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위약금면제 발표에도 선방…'라부부키링' 열풍[뉴스잇(IT)쥬] 작성일 07-20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카톡선물 1분 품절에 크림 접수…라부부 캐릭터 투자상품화<br>"챗GPT 자주 오류나요"…빅테크들 GPU·전력 인프라 한계 직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riYa541Hi"> <p contents-hash="10259d7534452ece2319f21c9118fde763d769379fcdbfd6a5c307c2b420fe51" dmcf-pid="PRBcVr1mYJ" dmcf-ptype="general"> [편집자주] 정보통신기술(ICT)은 어떤 산업보다 빠르게 변화합니다. 그 안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맞물려 소용돌이 치는 분야이기도 하지요. ICT 기사는 어렵다는 편견이 있지만 '기승전ICT'로 귀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그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그들만의 뉴스'가 아닌 개개인의 일상 생활과도 밀접한 분야죠. 민영통신사 <뉴스1>은 한주간 국내 ICT 업계를 달군 '핫이슈'를 한눈에 제공합니다. 놓쳐버린 주요 뉴스, [뉴스잇(IT)쥬]와 함께 하실래요?</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cb8df02ffec02641e5739fb482a531a3b4861601dbfe3a22bc29a8a7488d4f5" dmcf-pid="QebkfmtsY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사고 이후 번호 이동하는 가입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를 결정한 가운데 7일 서울의 한 SKT 공식매장에 '고객 감사 패키지' 안내가 붙어 있다. 2025.7.7/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0/NEWS1/20250720114527948gxnx.jpg" data-org-width="860" dmcf-mid="fiMSiYKGX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0/NEWS1/20250720114527948gxn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사고 이후 번호 이동하는 가입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를 결정한 가운데 7일 서울의 한 SKT 공식매장에 '고객 감사 패키지' 안내가 붙어 있다. 2025.7.7/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6ef995e6cefb5689a21660811ffe86538ab69bd2c536102d0c9e07c3a96cf18" dmcf-pid="xdKE4sFO1e"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SK텔레콤(017670)이 해킹 사태로 해지시 위약금을 면제한다고 발표한 이후 약 16만 명의 무선 가입자가 이탈했다. 당초 제기된 최대 500만 명 이탈 우려를 고려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다.</p> <p contents-hash="7af14bc66ac5bf21f33cc260333af10e202a958c362717718b8139b611ea0a4d" dmcf-pid="yHmzh9g2XR" dmcf-ptype="general">또 뾰족한 이빨과 익살스러운 표정, 복슬복슬한 털이 특징인 캐릭터 '라부부(LABUBU) 키링'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것도 지난 주 IT 업계 화두가 됐다.</p> <p contents-hash="692a1688283fd938de78ec43f38da911b532c31654065abefc2d20a3ae91710c" dmcf-pid="WXsql2aVtM"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의 위약금 면제 발표 이후 SK텔레콤에서 타 이통사로 빠져나간 수는 총 16만 6441명(KT 8만 3268명·LG유플러스 8만3173명)으로 집계됐다. </p> <p contents-hash="a99c7997b58f8f28ad8b06f9d71fae30ff47e0806bc3bf4eb5237990be729d86" dmcf-pid="YZOBSVNfZx" dmcf-ptype="general">같은 기간 타사에서 유입된 고객을 고려하면 순감 규모는 7만 9171명에 그쳤다. 4월 해킹 사태 이후 전체 이탈자는 83만 5214명으로 전체 가입자는 60만 1376명 순감했다.</p> <p contents-hash="7dc1476966ffdbe25442e95e73eb51064e6a91a43b07efc3e6f27deee93df116" dmcf-pid="G5Ibvfj41Q" dmcf-ptype="general">선방 이유로는 고객 감사제 패키지 효과와 가족 결합 할인 경우 위약금 면제 제외 등이 꼽힌다.</p> <p contents-hash="5a10770248822cca436e9b356ac17d2fe69313403797b69f105539ead27bbde7" dmcf-pid="H1CKT4A8HP"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정부의 위약금 면제 판단을 수용하면서 약 5000억 원 규모 고객 감사 패키지를 발표했다. 패키지 내용은 △8월 통신요금 50% 할인 △연말까지 매월 데이터 50GB 추가 제공 △스타벅스·파리바게뜨·도미노피자 등 제휴 브랜드 50% 할인 등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888771e8ace653be75bb241eea490ad700c444eae4d37dd65862e0d1f8b2326" dmcf-pid="Xth9y8c61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톡 선물하기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0/NEWS1/20250720114529320cray.jpg" data-org-width="340" dmcf-mid="4A0LzjWA5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0/NEWS1/20250720114529320cra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톡 선물하기 제공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82f929b37a4c4c3168704a48aef3101deb8714e8160387c1d1328f203af9789a" dmcf-pid="ZhN1EpMUG8" dmcf-ptype="h3">"리셀 가격 수십 배 붙여도 산다"…라부부 키링 열풍 </h3> <p contents-hash="ea257b716fe02db9aa621e5414229396efb8e61b1b8dfc20bb9ece8fce499846" dmcf-pid="5ljtDURuZ4" dmcf-ptype="general">라부부 캐릭터는 K-팝 걸그룹 블랙핑크 멤버 리사가 SNS에 라부부 키링을 올린 후 인지도가 급상승했다. 