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주차 전동킥보드 신고…'서울스마트불편신고앱'에서 편리하게 작성일 07-20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4FcgZf5w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24b74df467134105a1ef86ab620525a8aeaaed508a9de648b80b158bec06b3" dmcf-pid="ymJFXMrRr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개인형 이동장치(PM) 전용 신고 웹사이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0/etimesi/20250720111806397foma.png" data-org-width="318" dmcf-mid="QCxXy8c6m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0/etimesi/20250720111806397fom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개인형 이동장치(PM) 전용 신고 웹사이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3c46a47be28f40e27ffa85e78973d2a7e0735e9183ff2db1f9610b54dea982e" dmcf-pid="Wsi3ZRmes4" dmcf-ptype="general">서울시는 21일부터 생활민원플랫폼 '서울스마트불편신고앱'에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정차 위반 신고메뉴를 신설한다.</p> <p contents-hash="a8a0b04dd6cea3f60f18bdb96b3e77b781e7b4324713955e967bd93bb31cbcc3" dmcf-pid="YOn05esdmf" dmcf-ptype="general">클릭하면 시가 운영 중인 개인형 이동장치(PM) 전용 신고시스템(seoul-pm.eseoul.go.kr)으로 바로 연결되는 방식이다.</p> <p contents-hash="5ff82490535e17b52595f99a43ae67859ba8f88d9757ac16233e275f605b53ed" dmcf-pid="GILp1dOJIV" dmcf-ptype="general">신고 방법도 간단하다. 방치된 개인형 이동장치을 발견하면 스마트폰으로 신고 앱 실행 후 생활불편신고 '교통' 하단에 펼쳐지는 '개인형 이동장치(PM)' 터치하면 된다. 그런 다음 킥보드에 부착된 QR코드를 찍으면 킥보드 정보가 확인되고 위치와 위반 사진 등을 업로드하면 신고가 완료된다.</p> <p contents-hash="19cef8064855174e40e9f70e7f4d0b8bb44d2e3bbd4553195f239b8ecedd5b26" dmcf-pid="HCoUtJIim2" dmcf-ptype="general">지난해 서울시가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시스템'을 통해 접수된 신고는 18만 1278건이며 메뉴생성 등 앱 활성화로 신고 건수는 더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p> <p contents-hash="6dd81f1ca667c7eb9e4633dc8ec23d122c60dc0a6ae8f19125b8b4b7424ebfe5" dmcf-pid="XhguFiCnr9" dmcf-ptype="general">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복잡한 절차와 불필요한 규제를 발굴·개선해 디지털 민원서비스를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바꾸는 것이 서울시 디지털 행정의 방향”이라며 “시민이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편의를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7aefc18af87a6693c1dc9551ae4aaea8b1a385b879158bd2065d51964f549dd7" dmcf-pid="Zla73nhLmK" dmcf-ptype="general">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시총 4조달러 만든 꾸역꾸역 해내기의 힘 [정혜진의 라스트컴퍼니] 07-20 다음 안효섭, '케데헌' 이어 '전독시'…글로벌 겨냥 대작으로 '꽃길' 행보 걷나[초점S] 07-2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