ae8783c3ad7046a085bae5c567f0f074a879" dmcf-pid="1s84QhUlOT" dmcf-ptype="general">경총은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세제 개선 건의서'를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p> <p contents-hash="41c70f9950dd341dd7263a98ffd54b3c596755c1519658ac69be379095a19e1c" dmcf-pid="tO68xluSIv" dmcf-ptype="general">산업 전반 투자 촉진을 위한 세제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p> <p contents-hash="de6a76e77d39dfc95e0c95a370002a788b1f3d0c3dc66bec638b5885cbd89d17" dmcf-pid="FIP6MS7vwS" dmcf-ptype="general">경총은 “글로벌 경쟁과 중국 추격 등으로 한국 경제의 0%대 저성장과 성장잠재력 저하가 우려된다”며 “반도체, AI 등 첨단분야 경쟁력 제고와 신사업 발굴·육성을 위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제를 통해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954b70e6165ffac8481dce8691496750474eb507feda50b808a694a7f5b6289" dmcf-pid="3CQPRvzTEl" dmcf-ptype="general">경총은 '세액공제 직접환급제' 도입도 건의했다. 당해 영업 적자가 발생하더라도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을 적시에 받을 수 있는 제도다. 경총은 “선진국처럼 일부 전략산업에 대한 직접 보조금 지급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3e521c7b43206041b20ffb2bea9fb70463eea0dca98ba0d4545cbb81d822057" dmcf-pid="0hxQeTqysh" dmcf-ptype="general">올해 종료될 예정인 '임시투자세액공제'도 연장·확대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경총은 “공제 대상을 대기업까지 확대하고 문화·콘텐츠산업을 전략기술로 지정해 세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건의했다.</p> <p contents-hash="5e613ed4688687c1a4e55b23b5a7eca1a08d88de8df7f662ddbc906a9efcda45" dmcf-pid="plMxdyBWmC" dmcf-ptype="general">경총은 기업이 각종 공제와 감면을 받더라도 조세를 부담해야 하는 최저한세율을 17%에서 글로벌 수준인 15%로 인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45d5e518c07a01fc811f4a3ae679bcb7479f6b42e5c9a8590d230506d23ba84" dmcf-pid="USRMJWbYm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00년 대비 상속·증여세 과표금액·주요 경제지표 변화 비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0/etimesi/20250720120322096ahey.png" data-org-width="640" dmcf-mid="X5Lna541E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0/etimesi/20250720120322096ahey.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00년 대비 상속·증여세 과표금액·주요 경제지표 변화 비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0563ace91465ca29e2ddc43ab57ae39d55dc292b1c9190ec93886e2070c2116" dmcf-pid="uveRiYKGsO" dmcf-ptype="general">또, 자본시장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도 건의했다.</p> <p contents-hash="033e8a8cc9685031a71c42be79f1abe5864af86c49b283821a20de3ccb851438" dmcf-pid="7TdenG9Hws" dmcf-ptype="general">경총은 “상속·증여세제, 배당소득에 대한 높은 세 부담 같은 요인들이 기업 영속성과 자본시장 활력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d23bacb9d26896835e66092478a087d260dae0dd7c4ed74ba441a7d04ed2d8f" dmcf-pid="zyJdLH2XDm" dmcf-ptype="general">경총은 “상속·증여세 과세표준과 각종 상속공제 한도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이 실제로 상속받은 재산에 비례해 상속세가 과세될 수 있도록, 상속세 과세 방식을 글로벌 스탠다드인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bc597080be7db1968ce6cce61d83b5fd949f662b34f84898cb44ac2a37c896a" dmcf-pid="qWiJoXVZDr" dmcf-ptype="general">상속·증여세 최고세율은 40%로 인하, 장기적으로는 OECD 평균 수준인 25%로 낮춰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881a0dee1c2ad8fbbef4696d58f9652eac297df8d60d94e42101b7d066124da0" dmcf-pid="BYnigZf5sw"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주주환원을 확대하는 기업에 대한 법인세 공제제도를 신설하고, 투자·상생협력촉진세제를 예정대로 올해 종료해 기업 배당 여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개인 투자자에 대해서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장기투자 혜택 등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p> <p contents-hash="42af5f035a48183aae1323f29c78541d2efa7d602d8f4bf55692319b413c7bef" dmcf-pid="bGLna541OD" dmcf-ptype="general">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양호한 주가 흐름이 지속되려면 근본적으로 기업 기초체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경제 활력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세제 개편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적극 노력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c4f6b324785a2ec052c319864535a71ae1b82631c0e4749a1cd6a5e8535a255" dmcf-pid="KHoLN18tmE" dmcf-ptype="general">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최태원 회장 “韓-日 연대해 데이터 확보해야” 07-20 다음 'HBM 공급과잉?' 최태원 "아무도 모른다"…연구개발로 대응 07-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