리한나 펜티·데이비드 베컴·킴 카사디안 등 글로벌 셀럽들도 착용샷을 올려 전 세계적 열풍이 일고 있다.</p> <p contents-hash="74182283940c8d71c8ce8198754c003cf7aafe466509ed3bec9414f70987793d" dmcf-pid="1SAFwue71f" dmcf-ptype="general">앞서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단독으로 물량을 확보한 라부부 키링은 판매 오픈(3회 차 진행) 직후 전량 매진됐다. 30만명 이상이 사전 알림을 신청하며 접속 대란이 벌어지기도 했다.</p> <p contents-hash="0e8174c3d98313c9637d249bdfe8a1a677f5c0eb136af749a263864860c7c72e" dmcf-pid="tvc3r7dzYV" dmcf-ptype="general">이후엔 리셀(재판매) 플랫폼 크림(KREAM)에서 캐릭터 '라부부'의 인기가 폭발하고 있다. 크림의 판매 급상승한 상품 순위에서 상위 10개 중 과반(6개)은 라부부 캐릭터 상품이다. </p> <p contents-hash="d487b7fbe068c94a2a3ad78e8d2ad42e83dcc9ca622cb8b77babb38f6f8d19c2" dmcf-pid="FTk0mzJq12" dmcf-ptype="general">팝마트(Pop Mart)가 블라인드 박스 방식의 희소성 전략을 펼치면서 일부는 투자 상품으로 여기고 있다. '시크릿 아이템'으로 통하는 검정색 라부부는 발매가 대비 1414% 높은 31만 8000원에 거래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53e0cf6eeb62bf7fbc963e825662999ec959505f713c7f9b6aac25b7dc5309e" dmcf-pid="3yEpsqiBY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챗GPT 로그인 오류 화면 ⓒ News1 윤다정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0/NEWS1/20250720114530593wwqh.jpg" data-org-width="860" dmcf-mid="8ea5k0xpY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0/NEWS1/20250720114530593wwq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챗GPT 로그인 오류 화면 ⓒ News1 윤다정 기자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75a4755d17e228d90d53a5ffc436406dc3d0c602d030d68eaa26c7f7afcfc37e" dmcf-pid="0WDUOBnbHK" dmcf-ptype="h3">챗GPT·퍼플렉시티 잇단 오류…컴퓨팅 수요 폭증에 IT 인프라 한계</h3> <p contents-hash="32b97ac1ab9854b40ffdc5cc613ee253d806e68ffe742bbe596ded77713f5c7c" dmcf-pid="pYwuIbLKZb"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기술의 빠른 발전에 폭증한 컴퓨팅 수요를 IT 인프라가 감당하지 못하면서 챗GPT·퍼플렉시티 등 AI 챗봇 서비스에 오류가 잇따르고 있다.</p> <p contents-hash="b85293afed2d7c9e31d2fbabbac3416b4dcdb013045369d218abffc01c6a8a77" dmcf-pid="UGr7CKo9XB" dmcf-ptype="general">그럼에도 오픈AI·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 기업들은 컴퓨팅 자원을 수십배 더 소모하는 AI 에이전트·딥리서치·AI 쇼핑 기술 등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어 IT 대란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p> <p contents-hash="9bf6da4d345257cad364661bb040a08530a00efcacc04a4f4882a59259710182" dmcf-pid="u91dpoSgZq" dmcf-ptype="general">챗GPT 이용자는 최근 △SSO 로그인 문제 △오류율 증가 △챗GPT 파일 업로드 문제 △주요 서비스 중단 등 연일 오류 현상을 겪고 있다.</p> <p contents-hash="00cbecafcb7b3913cfc91b97a334960d4d3b5223a543cdf72e9d928c47743260" dmcf-pid="72tJUgvaYz" dmcf-ptype="general">퍼플렉시티도 17일 오후부터 다음날까지 프로 구독자(월 20달러·약 2만 8000원)가 딥리서치(심층연구)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기존의 프로 구독자 대상 딥리서치 질문(쿼리) 제한 횟수는 하루 500회로 사실상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3e5b3e5a534e90ea62de4024f7d55259dab51d82153848311ca81bcda4c04b0b" dmcf-pid="zVFiuaTNY7" dmcf-ptype="general">구글 클라우드도 지난달 12일 장애를 일으켜 '스포티파이' '디스코드' '스냅챗' '캐릭터AI' 등 주요 앱 서비스가 동시에 마비된 바 있다.</p> <p contents-hash="0c681bedf3d4adeaa45a1ad3d337bfd5c533fb049fac30cf9d9a17b845822778" dmcf-pid="qf3n7Nyj5u"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AI 혁신 속도를 IT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에 부딪혔다며 근본적인 인프라 재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p> <p contents-hash="4e67a06bb7f81e2e8260f1be810640b8169803eb60f6f49c90ad1eb81b4462b0" dmcf-pid="B40LzjWAYU" dmcf-ptype="general">ideaed@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메타, EU AI 실무 지침 서명 거부…“법적 불확실성 초래, 규제 과도” 07-20 다음 스포츠클라이밍 이도현, 월드컵 12차 대회 리드 우승…리드에선 첫 금메달 07-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